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8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백지연-
dc.creator백지연-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28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28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2529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476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5291-
dc.description.abstract우리 사회에서 가정 내 '소리 없는 폭력'은 매우 심각한 수준이다. 대다수 그 폭력의 피해자는 여성이다. 하지만 우리 사회는 이러한 문제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책을 찾으려는 노력을 하지 않는 것 같다. 오히려 이러한 문제를 일으키는 원인을 여성에게서 찾는 경향까지 있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는 그저 당사자끼리 조금만 노력하면 쉽게 해결할 수 있는 일인 것처럼 생각하는 경우도 있다. 가정 폭력은 "가족구성원간의 갈등을 합리적으로 해결하려는 것이 아니라 의도적인 폭력을 통해 상대방을 지배, 통제하고 주기적이며, 심각한 신체적, 정신적 피해를 입히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가정폭력의 피해자인 여성들은 잦은 구타로 인해서 신체장애 및 정신장애를 겪고 있으며 특히 자존심 저하 및 우울증, 죄책감, 수치심, 성격장애, 정신분열 등 심각한 심리적 손상으로 사회 적응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러나 상당수의 피해 여성은 이에 대한 법적인 대응을 잘 못한다. 최근에 와서는 이런 여성들을 도와주는 기관이나 단체들이 많이 생겨나고 있지만. 아직도 이런 기관이나 단체의 도움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여성들이 많다. 이런 여성들의 상당수는 오히려 가정 폭력의 원인을 자기 자신에게서 찾고 있으며, 가정 폭력의 원인 제공자이며, 가해자인 남성을 고소하거나 고발하려는 생각을 거의 하지 않는다. 이렇게 가부장적 질서 속에 안주하는 여성으로 살아가야 하는 것을 운명처럼 받아들이는 많은 여성들로 인하여 우리 사회에서의 가정 폭력은 '소리 없는 폭력'이 되어가고 있다. 또한 가정 폭력에 대한 정확한 피해 현황조차도 제대로 파악하기 힘든 것이다. 본 연구는 연구자 본인이 여성신문사에 재직했던 경험을 통해서 미술치료의 연구대상을 가정폭력 피해여성으로 정하였다. 여성신문사는 사회로부터 소외된 여성의 권위를 찾아주기 위해 노력하는 유일한 여성을 위한 신문이라 생각된다. 신문의 큰 이슈로 가정폭력에 대한 심각성이 자주 등장하고 이로 인한 피해여성의 보호장치 마련을 촉구하는 내용이 기사화되기도 했으며 신문사업의 일환으로 이러한 여성의 자립을 위한 기금 모음을 위한 행사를 기획한 적도 있다. 이러한 연유에서 미술치료 대상을 가정폭력 피해여성으로 정하자는 생각이 들었고 이들 여성의 치유와 재활을 위해서 미술치료프로그램을 연구하게 되었다. 프로그램의 목적은 가정 폭력 피해 여성의 무의식에 내재되어 있는 정신적, 심리적 상처를 극복하고, 그들의 자립의지를 강화하여, 그들이 원활한 대인관계를 맺으면서 쉽게 사회에 적응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설계하는데 있다. 또한 쉼터 내 시설종사자들에게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교육적 프로그램으로 제안하는데 의의를 두고자한다.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을 통한 기대효과는 집단원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서로의 아픔을 나누는 과정을 마련하여, 가정폭력의 문제가 자신만의 문제가 아님을 알게 하는 데 있다. 더불어 현재의 자신을 정확히 이해하고, 그를 통해 재활의지를 고취하여 더 나은 미래를 계획하기 위함이다. 프로그램은 총 8회기로 구성되었다. 1회기는 상담원과 내담자간, 또는 내담자들 간의 관계형성을 위해서, 2·3·4회기는 내담자의 자기이해 및 자기개방을 통한 원활한 대인관계를 위해서, 5·6회기는 내담자의 자아 존중감 및 자신감 형성을 위해서, 7·8회기는 재활의지 및 독립심을 획득하여 내담자가 실제 사회생활에 적응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구성된 프로그램은 여성의 전화 및 가정폭력 상담소에서 활동중인 상담원들이 가정폭력 피해여성을 상담하는 과정에서 적극 활용하게 하기 위함이다. 설문지 조사를 하여 프로그램을 설계하기 위한 근거 자료로 삼았는데, 각 기관 및 단체 내 상담원의 미술치료에 대한 인지도를 파악하여 미술치료의 활용 현황과 상담프로그램으로써 미술치료의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먼저 서울여성의 전화, 안양여성의 전화, 과천종합사회복지관, 반포종합사회복지관 상담원과, 가정폭력 상담소, 서울시 청소년 상담실, 새문안 교회상담실, 치유목회연구센터 상담원으로 구성된 기독상담치유연구모임 회원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조사하였다. 설문지를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많은 상담원들이 상담 관련 프로그램으로 미술치료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지만 실제 현장에 적용하는데 있어서는 여러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그 내용으론, 첫째, 상담원을 대상으로 한 미술치료 교육프로그램의 부재이다. 상담원들은 미술치료를 본인의 상담프로그램에 충분히 활용할 용의가 있지만 미술치료프로그램에 대한 교육 및 프로그램의 부재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이는 상담원들에게 미술치료에 관한 다양하고 체계화된 프로그램 마련뿐만 아니라 미술 치료에 대한 교육과 연수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둘째, 미술치료가 가능한 상담원의 확충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현재 각 기관에는 전문 미술치료관련 상담원이 거의 없는 상태에서 몇몇 미술 치료사들이 자원봉사 형식으로 미술치료를 하고 있다. 