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소영-
dc.creator이소영-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42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42Z-
dc.date.issued200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845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491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8451-
dc.description.abstract음악치료에서는 치료사와 클라이언트의 관계가 중요한 치료적 요인이므로 클라이언트에 대한 치료사의 반응이나 감정 상태, 즉 음악치료사의 역전이를 탐색하는 일은 치료사에게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음악치료사의 역전이 경험 양상과 음악치료사의 전문적 특성에 따른 역전이 관리능력을 탐구해 봄으로써 음악치료사가 역전이를 관리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음악치료 임상 실습과 인턴십을 거쳐 음악치료 대학원 과정을 수료 또는 졸업한 후 전문적인 음악치료를 제공하고 있는 음악치료사 62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치료사의 역전이 경험 질문지 분석에서 응답자의 약 84%가 역전이로 인한 어려움을 경험한 적이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경험의 최초 시기는 대학원 실습 과정 중이 전체의 48%, 졸업 후 3년 이내가 27%, 인턴십 과정 중이 14%로 나타났다. 응답자가 역전이로 인한 어려움을 경험했던 치료 대상은 정신질환 성인이 가장 많았고 다음이 발달장애 아동이었다. 역전이로 인한 어려움을 경험한 적이 있는 응답자의 약 76%가 역전이를 어느 정도 관리할 수 있게 되었다고 응답하였으며, 전체 응답자의 대부분이 역전이 탐색 및 관리가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역전이 관리를 위해 어떤 방법이 좋겠는지를 묻는 질문에 대해 자기 분석 및 자기치료를 통해서가 54%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고, 수퍼비전을 통해서가 33%, 대학원 수업 과정 중에 다루어야 한다는 의견이 13%를 차지하였다. 둘째, 음악치료사의 역전이 반응 질문지 분석에서는 사랑과 인정 영역의 평균 점수가 가장 높았다. 문항별로는 ‘클라이언트에게 자신이 의미 있는 존재로 받아들여지기를 원하였다’, ‘클라이언트와의 음악치료 과정에서 기력 소진과 탈진을 경험하였다’, ‘클라이언트를 항상 음악적으로 지지해주려고 하였다’의 3개 문항이 19개의 문항 중 높은 평균값을 나타냈다. 음악치료사의 역전이 반응과 관리능력의 관계를 상관관계분석과 일원분산분석을 통해 살펴본 결과 역전이 반응 점수가 높을수록 자기통찰 점수는 높아지는 반면, 불안관리 점수는 낮아졌다. 셋째, 음악치료사의 학력에 따른 역전이 관리능력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관리능력 하위변인 전 영역에서 학력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관리능력의 평균값이 뚜렷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음악치료사의 임상경력에 따른 역전이 관리능력은 임상경력이 많은 집단에서 관리능력이 높게 나타났고, 관리능력 하위변인 중에서는 자기통합과 공감능력에서 집단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음악치료사의 수퍼비전 경험에 따른 역전이 관리능력은 수퍼비전 횟수가 많은 집단에서 관리능력이 높게 나타났고, 관리능력 하위변인 중에서는 개념화기술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음악치료사의 자기치료 경험에 따른 역전이 관리능력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자기치료 경험이 있는 집단이 자기치료 경험이 없는 집단에 비해 관리능력 하위변인의 전 영역에서 더 높은 평균값을 보였다. 음악치료 임상의 모든 치료 관계에서 역전이는 일어날 수 있으며, 그것은 치료에 긍정적, 혹은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고, 치료사 또한 역전이로 인한 갈등을 겪거나 어려움에 봉착할 수 있다. 음악치료에서 치료사의 역전이를 민감하게 인식하는 것은 효과적인 치료 관계를 형성하여 성공적인 치료 성과를 가져오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함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 음악치료사의 역전이를 다룬 연구는 미비한 상황이다. 따라서 음악치료사의 역전이 경험과 역전이 반응 및 관리능력을 실증적으로 살펴본 본 연구는 음악치료사들로 하여금 치료사 본인 및 클라이언트를 위해 자신의 역전이를 관리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중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The relationship between a music therapist and a client is a decisive factor for treatment in music therapy. Because of this, it is an essential requirement to sensitively recognize and understand countertransference, including therapists' responses and emotional statu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ffer fundamental data to manage countertransference, and to research into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ability by aspects in therapists' experience in countertransference and their professional characters. For the paper, a survey was conducted on 62 music therapists who provided professional music therapy after finishing graduate school of music therapy through clinical practice and internship, and the result was drawn as follows. First, around 84% of participants answered that they had been in trouble by countertransference in the analysis of a questionnaire regarding experience in countertransference. 48% among them first experienced countertransference during the practice in graduate school. 27% and 14% respectively answered that they experienced it within 3 years after graduation and during internship. Also, the result showed that therapists usually had difficulty with adults with mental disease, and the second most difficult clients wer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76% of participants who had difficulty by countertransference answered that they were able to manage it to some degree, and almost all who answered thought that research into countertransference and management were necessary. About the question as to how to manage countertransference, 54% suggested self-analysis and self-therapy. 