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46 Download: 0

다문화 교육의 관점에서 장애를 이슈로 한 미술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Title
다문화 교육의 관점에서 장애를 이슈로 한 미술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Other Titles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Fine Art Education Programs Focused on Exceptionality Issues from the Multi-cultural Perspective
Authors
정지윤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20세기 후반에 전개된 세계정치경제구조의 변화와 전자정보통신혁명은 전 세계 인류의 삶을 크게 변화시켰다. 국가와 지역 간의 물리적 경계가 약화되어 인종과 민족, 지역적 배경이 다양한 이질적인 문화들이 매일 접촉하고 상호작용하는 것이 일상화 되었다. 이로 인해 서로 다른 가치와 문화를 어떻게 이해하고 또 수용할 것인가에 대한 가치와 태도 교육이 요구되고 있는데, 이러한 21세기 다문화적 요구에 부응하는 교육적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것이 바로 다문화 교육이다. 60년대 미국의 다인종적 갈등을 해결하고자 시작되었던 다문화 교육은 오늘날 포스트모더니즘 철학에 힘입어 문화에 대한 다양한 해석을 제시하고 있으며, 동시에 평등한 사회를 건설하고자 하는 사회재건주의의 영향으로 인종과 민족뿐만 아니라 성·사회계층·장애·종교·지역·연령 등에 관한 다양한 이슈를 포함하는 교육으로 발전하고 있다. 오랫동안 단일민족국가로서 구성을 유지해 왔던 한국 사회 또한 인종뿐 아니라 사회 내 다양한 문화 집단 간의 이해와 갈등의 문제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다문화 교육과 관련한 대부분의 선행 연구가 국가와 민족과 관련한 이슈에 집중되어 있어 성·사회계층·장애·종교·지역·연령 등 포스트모던적 이슈에 대한 프로그램 개발 연구는 부족한 현실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필요성에 입각하여 다문화 교육의 관점에서 ‘장애’를 이슈로 한 미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한 결과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론적 배경으로 다문화 교육과 다문화 미술교육의 역사와 정의, 특징에 대해 고찰하고, 다문화 교육의 관점에서 장애 이슈에 대한 입장을 살펴보았다. 이어 장애를 이슈로 한 다문화 미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서울 시내 초등학교 5학년 1개 학급 33명 비장애학생을 대상으로 실험하였다. 프로그램의 내용은 장애를 가진 작가의 작품 감상, 장애인의 작품 감상, 촉각 그래픽 책 제작, 유니버설 환경 디자인, 장애에 관한 사회적 쟁점에 대한 토론, 장애인식 포스터 제작으로 구성되었다. 장애를 이슈로 한 다문화 미술교육 프로그램의 적용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 사전-사후 장애에 대한 태도를 측정하여 분석한 결과, 사전에 비해 사후에 장애에 대한 태도가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프로그램의 사전-사후 장애에 대한 마인드 맵(mind map)을 분석한 결과, 장애에 대한 총 어휘가 크게 증가하였다. 구체적으로 장애와 관련된 객관적인 용어의 사용이 증가하였고, 미술 관련 용어가 등장하였으며, 부정적인 어휘가 감소하였다. 셋째, 프로그램 각 회기에서 제작된 작품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장애를 가진 작가와 작품에 대한 감상과 표현 학습 과정에서 비장애학생의 자기 정체성에 대한 고민과 인식이 작품을 통해 표현되었다. 또한 자신이 소속된 학교 및 지역사회 환경에서 장애를 가진 사람의 접근을 제한하는 요소를 찾아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장애를 둘러싼 사회적 쟁점에 대한 토론을 통해 사회적 갈등과 논쟁점에 대한 인식을 획득하고 이에 대한 대안을 제시할 수 있었다. 프로그램 마지막 단계에서 이러한 사회적 갈등에 관한 문제의식을 장애 인식 개선 포스터로 시각 디자인화 할 수 있었다. 넷째, 다문화 미술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하여 프로그램에 참여한 비장애학생의 90%이상이 장애에 대한 생각과 태도에 변화를 일으켰다고 답하였다. 뿐만 아니라 미술 교과와 관련한 지식 및 기술, 관심이 증가하였다고 답하였다. 장애를 이슈로 한 다문화 미술교육 프로그램의 적용 결과, 비장애학생의 장애에 대한 태도 및 인식이 개선되었으며, 자신과 지역사회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였고, 보다 다양한 사람들이 평등하게 삶을 영유하기 위한 대안을 제시할 수 있었으며, 또한 미술과에 관련된 지식과 기술이 향상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하여 앞으로 진행될 다문화 미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에 있어서 다문화 교육의 목적과 필요성에 입각하여 장애를 이슈로 한 내용들을 포괄할 것을 제안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서울의 일부 지역 33명 비장애학생에 대한 실험 결과로 초등학교 학생 전체를 대상으로 일반화하는 데 어려움이 있음을 밝힌다. 본 연구는 다문화 미술교육에 있어서 장애에 관한 이슈를 포괄하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 연구로서 의의를 갖는다. 후속 연구들을 통하여 장애뿐 아니라 다양한 사회적 이슈를 포괄하는 총체적인 다문화 미술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그 효과에 대한 고찰이 이루어질 것을 기대한다.;The life of the entire human being in the world greatly changed due to global political and economic changes in the late 20th century. Physical borders between the countries and between regions are weakened, and therefore, daily contacts and interaction between cultures became an every life despite different backgrounds of race, tribe and region. Under these circumstances, education is desperately required for teaching attitude about adopting different values and culture, and multi-cultural education is emerged as a significant educational alternative to meet these multi-cultural needs in the 21st century. Education on diversified cultures, which started in 1960s to solve conflicts among different races, enabled various interpretations on the concept of culture on the basis of post-modernism philosophy at the moment. At the same time, from the effect of society rebuilding doctrine aimed at establishing more equal society, it is evolving as education that covers various issues like not only race and nationality but also gender, social class, exceptionality, religion, region, and age .Even in the Korean society, which has been a racially homogeneous nation for a long time, such matters as interests and conflicts between