셋째,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정부차원의 꾸준한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 각 기관은 정부에서 지원하는 적은 예산과 몇몇 단체의 후원 및 자원봉사로 유지되고 있는데, 앞으로 상담원의 전문성과 다양성을 위해선 더 많은 정부의 지원과 관심이 요구된다. 특히, 여성단체에서 활동 중인 서울여성의 전화 및 안양여성의 전화 상담원들은 이들 피해여성을 위한 재활프로그램 개발에 정부가 많이 힘써줄 것을 요청하고 있었다. 이러한 정신적 치유 및 재활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상담원들은 미술치료에 대한 필요성을 많이 느끼고 있었으며 상담프로그램의 일환으로 미술치료프로그램의 가능성 및 활성화에 기대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미술치료에 대한 일반인들의 인식부족 그리고 상담원들을 대상으로 한 미술치료교육과정과 프로그램의 부재로 미술치료를 당장 현장에 적용하는 데에는 여러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상담원들이 실제 상담현장에서 집단미술프로그램을 활용하도록 교육적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치유와 재활을 돕는데 연구의 의의를 두고자 한다.;In our society, domestic violence is taking place frequently, and the most of the victims are women. The social indifference, however, tends to pass by the situation viewing it as the victim's fault rather than actively searching for resolution. And the public often thinks that the problem can be easily resolved with a little bit of efforts on the part of the household. Domestic violence means “acts committed by a member of a household against other member(s) through intentional and periodic violence aiming at controlling the victims and leaving behind serious physical and psychological damages" rather than resolving domestic discord with rational means. Women who become the victims of such violence suffer from physical as well as psychological disorders, depression, guilty conscience, a sense of shame, and schizophrenia. They, naturally, develop difficulties in coping with ordinary social life. The most of the victims, nevertheless, get little help, especially, legal one. Though some agencies and organizations helping such women are sprouting these days, many of the victims are yet to get any help. The abused, in many cases, can't express their anger and tend to look for the cause not in the abusers but in themselves. They, in turn, hardly think about pressing charges or taking legal actions. The patriarchally set notion that women have to be obedient and patient makes it extremely difficult even to get accurate data on such victims. This study intends to develop a rehabilitation program through group art therapy. It will help the wounded to overcome the spiritual and psychological damages and strengthen their independent spirit. They, thereby, will be able to accomodate themselves to new personal relations and social life. In applying this distinctive art therapy, the expected effect is to help them to recognize the fact that domestic violence is not an individual problem by sharing the pains and interacting with one other. Furthermore, it is to help them to understand the present situation and plan a better future. The program consists of eight sessions. The first session is for developing trusty relations between the counselor and the clients and, at the same time, among the clients. The second, third, and fourth sessions are programmed to foster smooth personal relations through understanding themselves and opening up to one another. In the fifth and sixth sessions, the clients are to cultivate self-respect and self-confidence. And the seventh and eighth sessions are programmed for the clients to acquire the will for rehabilitation and independent spirit so that they can lead a normal social life. The art therapy is intended to be utilized by the counselors in actual situations. The program is drown based upon a survey of