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7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정연-
dc.creator박정연-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30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30Z-
dc.date.issued1999-
dc.identifier.otherOAK-00000002499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478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4999-
dc.description.abstract일반 교육 현장에서 오래 전부터 저기와 더불어 중요하게 다루어져 온 쓰기 표현은 자기의 생각이나 지식을 표출하고 기록하는 중요한 수단이다. 그런데 쓰기 장애 학생들은 이러한 쓰기 표현력을 자연스럽게 발달시키지 못하고 쓰기 표현을 통해 다른 사람들과 효과적으로 상호작용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으므로 적절한 지도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초등학교 쓰기 장애 학생들에게 대화식 저널 쓰기 방법을 적용하였을 때 그들의 쓰기 표현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목적을 위하여 서울 시내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3학년과 4학년 쓰기 장애 아동 20명을 본 연구의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이들을 대화식 저널 쓰기를 적용하여 쓰기를 학습하는 실험 집단과 전통적인 방법으로 쓰기를 학습하는 통제 집단으로 나누었으며, 각 집단은 3학년이 4명, 4학년이 6명씩 10명의 아동으로 구성하였다. 두 집단에게 같은 주제에 대하여 쓰기를 하도록 사전검사(40분간)를 실시한 후, 실험 집단에게는 20회기(각 회기 당 50분)동안 대화식 저널 쓰기를 실시하였고 통제 집단에게는 같은 회기 동안 자유작문 하기(대화식 저널이 아닌 일반적인 저널 쓰기)를 실시하였다.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에게 실시한 쓰기 표현 교수는 저널 쓰기 전 활동과 글쓰기 활동, 쓰기 후 활동으로 구성하였고 실험 집단에게는 쓰기 전 활동에서 주제 선정을 위한 브레인스토밍과 토론 활동을, 쓰기 후 활동에서는 글의 발표 및 질문, 그리고 교사가 저널 노트에 글로 응답하는 활동을 실시하였다. 통제 집단에게는 쓰기 전 활동에서 주제 선정을 위한 발표 활동을, 쓰기 후 활동에서는 아동 글을 첨삭 지도하여 옮겨 쓰게 하는 활동을 실시하였으며 글쓰기 활동은 두 집단 모두, 아동이 스스로 자기가 정한 주준제에 대해 자유롭게 쓰도록 하였다. 대화식 저널 쓰기와 관련된 선행 연구에서는 교사가 아동 글에 대해 한사람의 대등한 대화자로서 성실하게 학생의 글에 응답할 뿐 학생 글을 수정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그러나 본 연구 방법에서는 연구 대상 아동이 쓰기 장애 아동임을 고려하여 적극적으로 아동의 글을 교정하지는 않았지만 아동이 같은 철자나 문법상의 오류를 반복할 경우, 아동과 같이 글을 읽으며 오류를 발견하도록 도와주는 정도의 소극적 수정을 가하였다. 실험 처치가 모두 끝난 후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에게 사전 검사에서 했던 것과 같은 주제로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대상자의 글은 글의 내용, 글의 길이, 글의 정확도(띄어쓰기 정확도, 철자 정확도, 문법 사용의 정확도) 측면에서 평가하였다. 검사 결과 처리는 사전 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하여 SPSSPC' 프로그램에 의한 공분산 분석(analysis of covariance)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살기 장애 학생의 글의 내용(주제 표현, 문장 표현, 글의 흐름을 평가 함)에 있어서,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 간 비교에서 유의한 차가 있었다. 즉, 쓰기 장애 학생의 쓰기 표현력은 글의 내용에서 대화식 저널 쓰기 방법을 적용하여 쓰기를 학습한 실험 집단이 전통적인 방법으로 쓰기를 학습한 통제 집단보다 더 향상되었다. 2. 쓰기 장애 학생의 글의 길이에 있어서,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 간 비교에서 유의한 차가 있었다. 즉, 쓰기 장애 학생의 쓰기 표현력은 글의 길이에서 대화식 저널 쓰기 방법을 적용하여 쓰기를 학습한 실험 집단이 전통적인 방법으로 쓰기를 학습한 통제 집단보다 증가되었다. 3. 쓰기 장애 학생의 글의 정확도에 있어서, 첫째, 띄어쓰기 정확도에서는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 간 비교에서 유의한 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문장부호 정확도에 있어 실험 집단와 통제 집단 간 비교에서 유의한 차가 있었다. 즉, 대화식 저널 쓰기 방법을 적용하여 쓰기를 학습한 실험 집단의 문장부호 정확도가 전통적인 방법으로 쓰기를 학습한 통제 집단보다 향상 되었다. 셋째, 철자 정확도에 있어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 간 비교에서 유의한 차가 있었다. 즉, 대화식 저널 쓰기 방법을 적용하여 쓰기를 학습한 실험 집단의 철자 정확도가 전통적인 방법으로 쓰기를 학습한 통제 집단보다 향상되었다. 넷째, 문법사용의 정확도에 있어 접속사 사용은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 간 비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조사 사용, 주술호응, 시제호응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즉, 대화식 저널 쓰기 방법을 적용하여 산기를 학습한 실험 집단의 접속사 사용의 정확도는 통제 집단보다 더 향상되었으나 조사 사용, 주술호응, 시제호응의 정확도는 전통적인 방법으로 쓰기를 학습한 통제 집단과 비교해 큰 차이를 보이f지 않았다. 요약하면, 대화식 저널 쓰기 방법은 전반적으로 볼 때, 초등학교 쓰기 장애 학생의 쓰기 표현력에 유의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뭍론 대화식 저널 쓰기 방법이 글의 정확도 중 문장부호와 철자, 접속사 사용 정확도에 미친 효과에 관해서는 연구자가 저널 쓰기 후 과정에서 실험 집단의 글에 소극적인 수정을 가한 쓰기 교수가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을 배제할수는 없다. 