33% answered that countertransference should be treated through supervision. Finally, 13% of participants answered that it should be handled in graduate school. Second, the average scores in the fields of love and recognition were highest in the analysis of a questionnaire of music therapists' countertransference response. Among 19 questions, the highest average scores appeared in these three: 'I wanted to be accepted as a meaningful person to a client', 'I have experienced loss of energy and exhaustion during music therapy with a client', and 'I have attempted to musically support a client.' The relationship between music therapists' countertransference and management ability was studied by correlation analysis and one-way ANOVA. The result showed that when a therapist obtained higher countertransference response scores, he or she displayed higher scores in self-insight, but the scores of anxiety management became lower. Third, although there was no difference in management ability in statistics according to educational background, the average scores of management ability markedly increased in all of the subordinate items of management ability as the level of education was raised. In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ability by therapists' clinical careers, a group which had more clinical careers showed higher management ability,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integration and empathic ability among subordinate items of management ability between the two groups. About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ability by therapists' experience in supervision, a group which more frequently conducted supervision showed higher management ability, and there was a considerable difference in conceptualing skills among the subordinate items of management ability between the two groups. In fac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ability by therapists' self-therapy in statistics, but a group that had experience in self-therapy revealed higher average scores than a group that had no experience in overall subordinate items of management ability. At all times there is a possibility that countertransference may occur in all the relations during a music therapy clinic, and that will have either a positive or negative effect on therapy. Moreover, a therapist may experience difficulties or meet complications by countertransference. In fact, sensitively recognizing therapists' countertransference in music therapy forms the relation for effective therapy, and take an important role in bringing about a successful outcome. Nevertheless, it is very difficult to find studies handling music therapists' countertransference in the country. Accordingly, in this paper, which empirically examined therapists' experience in countertransference and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ability had meaning in providing essential basic data for music therapists to apply and manage countertransference for therapists themselves, as well as for client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4 Ⅱ. 이론적 배경 = 5 A. 역전이 = 5 1. 역전이의 개념 = 5 2. 역전이 모델 = 9 3. 역전이 통찰의 필요성과 역전이 관리능력 = 13 B. 음악치료에서의 역전이 = 16 1. 음악치료에서의 역전이 개념과 역전이 반응 = 16 2. 음악치료에서의 역전이 관리의 필요성 = 20 Ⅲ. 연구방법 및 절차 = 24 A. 연구대상 = 24 B. 조사도구 = 27 1. 음악치료사의 일반적 특성 질문지 = 28 2. 역전이 경험 양상 질문지 = 28 3. 역전이 관리능력 질문지(CFI: Counter-transference Factors Inventory) = 30 C. 자료 처리 및 결과 분석 = 31 Ⅳ. 연구 결과 및 해석 = 33 A. 음악치료사의 역전이 경험 양상 = 33 1. 음악치료사의 역전이 경험 = 33 2. 음악치료사의 역전이 반응 = 41 3. 음악치료사의 역전이 반응과 역전이 관리능력과의 관계 = 44 B. 음악치료사의 전문적 특성에 따른 역전이 관리능력 = 47 1. 음악치료사의 학력에 따른 역전이 관리능력 = 47 2. 음악치료사의 임상경력에 따른 역전이 관리능력 = 48 3. 음악치료사의 수퍼비전 횟수에 따른 역전이 관리능력 = 49 4. 음악치료사의 자기치료 경험에 따른 역전이 관리능력 = 50 Ⅴ. 결론 및 제언 = 51 A. 요약 및 논의 = 51 B. 연구의 의의 및 제언 = 57 참고문헌 = 60 부록 = 64 ABSTRACT = 7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2591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781-
dc.title음악치료사의 역전이 경험 양상과 역전이 관리능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Aspect of Music Therapists' Experience in Countertransference and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Ability-
dc.creator.othernameYi, So-Young-
dc.format.pageⅸ, 7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치료교육전공-
dc.date.awarded2007.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