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구새롬-
dc.creator구새롬-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42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42Z-
dc.date.issued200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795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491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7957-
dc.description.abstractThe period of adolescents is not only the transition stage but also huge growth in developmental level, new accomplishment, and improvement of academic level. In this level of stage, adolescents have difficulties in development, so they show psychological abnormality such as stress and depression. They could develop mental disorder such as depression or anxiety if that they do not overcome the abnormality.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that the insufficiency of the decent program for adolescents' mental health in the current society, we are strongly requested to develop the psycho-therapeutic program for them. Therefore,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effect of the musical activities as blues music structure on the improvement of the Self-Efficacy in the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who have depressive tendencies as well as what they experienced through the activities. The 3 participants were selected out of 70 students in the first year at the "D" middle school in Seoul by being tested with Child Depression Inventory(CDI) and Self-Efficacy Scale(SES). At the beginning, researcher started musical activities with 4 female students as a group, however, 3 of them remained to the end in the activities. That musical activities contained 10 time sessions including play of blues music structure with instruments and performed for 40 minutes once or twice a week as a group session. The musical activities were built with 3 steps. Of which, the first one was that the introduction to each other, the formation of rapport, and induction of their interests to the musical activities through blues. The second one was letting participants learn the blues music structure by practice and play assigned music(including improvisation) during later 5 sessions with different difficulties at each session. The third one was giving them opportunities to play a music out of the acquired ones during the session or creative music by their own, which results in maximizing musical activities and an acquired experience. The 3 criteria used to measure the effects of musical activities via blues music structure on depressive tendency and self-efficacy were CDI, SES, and SES for musical playing. The quantitative data with answers for after tests was analysed by scores of the inspection tests and paired samples T-test for average using SPSS Win 12.0 program. As a qualitative data of musical activities, participants' answers, based upon their experiences through the program, for an after interview questionnaire established by a researcher were obtained and analysed. With an after interview questionnaire, the every session of program and the meaning of self-experience by musical activities that participants recognized and were aware of were evaluated. In addition, the depiction on each session by an individual indicated the changes within the CDI, SES, SES for musical playing, and video materials. As a result, first of all, the scores of CDI test of 3 participants in 10 time sessions showed slight changes, suggesting the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CDI and SES even though changes were not big difference. Secondly, the scores of SES test of 3 subjects in 10 time sessions were all changed and especially preference for tasking was significant. Thirdly, the scores of SES for musical playing test of 3 participants in 10 time sessions were all changed and especially preference for musical tasking was significant shown. Fourthly, according to answers of 3 participants in 10 time sessions for the after questionnaire on musical activities, participants experienced affirmative self-confidence and positive emotion. Taken together, it was suggested that musical activities using blues music structure could be promising therapeutic intervention method.;청소년기는 아동에서 성인으로 가는 과도기적 단계로 모든 발달영역에서의 발달과 새로운 역할 수행, 학업수준의 향상으로 인한 부담감 등 커다란 변화를 겪게 된다. 