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5 Download: 0

지역사회 직업교육환경에서 상황중심 안전기술 교수가 정신지체 고등학생의 위험대처기술 수행에 미치는 효과

Title
지역사회 직업교육환경에서 상황중심 안전기술 교수가 정신지체 고등학생의 위험대처기술 수행에 미치는 효과
Other Titles
Effects of a Situation-Based Instruction on the Performance of Safety Skills of Adolescents with Mental Retardation in a Community Vocational Education Setting
Authors
정보연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situation-based instruction on the performance of safety skills of adolescents with mental retardation in community vocational education setting. Four high school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participated in the study.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subjects was used to interventions, maintenance conditions for examine the effects of a situation-based instruction on the performance of safety skills of adolescents with mental retardation in community vocational education setting. We designated ten possible situations(five dangerous situation and two concrete dangerous situations each) which are likely to occur community vocational education setting for high school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to teach how to cope with dangerous situations. We did ten role plays about step of handling dangerous situations based on situation-based instruction so that we could figure out the safety skills. Intervention assessment was done by the teacher and the one scorer before next session. Maintenance was conducted after three weeks of ending interven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when the situation-based instruction of safety skills were applied to high school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the score of performance on the safety skills increased. Second, the safety skills were maintained during more than three weeks after fading the intervention. Based on the results aforementioned, it could be concluded that the situation-based instruction of safety skills for high school student with mental retardation is effective.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take part in community events and they confront a variety of dangerous situations. And any instruction was not done. However we can make sure of the effects of situation-based instruction after applying it to the real situations. We also think that this instruction will be effective for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We have to apply situation-based instruction to the possible dangerous situations at the following study. Through this study we result in developing various teaching methods depending on gender, age and the degree or the characteristics of disability.;장애학생들을 지역사회 환경에 성공적으로 통합시키기 위한 노력으로 지역사회의 기능적 기술들을 실제 지역사회 환경 내에서 교수하는 일들이 증가하면서 장애학생들은 지역사회 내에 존재하는 다양한 위험상황에 이전보다 더 많이 노출되어졌다. 이에 위험을 인식하고 대응하는 능력이 제한된 장애학생들에게 환경적인 위험을 줄이면서 지역사회 통합을 촉진하고 지역사회 안에서의 최적의 기능성을 조장하기 위하여 위험대처기술 교수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특히 성인기를 준비하는 고등부 장애학생들의 경우 성인기의 삶의 다양한 영역들에서 요구되는 기술들을 실제 지역사회 환경에서 교수하는 일이 많아지게 되었고, 지역사회 안에서 위험한 상황의 발생 가능성도 높아지게 되었으며, 이러한 위험상황에 적절하게 대처하는 방법을 교수하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 직업교육환경에서 상황중심 안전기술 교수가 정신지체 고등학생의 위험대처기술 수행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연구 참여자는 특수학교 고등부 3학년에 재학하고 있는 정신지체 고등학생 네 명으로 생활연령이 만 18세 이상이고 직업 환경에서 요구되는 위험대처기술에 대한 교육을 받아 본 경험이 없는 학생, 언어적 지시에 따라 행동을 수행할 수 있으며 단어수준 또는 행동으로 상황을 표현할 수 있는 학생을 선정하였다. 정신지체 고등학생에게 위험대처기술을 교수하기 위하여, 지역사회 직업교육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상황 5가지 종류의 10가지 구체적 상황을 선정하고, 위험상황 이해하기, 위험상황에 대처하는 행동 연습하기를 포함한 10가지의 역할극을 통하여 지도하는 상황중심 안전기술 교수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자간 중다간헐기초선 설계(multiple probe design across subjects)를 사용하였으며, 중재는 역할극을 중심으로 상황중심 안전기술 교수를 시행하였다. 그리고 평가는 다음회기 시작 전에 연구자와 채점자 1인에 의해 실시되었고, 중재가 종료된 3주 후에 유지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사회 직업교육환경에서 상황중심 안전기술 교수는 정신지체 고등학생의 위험대처기술 수행을 향상시켰다. 둘째, 지역사회 직업교육환경에서 상황중심 안전기술 교수로 향상된 정신지체 고등학생의 위험대처기술은 중재가 종결된 이후에도 유지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하여 상황중심 안전기술 교수는 정신지체 고등학생에게 지역사회 직업교육환경에서 요구되는 위험대처기술을 수행하게 하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정신지체 학생들의 지역사회 참여가 증가하면서 부딪히게 되는 여러 가지 위험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교수가 거의 실시되지 않고 있는 교육 현장에서 상황중심 안전기술 교수를 실시하고 그 효과를 확인해볼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졸업을 앞두고 있는 고등부 3학년 정신지체 학생을 대상으로 실제 직업교육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상황을 선정하고 지역사회의 직업교육환경에서 상황중심 안전기술 교수를 실시하고 그 효과를 확인해볼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상황중심 안전기술 교수가 교육현장에서 정신지체 학생들에게 위험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교수방법의 하나로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후속 연구에서는 보다 폭 넓은 범주의 대상 학생들에게 보다 다양한 위험상황을 선정하여 상황중심 안전기술 교수를 적용시켜보는 연구들이 필요하며, 또한 정신지체 학생들의 안전기술 수행을 위해 장애 특성과 장애 정도, 성별, 생활연령 등을 고려한 다양한 교수방법 개발이 요구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