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35 Download: 0

영재학생 지도교사들의 영재학습평가에 대한 인식

Title
영재학생 지도교사들의 영재학습평가에 대한 인식
Other Titles
Recognition about Learning Test for the Gifted of Teachers in charge of Education for Gifted Students
Authors
김혜선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물리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21세기 지식기반사회를 맞이하여 국가의 경쟁력은 그 나라의 인적자원을 키우는데 달려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세계 각국은 예전부터 국가나 사회를 위해 창조적인 산물을 만들어 낼 수 있는 영재에 대해 관심을 갖고 교육을 시켜왔다. 우리나라도 2002년 영재교육진흥교육법이 시행되고 영재교육에 대한 체계적인 관심이 드러나고 있다. 영재의 판별이나 특성에 관한 연구가 많이 행해졌고 요즘 프로그램과 영재교육과정에 대한 많은 연구가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영재의 평가에 관해서는 거의 연구가 행해져 있지 않다. 영재교육과정에서의 프로그램내에서의 산출물에 대한 일반적인 지침은 있어도 영재학습평가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들은 없는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영재학습평가가 현장에서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영재를 지도하는 교사들이 어떤 평가를 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설문의 내용은 크게 3가지로 영재지도교사들이 해온 영재학습평가, 영재교사들이 생각하는 바람직한 평가, 영재학습평가의 활용과 바람직한 개선방안이다. 첫 번째의 조사문항에는 영재지도교사들이 사용한 교수학습모형과, 교수학습활동, 평가하고 싶었던 요소, 활용한 교육평가유형, 학습평가유형, 지필평가유형과 평가의도여부를 묻는 문항이 들어있고, 두 번째의 조사문항에는 영재지도교사들이 생각하는 영재학습평가에서 중요한 평가방법과 평가요소와 평가도구가 갖추어야 할 점이었다. 세 번째의 조사문항에는 영재학습평가의 활용에 대한 영재지도교사들의 의견과 영재학습평가를 위해 지원되어야 할 점과 영재학습평가의 개선될 점이 구성되어 있다. 영재지도교사들이 가장 많이 활용한 수업모형은 발견학습이었고, 가장 많이 활용한 교수학습활동은 토의와 과제연구와 실험이었다. 영재지도교사들이 평가하고 싶었던 요소는 문제해결력이었다. 활용한 교육평가유형은 과정과 결과를 함께 평가하는 혼합형 평가였다. 활용한 학습평가유형으로는 지필평가와 교사관찰과 과제연구가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활용한 지필평가의 유형에서는 논술형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평가의도에 대해서는 64.4%가 평가의도가 잘 반영되었다고 대답했다. 영재학습평가에서 중요한 평가방법과 평가요소에 대한 교사들의 의견을 묻는 문항에서는 순위별 조사를 하였는데 보고서 평가, 실기/실험 평가가, 구두평가, 논술평가를 중요하게 생각했다. 영재학생을 평가할 때 평가해야 하는 평가요소 중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창의성과 문제해결력이었다. 영재학생에 대한 평가도구가 갖추고 있어야 하는 요건에는 창의성을 측정할 수 있는 평가도구, 문제해결력을 측정할 수 있는 평가도구여야 한다는 응답이 높았다. 영재학생에 대한 평가의 활용에 대해서는 영재학습자가 다음의 학습활동을 하는데 있어서 참고자료로 활용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고, 평가결과 프로그램이나 교육과정의 개발에 반영해야 한다는 의견이 있었다. 영재학생평가와 관련하여 개선되거나 보충해야할 내용으로는 평가도구가 다양하지 못한 점과 평가와 학습이 함께 가야한다는 학습평가 연계의 원리가 지켜져야 한다는 의견, 평가틀의 개발이 필요하다는 의견, 영재학습자의 특성에 맞는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의견이 주를 이루었다. 영재지도교사들의 설문을 통해 영재지도교사들이 영재학생을 평가하는 데 있어서 창의성과 문제해결력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영재학생의 학습평가에서 영재학습자들을 위한 구체적인 평가틀이 개발되어야 하고, 학습자의 다양성에 알맞은 평가도구를 다양하게 개발해야 하며 영재지도교사들을 위한 행정적 지원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pply basic data for improvement of learning test for science-gifted. In this study, I did field survey to search learning test for science-gifted. This questionnaire was divided by 3 areas greatly, or learning test which teachers did, desirable learning test which teachers think, opinion for practical use and desirable improvement plan. Teaching model that teachers used most was discovery teaching model. Teaching-learning activities that teachers used most are discussion, subject study and experiment. It was problem solving ability and creativity that teachers wanted to evaluate specially. One of the most popular assessment method is the written(paper-pen) test and both teacher observation and subject examination are also used. Type of written(paper-pen) test utilized most is statement style. Valuation methods that teachers think most importantly are report, practical skill/experimentation test, oral test and essay-typed performance. Among learning test element, teachers thought creativity and problem solving ability most importantly. Teachers think that an estimation tool must be a tool that can measure problem solving ability, creativity and thinking faculty. Limiting factors for an accurate, proper assessment are limitation of method, and ambiguity of criteria. Such details for improvement are associated with definite criteria, a development of evaluation tool and administrative-financial support.
Description
☞ 이 논문은 저자가 원문공개에 동의하지 않은 논문으로, 도서관 내에서만 열람이 가능하며, 인쇄 및 저장은 불가합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물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