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5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세연-
dc.creator김세연-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41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41Z-
dc.date.issued200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764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490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7645-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odified constraint-induced intervention focused on functional activity on “hand function” and “hand use” for infants with hemiplegic cerebral palsy. This study is administered to fourteen infants with hemiplegic cerebral palsy. After applying modified constraint-induced intervention focused on functional activity for seven infants of experiment group and conventional occupational therapy for seven infants of control group which is the rest of subjects, the effects of “hand function” and “hand use” between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were compared. PDMS-2 developed by Folio and Fewell(2000) which evaluates grasping, visual-motor integration and fine motor quotients was used to measure the infants's "hand function". PMAL(Pediatric Motor Activity Log) developed by Taub, Ramey, DeLuca, and Echols(2004) which evaluates frequency and skillfulness was used to measure their "hand use". For the analysis of the study results,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utilized to compare improvement of “hand function” and “hand use” between groups. And the nonparametric Mann-Whitney U test was also utilized to find difference between group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tandard score of grasping gained from experimental group is high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and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ce(U = 4.500, z = -2. 602, p < .01). Second, the standard score of visual-motor integration gained from experimental group is high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and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ce(U = 3.000, z = -2. 829, p < .01). Third, the fine motor quotients gained from experimental group is high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and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ce(U = 1.000, z= -3.033, p < .01). Fourth, the frequency of "hand use" gained from experimental group is high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and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ce(U= 1.500, z= -2.952, p < .01). Fifth, the skillfulness of "hand use" gained from experimental group is high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and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ce(U= 0.000, z= -3.148, p < .01). The result from this study shows that modified constraint-induced intervention focused on functional activity is an effective intervention for infants with hemiplegic cerebral palsy in improving “hand function” and “hand use”.;편마비형 뇌성마비 아동은 성장함에 따라 다른 유형의 뇌성마비 아동보다 잘 걸을 수 있으나 상지기능은 하지에 비해 상대적으로 현저히 떨어지는 경우가 많다. 이는 동작이 자유로운 비마비측을 주로 사용하기 때문에 마비측의 기능이 떨어지는 것으로, 신경학적으로 회복이 이루어짐에도 불구하고 마비측 상지를 사용하지 않으려는 ‘학습된 무사용’과 관련이 있다. 재활치료 분야에서는 마비측의 ‘학습된 무사용’으로 인한 기능 저하를 극복하기 위해 건측 상지 운동 제한 중재가 고안되었다. 건측 상지 운동 제한 중재의 마비측 상지의 훈련시간과 건측 상지의 제한시간을 수정한 수정된 건측 상지 운동 제한 중재는 주로 뇌졸중 성인 환자에게 적용되어져왔다. 수정된 건측 상지 운동 제한 중재는 집중적이고 반복적인 훈련을 실시하는 것이 특징으로, 유아에게 실시하기 위해서는 유아의 특성을 고려해 적용할 필요가 있다. 