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1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지희-
dc.creator김지희-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42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42Z-
dc.date.issued200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797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491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7979-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phonation training and aerophone performances on improvement of dysphagia handicapped people' oral muscles. Since dysphagia handicapped people have difficulties in moving, controlling and coordinating the oral and pharynx muscles, they feel it difficult to chew and swallow the foods and control the voice. Jaw, lips and tongue which move during food chewing are the important organs for speech. Hence, if such voice control organs could be improved in terms of their functions, not only speaking ability but also dysphagia might be improved. Musical instrument performance and phonation training would help to improve movements, positioning and vocal production of such oral muscles as jaw, cheeks, tongue and lips, and therefore, help to strengthen the oral muscles for precise voice coordination. Based on these theories, this study attempted to prove the effects of music activities on improvement of dysphagia handicapped people's oral muscles. To this end, the researcher sampled 3 dysphagia handicapped adults and then, operated a total of 16-round personal sessions twice every week for about 10 weeks. Each session continued for 30 minutes. The music therapy program consisted of breathing exercise, vowel production and aerophone performance. Before and after this program was operated, subjects' oral movements during meal taking, their vowel coordination and diadochokinesis were measured. The results of such measurements were processed for means, standard deviations and statistical differen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the music therapy was found to have subjects' oral movements during meal-taking significantly; second, precision of subjects' lip positioning for vowel coordination differed significantly before and after the therapy. Third, subjects' diadochokinesis was improved by the therapy, but not significantly. All in all, this study proved that phonation training and aerophone performance could help to improve dysphagia handicapped people's oral muscle movements, and therefore, it is conceived that music therapy may be approaches of new possibilities to treat dysphagia handicapped people.;본 연구는 발성훈련 및 취주악기 연주 중심의 음악치료 활동이 연하장애인의 구강근육 기능 강화에 효과가 있는지 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하장애인은 구강과 인두 기관들의 근육을 움직이고 통제, 협응하는 데 있어서 어려움이 있기에 연하장애 환자들은 음식물을 씹고 삼키는데 문제가 되는 연하와 조음에 문제를 가지고 있다. 음식을 씹을 때 움직이는 턱과 입술과 혀는 말을 할 때 필요한 조음기관으로써도 중요한 기관이다. 그렇기 때문에 조음기관의 기능 향상은 언어 산출에 있어서 뿐만 아니라 연하 장애에 개선효과를 가져오게 되므로 매우 중요한 가치를 가진다. 취주 악기 연주와 모음발성훈련은 턱, 볼, 혀와 입술 등 구강근육 움직임과 위치, 소리 생산의 강화를 가져올 것이며 명확한 조음에 필요한 구강근육을 강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연하장애인에게 위 같은 원리를 기본으로 하는 음악 활동을 개입하여 연하장애인의 구강근육 기능 강화에 효과를 미칠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3명의 연하장애 성인을 대상으로 약 8주에 걸쳐 매주 2회, 각 30분 구성으로 총 16회기 개별 세션을 실시하였다. 음악치료 프로그램은 호흡운동, 모음발성, 취주악기 연주를 도입한 활동을 기본으로 구성되었으며 연구의 사전·사후에 식사시 구강운동의 기능, 모음조음 명료도, 교호운동의 수치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결과는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한 후 통계적 차이검증을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음악치료 개입 전·후로 모든 대상에게서 식사시 구강운동의 기능이 향상되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음악치료 개입 전·후로 모음조음 명료도에 있어서 입모양 정확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소리 정확도에서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나타냈다. 셋째, 음악치료 개입 전·후로 구강과 인두의 협응을 알아보는 교호운동 기능에 있어서 모든 대상의 사후 횟수는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게 측정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였을 때, 발성훈련 및 취주악기 연주 중심의 음악치료 활동은 연하장애인의 구강근육의 기능 강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연하장애가 있는 대상의 치료에 있어서 음악치료 활동은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겠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4 Ⅱ. 이론적 배경 = 5 A. 연하장애의 개념과 특성 = 5 1. 연하장애의 정의 및 증상 = 5 2. 연하장애의 원인 및 치료 = 6 B. 연하의 구조 및 단계 = 9 1. 연하과정의 단계 = 9 2. 구강 단계에 필요한 근육 = 10 3. 연하에 관련되는 구강 구조 = 11 C. 연하장애인의 구강근육 강화를 위한 음악치료 활용 = 12 1. 구강근육 강화를 위한 치료적 발성 훈련 = 15 2. 구강근육 강화를 위한 취주악기 활동 = 19 Ⅲ. 연구 방법 = 23 A. 연구 대상 = 23 B. 연구 방법 = 25 1. 연구 기간 = 25 2. 연구 방법 및 절차 = 25 C. 음악치료 프로그램 구성 및 내용 = 26 D. 측정도구 및 방법 = 31 Ⅳ. 연구 결과 = 34 A. 구강근육 기능에 대한 실험 결과 = 34 1. 구강 근육의 기능 평가 = 34 2. 모음 조음 명료도 평가 = 39 3. 교호운동 평가 = 46 B. 음악활동 안에서의 변화 = 52 1. 발성 훈련 = 52 2. 취주악기 연주 = 55 Ⅴ. 논의 및 결론 = 58 A. 논의 = 58 B. 결론 = 58 참고문헌 = 62 부록 = 68 부록1 회기별 음악치료 프로그램 = 68 부록2 조음의 시각적/청각적 평가 기록지 = 79 부록3 구강운동 기능 평가표 = 80 부록4 세션에 사용된 악보 = 82 ABSTRACT = 8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2420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781-
dc.title연하장애인의 구강근육 기능 강화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Effects of Phonation Training and Aerophone Performance on Improvement of Dysphagia Handicapped People's Oral Muscles-
dc.creator.othernameKim, Jee Hee-
dc.format.pageⅷ, 8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치료교육전공-
dc.date.awarded2007.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