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9 Download: 0

학교관련 스트레스 대처 프로그램이 특수학급 아동의 스트레스 지각정도 및 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

Title
학교관련 스트레스 대처 프로그램이 특수학급 아동의 스트레스 지각정도 및 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the School-related Stress Program on Stress perception and coping styles of children in special-ed classroom
Authors
고경미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Keywords
스트레스 대처 프로그램특수학급스트레스 지각정도스트레스 대처방식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사회성이 부족한 특수학급 아동이 흔히 아동기에 학교에서 경험할 수 있는 정서적·심리적 갈등 상황을 보다 잘 대처하고 극복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자 실시된 스트레스 대처 프로그램의 효과를 밝히고자 시도하였다. 즉 학교관련 스트레스 대처 프로그램이 특수학급 아동의 스트레스 지각정도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했다. 연구대상은 서울지역 5개 초등학교 내 특수학급 아동 43명으로 각 학교마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나누어 설정하였다. 실험은 1달 동안 1주일에 3회씩, 총 12회에 걸쳐 실시하였으며 그 동안 통제집단은 아무런 조치도 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스트레스 대처 프로그램은 Lazarus(Lazarus, 1981; Lazarus & Folkman, 1984)에 의해 대표되는 상호역동 스트레스 대처 모형에 근거를 두고 국내의 선행연구에서 적용한 프로그램을 토대로 연구자가 초등학생과 일반교사 및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기초조사 한 내용을 참고하여 특수학급 아동에게 실시하기 적합하도록 수정 보완하여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온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관련 스트레스 대처프로그램'(이하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은 프로그램을 실시하지 않은 통제집단에 비하여 학교관련 스트레스 지각정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즉 프로그램을 실시한 특수학급 아동은 프로그램을 실시하지 않은 특수학급 아동보다 학교관련 문제상황에서 스트레스 지각정도가 낮게 나타났다. 둘째,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은 프로그램을 실시하지 않은 통제집단에 비하여 문제해결적 대처방식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즉 프로그램을 실시한 특수학급 아동이 프로그램을 실시하지 않은 특수학급 아동보다 학교관련 문제상황에서 문제해결적 대처방식을 많이 사용하였다. 셋째,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은 프로그램을 실시하지 않은 통제집단에 비하여 정서적 대처방식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즉 프로그램을 실시한 특수학급 아동이 프로그램을 실시하지 않은 특수학급 아동보다 학교관련 문제상황에서 정서적 대처방식을 적게 사용하였다. 이상에서 알 수 있듯이 학교관련 스트레스 대처 프로그램은 학교에서 경험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문제상황에 대해서 특수학급 아동의 스트레스 지각 정도를 낮추고, 스트레스 대처방식에서도 정서적 대처를 줄이고 문제해결적 대처를 많이 사용하도록 하는데 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특수학급 아동이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고 긍정적인 자아개념을 가지며 공부관련 스트레스에 대처하는 등 학교에서 발생하는 스트레스 상황을 잘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적 중재가 특수학급 아동의 정서적·심리적 안녕에 도움을 준다는 것과, 특수학급 아동에게 스트레스를 잘 이해하게 하고 이를 직접적으로 인식시켜 스트레스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을 익히게 함으로서 같은 상황에서도 보다 문제해결적 대처를 많이 사용하도록 하는데 도움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통합교육이 활발해진 시점에서 특수학급 아동의 정서적·심리적 안녕을 도모할 수 있는 교육적 중재의 중요성 및 이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일반학교 내 장애아동 개개인의 정서적·심리적 안녕을 도모하여 물리적 차원에서의 통합이 아니라 질적인 차원에서의 통합교육과 궁극적으로는 특수학급 아동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School-related Stress Program. The study intended to show how special-ed children can overcome and understand a variety of stress when they experience emotional and psychological problematic situations. In our experiment, 43 children were selected for our experiment to see the effects of this program.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being an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being a control group. Subjects in experimental group went through 12 sessions of training, meanwhile the control group did not receive any training during this period. As the pre-test and post-test, two sets of instrument (The School-related Stress Scale, The Stress Coping Style Scale) were given to them. The data processing was as follows: Calculation and comparison of mean and standard deviation i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measurement of attentiveness with T test. The result obtained in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result of The School-related Stress Scale was that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in stress perception degree. 2. The result of The Stress Coping Styles Scale of special-ed class children was that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in stress coping styles of problem focused coping style. 3. The result of The Stress Coping Styles Scale of special-ed class children was that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in stress coping styles of emotional focused coping style. This study has found that The school-related Stress Program reduced children level of stress and changed their stress coping style from the emotional focused coping style to the problem focused coping style. The study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expand school-related stress coping skills in special-education curriculum. Ultimately, this study is intended for emotional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special-ed class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