various cultural groups as well as race are gradually increasing. However, as most of preceding research shed light on globalization education related to nationality and country, program development and research on post modern issues like disability, gender, age, religion and environments are insufficient. Based on the need for developing programs on more various themes, this research is aimed at developing fine art education programs focused on the issue of exceptionality from the perspective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analyzing their results after actual application. To begin with, I studied theoretic backgrounds of multi-culture education, such as history, definition and feature of multi-culture education and multi-culture fine art programs and inquired into the standpoint over disability in multi-culture education. Subsequently, I implemented a multi-culture fine art education program with a disability issue to 33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in one class of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eoul. Contents of this program are composed of study on artists with disabilities and appreciation of their art pieces, appreciation of art pieces created by people with disabilities, production of tactile graphic books, universal environment design, discussion on social issues on disabilities, poster production over the perception on disabilities. The results of implementing the multi-culture fine art programs focused on disabilities are as follows. First, after observing and analyzing the attitude over hereditary and acquired disabilities, it turned out that meaningful improvement was displayed in acquired disabilities rather than hereditary one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a mind map in this program on hereditary-acquired disabilities, the number of total vocabulary on disabilities greatly increased. To be more specific, the use of objective terms related to disabilities increased, terms related to fine art appeared, and negative terms decreased. Third, analysis results of the art works created in each unit of the program are like the following. Through research on artists with disabilities and study of their art works, perception and confusion of students with no disabilities are expressed through their own art pieces. Moreover, they found barriers that restrict the approach of people with disabilities in school and community environments they belong to, and came up with a solution to improve. A new perception is acquired over social conflicts and confrontation interface through discussion about social controversies regarding disabilities. At the end of the program, the students became able to express their critical minds into visual image for perceptional improvement. Fourth, regarding the effect of multi-culture fine art education program, over 90% out of students with no disabilitie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answered that they changed perception and attitude toward the matter of disability. Moreover, they also replied that they came to have more knowledge, skills and interests in fine art. From the result of applying multi-culture fine art program focusing on the matter of disability, it is found that students with no disabilities improved attitude and perception toward disability and reinforced their perception over themselves and regional community. Also, we reached a conclusion that they became able to suggest alternatives to make more diversified people equally enjoy their lives and students improved knowledge and skills related to fine art. Based on this conclusion, in developing and applying multi-cultural fine art education program in the future, we can suggest comprehensively dealing with contents over disability issues for the purpose and need of multi-cultural education. It might be difficult to generaliz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ince it was carried out only to 33 students in some part of Seoul, Korea. The meaning of this research is a research for program development aimed at covering disability issue in terms of multi-cultural fine art education. I expect that other following researches and attempts should be led to the development of multi-culture education programs covering not only disability but also various other social issues, and moreover, contemplation and study on the impact of those programs should be follow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