the counselors on their awareness of the group art therapy and how it is utilized. And it shows the necessity of the group art therapy as a counseling program. The counselors were members of Call for Women in Seoul, Call for Women in Anyang, Social Welfare Center in Guacheon, Social Welfare Center in Bhanpo, Domestic Violence Agency, Seoul City Youth Office, Counseling Office at Samunan Church, Ministers Study Center for Healing. According to the survey, many counselors found it necessary th utilize such art therapy but expected various problems in applying it to the actual situations. First, there is no education program of the group art therapy for the counselors. They are willing to utilize the art therapy while in duty. They are, however, having trouble for the lack of the education program and the group art therapy itself. Thus, diverse and yet organized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for the counselors are in dire need. Second,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number of counselors who can perform the art therapy. At the moment, there is almost no counselor who can execute the art therapy. Only a few art therapists are working at a few organizations voluntarily. Third, there needs to be government interest and support for the development for such programs. Various agencies and organizations for the victims are operating on a small budget allotted partly by the government and mostly by voluntary sponsors and manned mostly by volunteers. For the development of expertise and diversity of the counselor, more government interest and support is asked for. Among the counselors, the counselors at Call for Women in Seoul and in Anyang, in particular, asked government to take an active part in developing and creating such rehabilitation programs. They were feeling the need for the group painting art therapy as a way of treating the psychological damages and their cure. They also expressed hopes for possible application and broad usage of the art therapy. It is rather difficult, however, to put such programs in practice due to the lack of the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 and of the programs. This study, therefore, tries to provide a rehabilitation program for the victims of domestic violence. And it will be further improved after the counselors use it in practice reflecting the shortcomings and chang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1.1 문제의 제기와 연구의 필요성 = 1 1.2 연구의 목적 = 2 1.3 연구내용과 방법 = 3 1.4 연구의 제한점 = 5 Ⅱ. 이론적 배경 = 6 2.1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실태 = 6 2.2 심리미술치료의 의의 = 9 2.3 미술치료의 역사적 배경 = 15 2.4 집단상담미술치료 = 21 Ⅲ. 상담원의 미술치료에 관한 인지도 조사 = 27 3.1 조사 대상과 방법 = 27 3.2 조사내용 = 28 3.3 상담원의 미술치료에 관한 인지도 조사 = 28 Ⅳ. 미술치료 교육프로그램 연구 = 40 4.1 프로그램 설계 = 40 4.2 프로그램 활동 = 45 Ⅴ. 결론 = 62 참고문헌 = 64 부록 = 67 영문초록 = 7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56341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가정폭력-
dc.subject피해여성-
dc.subject재활-
dc.subject집단 미술치료-
dc.subject프로그램-
dc.title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재활을 위한 집단 미술치료 프로그램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기관 및 단체 상담원, 시설활동가의 설문조사를 통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Program of the Group Art Therapy for the Women Victims of Domestic Violence : Through a survey on organizations community counselors-
dc.format.pagex, 7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dc.date.awarded2002.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