이 시기에 청소년은 발달과제에 부딪치면서 과제수행 성취를 못 해내거나 변화로 인한 좌절이나 갈등을 반복하는 경우 스트레스와 우울 같은 심리적 어려움을 토로하게 되고, 성숙한 대처를 못하거나 극복하지 못하는 경우 우울이나 불안 같은 정신장애를 얻기도 한다. 현대 사회의 청소년을 위한 실질적인 정신건강이나 정신장애에 대한 대응과 예방은 미비하며, 이에 청소년을 위한 상담이나 심리치료 프로그램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우울 성향을 가진 여중생에게 ‘블루스 음악형식을 활용한 자기효능감 증진 연주활동’을 시행하여 참여자들의 우울과 자기효능감에 대해 미치는 영향과 대상자들이 연주를 통해 어떠한 경험을 했는지에 대한 질적인 내용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서울시 소재 D중학교 1학년에 재학 중인 여자 중학생 3명으로서 연구자가 70여명의 학생들에게 아동우울척도(CDI)와 자기효능감척도 검사를 실시하여 선별한 여학생들이다. 연구자는 처음 4명의 학생들을 그룹으로 구성하여 주 1~2회 총 10회기로 블루스 음악형식을 활용한 연주활동을 진행하였고 마지막 사후 검사까지 참여한 학생들은 3명이었다. 실시된 10회기의 연주활동은 3단계로 나누어지는데, 1단계에서는 자기소개와 라포 형성, 블루스 음악소개와 블루스 음악형식 연주를 통한 활동에 대한 흥미를 유발을 목표로 진행하였다. 2단계에서는 블루스 음악에서 자주 볼 수 있는 특징적인 부분인 부점, 셋잇단음표, 엇박자를 활용한 블루스 음악형식을 연주해 익히고, 5회기동안 각 회기에서 수행하는 음악과제의 난이도를 달리하며 음악연주과제(즉흥연주 포함)를 수행하도록 하였다. 3단계에서는 전 단계에서 배워 연주했던 곡들을 정리하고 각 대상자들이 곡을 선택하거나 새로운 곡을 창작하여 연습한 뒤 음악연주 발표시간을 가짐으로써 완수경험의 극대화로 음악연주에 대한 경험을 확장하는 시간으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블루스 음악형식을 활용한 연주활동이 우울성향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는 아동우울척도와 자기효능감척도, 그리고 음악연주에 대한 자기효능감척도를 사용하였다. 사전·사후검사로 수집된 양적자료는 대상자들의 사전 사후 점수결과와 평균에 대한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여 얻었고, 참여자들의 음악 활동에 대한 질적 자료를 얻기 위한 방법으로 연구자가 개발한 사후 인터뷰 질문지를 실시하여 참여자들이 인식한 프로그램 내용과 음악활동을 통한 자기경험의 의의와 내용을 알아보았다. 또한 참여자들로 음악 경험을 통해 어떠한 변화와 자각을 했는지 보고자 각 대상자에 대한 매회기에 대해 질적으로 서술하여 그 과정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연주활동에 참여한 참가자들의 우울 점수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진 않았지만 우울과 자기효능감이 부적상관관계가 있음을 볼 수 있었다. 둘째 연주활동에 참여한 참가자들의 자기효능감에 미친 영향으로는 자기효능감의 세 가지 하위영역 중 과제난이도선호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셋째로 연주활동에 참가자들의 음악연주에 대한 자기효능감에 미친 영향에 대한 결과로 세 가지 하위영역 중 과제난이도 선호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넷째, 사후 인터뷰 질문지의 내용과 대상자들의 각 회기 세션 내용을 질적으로 서술하고 분석해 본 결과 대상자들은 블루스 음악형식 연주활동을 통해 과제난이도를 달리하여 연주활동을 했을 때, 자신감을 경험하고 긍정적인 정서를 경험했으며 대상자들에게 의미 있는 경험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주활동의 효과와 대상자들의 음악경험의 결과와 의미를 볼 때에 블루스 음악형식을 활용한 연주활동이 치료적인 중재 도구로서의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의의 = 1 B. 연구목적 = 4 C. 연구문제 = 5 D. 용어의 정의 = 6 Ⅱ. 이론적 배경 = 7 A. 청소년기 = 7 1. 청소년기의 발달 특성 = 7 B. 청소년 우울 = 11 1. 우울 = 11 2. 청소년 우울의 심각성과 보편성 = 11 3. 청소년 우울의 요인 = 13 C. 자기효능감과 우울 = 15 1. 자기효능감의 정의와 특징 = 15 2. 자기효능감과 우울 = 18 D. 청소년을 위한 음악치료 = 19 1. 음악이 청소년기에 미치는 영향 = 19 2. 청소년을 위한 음악치료 = 21 E. 블루스 음계를 활용한 음악치료 = 25 1. 블루스 음악의 기원과 발달 = 25 2. 블루스 음악형식과 치료적 의미 = 26 3. 음악치료에서의 블루스 음악 활용 = 29 4. 블루스 음악형식을 활용한 자기효능감 증진 연주활동 = 31 Ⅲ. 연구방법 = 35 A. 연구대상 = 35 1. 선정과정 = 35 2. 연구대상 = 36 B. 측정도구 = 39 1. 아동우울척도 = 39 2. 자기효능감척도 = 39 3. 음악연주에 관한 자기효능감척도 도구 = 40 4. 사후 인터뷰 질문지 = 40 C. 연구 설계 및 절차 = 41 1. 연구 설계 = 41 2. 연구절차 = 42 D. 연구 자료 분석 = 43 E. 블루스 음악형식을 활용한 연주활동 목표 및 구성 = 43 1. 연주활동 프로그램 목표 = 43 2. 연주활동의 구성과 내용 = 44 Ⅳ. 연구결과 = 57 A. 척도검사 결과 = 57 1. 아동우울척도 사전·사후 점수결과 비교 분석 = 57 2. 자기효능감척도 사전·사후 점수결과 비교 분석 = 59 3. 음악연주에 대한 자기효능감척도 사전·사후 점수결과 비교분석 = 62 B. 음악치료 활동 참여 후 사후 인터뷰 질문지 내용 기술 = 65 C. 회기별 대상자의 음악적·언어적 반응 내용 서술 = 71 Ⅴ. 결론 및 논의 = 102 A. 결론 = 102 B. 논의 = 103 참고문헌 = 105 부록 = 113 ABSTRACT = 12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4790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781-
dc.title우울 성향 여중생의 블루스 음악형식을 활용한 자기효능감 증진 연주활동-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Musical Instrumental Playing Activity using Blues Music Structure for the Improvement of Self-Efficacy in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who have Depressive Tendencies-
dc.creator.othernameKoo, Sae Rom-
dc.format.pageⅹ, 12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치료교육전공-
dc.date.awarded2007.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