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8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원혜경-
dc.creator원혜경-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36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36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2881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484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8810-
dc.description.abstractStroke is caused by obstruction in blood circulation in the cerebral vascular, resulting in sudden clouded consciousness and paralysis in the body. Stroke is often accompanied by other disorders such as aphasia, stammering, gastroenteric disorder and etc. This circulation problem brings difficulty in gait functioning, and many studies have shown that music therapy was effective in enhancing gait problem using rhythm as the primary therapeutic element, called RAS (Rhythmic Auditory Stimul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music therapy with RAS. The study implemented music therapy sessions to a group of patients with stroke who were receiving physical and occupational therapies. The experiment was done for 8 weeks composed of weeks of music therapy intervention(A) and without music therapy interventio(B). During the experiment, 20 sessions of music therapy of RAS were provided to participants, and each session was comprised of warming up(5 mins), RAS(40 mind and finishing up(5 mins), which is 50 minutes in total. The patients' walking ability in A and B period were measured using various gait parameters respectively and compared in order to evaluate efficacy of RAS. Gait parameters included velocity, cadence, stride length, gait cycle, and symmetry ratio. Stride analyzer were used in order to collect the data,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using paired t-test.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velocity(p=.000), cadence(p=.00) and stride length(p=.000). There was decrease in gait cycle which implies the increase of walking speed. Results indicated that when music therapy was provided as additional intervention to physical and occupational therapy, the patient's gait ability was improved significantly. One limitations to this study is that the sample size is rather small, therefore, there may be a limitation when generalizing the results. There can be also other variables to consider in terms of the patients mental and physical conditions when exposed to music, which may trigger intrinsic motivation. However, this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 that music therapy can be a significant intervention in the rehabilitation setting as a team approach working with patients with cerebral apoplexy and stroke, or other disorders of gait problem.;뇌졸중은 뇌혈관에 순환장애로 인하여 갑작스러운 의식장애와 함께 신체의 반신에 마비를 일으키며 언어장애, 발음장애, 정서장애 등 중복적인 장애를 동반한다. 특히 환자들의 독립적인 생활을 위한 보행의 문제를 야기하게 되는데 이 보행능력을 개선시키고 증진시키는 방안의 하나로 많은 연구들이 신경학적 음악치료를 제안하여 왔다. 