View : 70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장혜연-
dc.creator장혜연-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47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47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otherOAK-00000002944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496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9445-
dc.description.abstract종이접기는 주위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종이라는 소재를 사용하여 입체적인 조형물을 만들어내는 창의적인 조형활동 중의 하나이다. 조형활동은 유아의 내면세계와 그들의 생각을 표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며, 다양한 표현방법의 경험은 유아들의 정신적, 신체적인 발달에 도움을 준다. 이 시기의 발달은 인간이 성장하는데 정신적, 신체적 기초가 형성되는 시기이다. 본 연구는 종이접기에 그리기, 오리기를 적용한 조형활동의 수업지도안을 작성하여, 이를 5세 아동의 조형 활동에 적용함으로써 도형에 대한 인식과 그림의 변화를 고찰한 사례연구이다. 이를 위한 이론적 배경으로 유아발달과 조형놀이활동에 대한 이론적 배경에 근거하여 종이접기가 아동들의 발달에 끼치는 영향들을 고찰하였다. 수업지도안을 작성하기 위하여 한국종이접기협회에서 나오는 종이접기 초급지도안을 바탕으로 종이접기와 꾸미기수업을 함께 지도할 수 있도록 수업과정을 구성하였다. 수업과정의 주제는 지도안에서 제시한 기본접기 중에서 유아들이 주위에서 항상 접하는 동물과 사물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과정으로 작성되어진 총 22회의 수업지도안을 기초로 하여 유치원에 다니고 있는 전도식기의 5세 아동 남아 1명, 여아 1명, 총 2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사례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도형 변별능력에 있어서 차이점이 발견되었다. 남아의 경우에는 삼각형과 사각형, 기본도형의 차이점을 인식하는 데에 처음에는 두 도형을 모두 사각형(네모)이라고 인식하였으나, 제22회의 수업에서는 도형의 차이를 인식하였다. 여아의 경우에는 삼각형과 사각형, 기본도형의 차이점을 인식하는 데에 처음에는 두 도형을 모두 삼각형(네모)이라고 인식하였으나, 제22회 수업에서는 도형의 차이를 인식하였다. 2. 그리기 표현에 있어서 차이점이 발견되었다. 남아의 경우, 초기의 제1회 수업에서는 직선의 사용이 많았다. 그림을 부분적으로 보았을 경우에는, 형태의 일부분으로 인식되기보다는 단순한 선으로 보였다. 인물표현의 경우, 부분간의 균형이 잡혀있지 않았으며, 팔과 다리는 선으로 표현하였다. 그러나 중기의 제10회 그림에서는 점차 안정적인 표현과 소재의 다양성이 나타났다. 동물표현의 경우에는 동물들의 차이점을 나타내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로 표현되었고, 그림의 주제가 상반부에 치우쳤던 것이 점차 안정적인 위치로 바뀌었다. 후기의 제22회 그리기에서는 사람을 원으로만 표현하였던 것에서 머리, 목, 팔, 다리 등의 세부적인 묘사가 났다. 또한 제시된 수업 주제와 관련된 상상력을 표출하여 모자를 쓰고 바다 위를 달려가고 있는 비현실적인 자신을 표현하기도 하였다. 여아의 경우, 초기의 제1회 그리기에서는 주제가 되는 인물들이 화면의 상반부에 위치해 있어 불안정한 느낌이었고, 거친 선의 사용도 보였다. 인물표현에 있어서 머리와 몸은 비슷한 크기로 그려졌으며, 인물들의 팔은 생략되었다. 사물을 표현하는 데에 있어서는 흐릿한 선으로 표현하였다. 중기의 제 10회 그림에서는 바다를 표현하는 데에 거친 선으로 나타났다. 후기의 제22회 그리기에서는 얼굴에서 머리 표현과 표정의 표현이 세부적인 표현으로 바뀌었다. 소재는 인물과 의인화된 동물들과 같이 다양한 소재가 표현되었다. 그리고 공간표현에 있어서 초기에는 주제가 화면의 상반부에 그려져 유아중심의 공간표현이 나타냈으나, 제19회와 제22회의 그리기에서는 기저선을 사용함으로써 공간개념이 발달된 것을 볼 수 있었다. 이와같이 종이접기와 그리기를 적용한 다양한 조형활동을 통하여 초기에 나타났던 전도식기의 유아의 표현발달단계의 특징들이 점차 도식기의 아동들의 표현특징인 공간적인 표현과 기저선의 사용 및 측면 묘사가 나타남로써 미술 표현발달단계의 향상을 보여주었다.;Paper Folding is the one of art activities that helps to make three-dimensional form through paper. Children's art activities can be a communication channel for expressing their sense of self, inner world thought and imaginations. And various approaches of art activity seems to help their physical, spiritual development through various art materials and methods. Also various art material and methods can decrease their resistance to changes and help in the development of the children's imitation skills and eye-hand coordination. This thesis is a case study on Paper Folding for the Pre-symbolic stage child. For the study, the comprehensive approach has been developed to Paper Folding, which include adding a process of drawing and decorating on the Paper Folding. The study has been conducted to two children, from May to October of 2001. To evaluate the development of the child's difference distintion diagram and of the child's drawing through Paper Folding A teaching plan was based on 'Education Guide Book to lecture for beginning paper folding and years of my Paper Folding's clas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children in the perception of diagrams of triangle and square was found in the study. At the first stage the children could not make a distintion between triangle and square. However, through the teaming process, at the end of the study they clearly discriminated the diagrams. 2. The Painting of the Pre-symbolic stage children were differ in the study in terms of the quality and form of line, and its composition As fur the linear quality, in the case of the boy, at the beginning 'quickly drawn line' was the most often used one, but at the end of study, the use of the 'quickly drawn line 'was gradually decreased. In the case of the girl, at th beginning, 'swinging line' and 'quickly drawn line' were used more often but at the end 'quickly drawn line' was also gradually decreased. And as for the composition, figure of person wa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campus and revealed their lack of sense of space. However, at the end of study the girl used the 'baseline' both on the upper and lower side. It represents the evidence of an development of the spacial sense.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come to an conclusion that the sense of space and use of the base line in their Paper Folding decoration were developed through the comprehensive approach of this study. It clearly showed an characteristic development of art expression towards the symbolic stage. Therefore, children's art expression capability were developed through the comprehensive approach of Paper Folding with drawing and decorating process in this case stud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ⅸ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 방법 = 1 C. 연구의 범위 = 2 D. 연구의 제한점 = 2 Ⅱ. 이론적 배경 = 5 A. 유아기의 발달 = 5 1. 유아기의 일반적인 발달 = 5 2. 유아기의 미술표현 발달 = 12 B. 유아기의 미술교육 = 13 1. 유아의 놀이를 통한 조형활동 = 18 2. 종이접기활동의 교육적 효과 = 20 Ⅲ. 사례 연구 및 결과 = 27 A. 연구방법 및 내용 = 27 B. 연구과정 = 28 C. 연구도구 = 29 D. 연구결과 = 33 Ⅳ. 결론 = 77 참고문헌 = 99 Abstract = 10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44174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종이접기-
dc.subject5세아동-
dc.subject도형인식-
dc.subject그림변화-
dc.title종이접기를 통한 5세 아동의 도형인식과 그림변화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CLASS STUDY OF PAPER FOLDING FOR CHILDREN'S DRAWING-
dc.format.pagex, 10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dc.date.awarded2002.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