그러나 연구 대상 아동이 쓰기 장애 아동이고 실험 처치 기간이 10주(20회기)로 짧았던 것을 고려한다면 그 나름의 결과도 의미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대화식 저널 쓰기 방법은 초등학교 쓰기 장애 학생의 쓰기 표현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고 이러한 결과는 대화식 저널 쓰기 방법이 초등학교 쓰기 장애 학생의 쓰기 표현력 향상을 위한 교수 방법의 하나로서 작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 the effect of the writing instruction through the dialogue journal writing on writing expression ability in primary writing disabled students. Dialogue journal writing is one of the strategies of whole language approach. For this purpose, twenty elementary children with writing difficulties were selected (8 from 3rd grade and 12 from 4th grad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KEDI-WISC intellgence test, the reading recognition subtest of the Basic Academic Skill Test, and the writing expression ability subtest of Perception and Language Test. The 20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 experimental group with the dialogue journal writing and a control group With the general journal writing. The dialogue journal writing was composed of brain storming, writing and discussion procedures. The general journal writing was not composed of brain storming and discussion procedures. The two groups were trained for 10 weeks(20 sessions). In order to prove the progress of writing expression ability, a pretest and a posttest were used. The Writing expression ability was measured relating to the story contents, the story length and the story correctness. An analysis of covariance(ANCOVA) was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utilizing the pretest scores as covariates.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s in the story content, showing significantly higher performance of the former group. 2.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s in the story length, showing significantly longer performance of the former group. 3. In terms of the story correctnes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two groups in spelling, punctuation and conjunction. That i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erformance in the three subskill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wo groups in spacing words and grammar except conjunction. Based on the results mentioned above, it could be concluded that overall, the dialogue journal writing had an effect on writing expression skill. This result implies that the writing expression ability in primary writing disabled students could be enhanced by the writing instruction through the dialogue journal writing.-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와 연구 가설 = 4 C. 용어 정의 = 6 Ⅱ. 이론적 배경 = 8 A. 쓰기 표현의 이해 = 8 1. 쓰기 표현의 정의 및 중요성 = 8 2. 쓰기 표현력 평가의 기준 = 10 B. 쓰기 장애 아동의 쓰기에서의 특성 = 14 C. 총체적 언어 접근법 = 16 1. 총체적 언어 접근법의 개념과 특성 = 16 2. 총체적 언어 접근법에서 '저널 쓰기' = 19 D. 대화식 저널 쓰기 = 21 1. 대화식 저널 쓰기 방법의 개념 = 21 2. 대화식 저널의 내용과 형태 = 24 E. 선행 연구 = 28 1. 총체적 언어 접근법이 쓰기에 미치는 효과 = 28 2. 대화식 저널 쓰기 방법이 쓰기에 미치는 효과 = 32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 35 A. 연구 대상 = 35 B. 실험 도구 = 37 C. 실험 절차 = 38 D. 자료 처리 = 43 Ⅳ. 연구 결과 = 46 Ⅴ. 논의 및 제언 = 56 A. 논의 = 56 B. 연구의 제한점 = 60 C. 제언 = 61 참고문헌 = 63 부록 = 70 ABSTRACT = 9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18543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대화식-
dc.subject저널 쓰기-
dc.subject초등학교-
dc.subject장애학생-
dc.subject표현력-
dc.title대화식 저널 쓰기 방법이 초등학교 쓰기 장애 학생의 쓰기 표현력에 미치는 효과-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 of dialogue journal writing on writing expression ability in primary writing disabled sutdents-
dc.format.pageX, 91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dc.date.awarded2000.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