하지만 그러한 연구들은 물리치료나 작업치료 등을 배제시키고 시행할 수 없었으므로 음악치료만의 효과성에 제한점을 가지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뇌졸중 환자들을 대상으로 신경학적 음악치료의 한 방법인 Rhythmic Auditory Stimulation(RAS)를 다른 치료들과 병행하여 실시할 때와 다른 치료들만을 실시할 때 사이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를 통하여 음악치료가 다른 치료들과 더불어 뇌졸중 환자들의 보행재활에 새로운 접근방법으로서의 가능성과 그 유용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뇌졸중 환자들의 보행능력에 있어 음악치료가 개입되지 않고 다른 치료(물리치료, 작업치료)들만이 적용되는 주(A)와 음악치료가 함께 제공되는 주(B)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점이 있는가를 목표로 8주간 지속되었다. 신경학적 음악치료 방법의 하나인 RAS를 적용한 음악치료프로그램을 격주로 총 20회 적용하였으며, 각 세션은 준비운동(5분), RAS(40 분), 정리운동(5분) 총 50분으로 구성되었다. 음악치료가 실시되지 않는 주(A)와 음악치료가 다른 치료와 함께 실시되는 주(B) 동일하게 보행능력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측정하는 영역은 보행속도, 보행수, 보행폭, 보행주기, 그리고 보행균형률이며 정확한 측정을 위하여 Stride Analyzer를 사용하였다. 측정된 결과는 SPSS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음악치료가 개입되는 주(B)가 음악치료가 소거(A)된 주보 다 보행속도(p=.000), 보행수(p=.000), 보행폭=.003)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진을 보였고, 보행주기(p=.000)에 있어서는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보행주기의 수치가 감소할수록 보행속도는 증가함을 나타낸다. 전체대상자의 A기간의 평균 보행속도는 8.6m/min이고 B기간의 평균 보행속도는 10.6m/min으로 B기간에 전체 대상자의 평균보행속도가 약 23% 증가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A기간의 평균 보행수는 39.2step/min이고 B기간의 평균 보행수는44.9step/min으로 B기간에 전체 대상자의 평균보행속도가 약 15% 증가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A기간의 평균 보행폭은 0.437m이고 B기간의 평균 보행폭은 0.470m로 B기간에 전체 대상자의 평균 보행폭이 약 8% 증가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그리고 A기간의 평균 보행주기는 3.1sec이고 B기간의 평균 보행주기는 2.7sec로 B기간에 전체 대상자의 평균 보행주기가 약 15% 감소하는 것을 관찰 할 수 있었다. 보행균형률에 있어서는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았다. 연구결과 음악치료가 소거되는 기간(A)보다 음악치료가 제공되는 기간에(B) 보행능력이 증가되는 것을 관찰 할 수 있었고 이는 음악치료가 다른 치료의 영향 없이 환자의 보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증명하고 있다. 본 연구는 대상의 표본수가 적고 환자들의 심리적, 생리적인 요소를 배제하였다는 제한점을 가진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시행된 RAS 음악치료는 다른 치료들과 병행되어 적용될 때 다른 치료들만 적용되는 것에 비해 대상자의 보행능력의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입증하였다. 또한 뇌졸중 환자의 재활을 위한 팀웍(Team work)의 중요한 한 부분으로 음악치료가 제시될 수 있다는데 의의를 가진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 문제 = 4 C. 용어 정리 = 4 Ⅱ. 이론적 배경 = 6 A. 뇌졸중 = 6 1. 뇌졸중의 정의 = 6 2. 뇌졸중의 원인과 분류 = 6 3. 뇌졸중의 증상 및 예후 = 9 4. 뇌졸중 환자를 위한 음악치료 = 10 B. 뇌 = 12 1. 우반구와 좌반구 = 12 2. 운동에 관여하는 뇌 기제 = 14 3. 뇌의 운동 통제 = 19 C. 보행 = 21 1. 보행의 정의 = 22 2. 보행주기(gait cycle) = 22 3. 정상보행(normal gait) = 25 4. 이상보행(abnormal gait) = 26 D. Rhythmic Auditory Stimulation(RAS) = 27 1. RAS의 정의 = 27 2. RAS의 원리 = 28 3. RAS와 보행 = 30 4. RAS의 선행 연구들 = 31 Ⅲ. 연구방법 = 36 A. 연구 대상 = 36 B. 연구 절차 = 36 1. 연구기간 및 절차 = 36 2. 음악치료 프로그램 = 37 3. 사용된 도구 = 41 C. 연구자료 처리 = 43 Ⅳ. 연구 결과 = 44 A. 사례별 연구결과 = 44 1. 대상 1 = 44 1. 대상 2 = 51 2. 대상 3 = 58 B. 전체 대상자 연구결과 = 66 1. 보행속도(Velocity)의 비교 = 66 2. 보행수(cadence)의 비교 = 67 3. 보행폭(stride length)의 비교 = 69 4. 보행주기(gait cycle)의 변화 = 70 5. 보행 균형률(symmentry ratio) = 71 Ⅴ. 결론 및 논의 = 73 참고문헌 = 76 ABSTRACT = 81 부록 = 8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15511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뇌졸중 환자-
dc.subject보행개선-
dc.subjectRhythmic Auditory Stimulation-
dc.titleRhythmic Auditory Stimulation(RAS)이 뇌졸중 환자의 보행개선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iii, 8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치료교육전공-
dc.date.awarded2003.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