다시 말해서, 무조건적이고 반복적인 운동 프로그램을 실시하기보다는 유아의 흥미와 관심을 반영한 소근육 운동 프로그램을 구성할 필요가 있으며, 훈련 절차와 내용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여 교수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편마비형 뇌성마비 유아를 대상으로 수정된 건측 상지 운동 제한 중재를 적용하여 중재원칙에 맞게 중재 시간을 지키고, 유아의 연령을 고려한 기능적 활동 중심의 소근육 운동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유아의 손기능과 손사용에 미치는 효과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편마비형 뇌성마비 유아 14명을 대상으로 실험그룹의 유아 7명은 기능적 활동 중심의 수정된 건측 상지 운동 제한 중재를 적용하고 나머지 7명은 전통적인 작업치료만을 적용하여 그룹간의 손기능과 손사용의 효과를 비교하였다. 기능적 활동 중심의 수정된 건측 상지 운동 제한 중재는 유아의 연령을 고려한 기능적 활동으로 구성된 소근육 운동 프로그램을 마비측 상지에 실시하는 것으로, 유아의 흥미와 관심을 파악하여 운동 프로그램에 반영하고 행동형성, 행동연쇄, 최소촉진법, 강화 등의 교수전략을 사용하여 유아에게 중재를 제공하였다. 유아의 손기능을 평가하기 위해서 Folio와 Fewell(2000)이 개발한 PDMS-2를 실시하여 잡기능력, 시각-운동 통합 능력 그리고 두 점수로부터 산출한 소근육 운동 지수를 집단간 비교하였으며, 유아의 손사용을 평가하기 위해서 Taub, Ramey, DeLuca와 Echols(2004)이 사용한 PMAL를 사용하여 집단간 손사용의 빈도와 숙련도를 비교하였다. 집단간 손기능과 손사용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통해 향상된 점수를 평균과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비교하였으며, 집단 간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비모수 통계방법인 Mann-Whitney 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능적 활동 중심의 수정된 건측 상지 운동 제한 중재를 실시한 실험집단의 뇌성마비 유아의 잡기 능력은 전통적인 작업치료를 실시한 통제집단의 뇌성마비 유아보다 더 큰 향상을 보였으며, 집단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실험집단의 뇌성마비 유아의 시각-운동 통합 능력은 통제집단의 뇌성마비 유아보다 더 큰 향상을 보였으며, 집단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실험집단의 뇌성마비 유아의 소근육 운동지수는 통제집단의 뇌성마비 유아보다 더 큰 향상을 보였으며, 집단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넷째, 실험집단의 뇌성마비 유아의 손사용의 빈도는 통제집단의 뇌성마비 유아보다 더 큰 향상을 보였으며, 집단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다섯째, 실험집단의 뇌성마비 유아의 손사용의 숙련도는 통제집단의 뇌성마비 유아보다 더 큰 향상을 보였으며, 집단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해, 기능적 활동 중심의 수정된 건측 상지 운동 제한 중재는 편마비형 뇌성마비 유아의 손기능과 손사용의 향상에 효과적인 중재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대상수가 적은 제한점이 있지만 연구결과를 통해 특수교육 현장에서 기능적 활동 중심의 수정된 건측 상지 운동 제한 중재를 적절하게 적용하여 편마비 유아의 개별적 요구에 맞는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참고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nput type="button"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6 C. 용어정의 = 6 Ⅱ. 이론적 배경 = 9 A. 뇌성마비 유아의 손기능 및 손사용 = 9 1. 손기능 발달 단계와 유형 = 9 2. 손기능 및 손사용 측정방법 = 12 B. 장애 유아를 위한 기능적 활동 중심의 소근육 운동 = 14 1. 장애 유아의 운동 특성 = 14 2. 기능적 활동 중심의 소근육 운동 프로그램 = 15 C. 수정된 건측 상지 운동 제한 중재 = 17 1. 학습된 무사용(learned nonuse) = 17 2. 뇌 가소성 = 19 3. 건측 상지 운동 제한 중재의 적용 = 22 Ⅲ. 연구방법 = 25 A. 연구 대상 = 25 B. 실험 기간과 실험 장소 = 27 C. 실험 도구 = 28 D. 실험 설계 및 절차 = 31 E. 신뢰도 = 44 F. 자료 분석 = 45 Ⅳ. 연구 결과 = 46 A. 집단간 손기능 비교 = 46 1. 집단간 잡기(grasping) 능력 비교 = 46 2. 집단간 시각-운동 통합(visual-motor integration) 능력 비교 = 48 3. 집단간 소근육 운동 지수 비교 = 50 B. 집단간 손사용 비교 = 52 1. 집단간 손사용의 빈도 비교 = 52 2. 집단간 손사용의 숙련도 비교 = 53 Ⅴ. 논의 및 제언 = 55 A. 논의 = 55 B. 연구의 제한점 = 61 C. 제언 = 62 참고문헌 = 63 부록 = 72 Abstract = 7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2643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371-
dc.title기능적 활동 중심의 수정된 건측 상지 운동 제한 중재가 편마비형 뇌성마비 유아의 손기능과 손사용에 미치는 효과-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Modified Constraint-Induced Intervention Focused on Functional Activity on Hand Function and Hand Use for Infants with Hemiplegic Cerebral Palsy-
dc.creator.othernameKim, Se Yun-
dc.format.pageⅸ, 8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dc.date.awarded2007.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