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08 Download: 0

미술분야 동영상 정보 전달에 관한 연구

Title
미술분야 동영상 정보 전달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Study on the Communication of Art Information on internet : focused on web casting
Authors
남수빈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Keywords
미술분야동영상정보전달웹캐스팅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웹 캐스팅(Web Casting)은 세계적으로 6년 여의 짧은 역사에도 불구하고, 최근 눈부신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21세기를 주도할 가장 잠재력 있는 미디어(media)로 인정 받고 있다. 국내에서는 99년을 기점으로 웹 캐스팅사들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면서 웹 캐스팅이 하나의 문화운동 수준을 넘어 새로운 비즈니스의 기회의 창으로 인식되기 시작했다. 이와 같이 최근의 눈부신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21세기를 주도할 가장 잠재력 있는 미디어로 인정 받고 있는 웹 캐스팅은 특히 미술정보 전달에 있어서 그 필요성이 강조된다. 이는 미술정보가 미술작품 자체를 주요소로 하고 있으며, 어떠한 어휘로도 그 시각적 개념을 대신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미술품 자체의 유사한 대체물인 화상시스템의 개발이 시도되어 왔는데, 슬라이드(slide), 현상사진(picture), 마이크로 그래픽스(MICRO-GRAPHICS) 등이 이러한 용도로 쓰여진 대표적 시각 매체이다. 이와 같이 최신 정보기술은 미술정보의 시각적 특성과 유연하게 연관되어 왔으며, 최근의 웹 캐스팅 또한 그러하다. 특히 웹 캐스팅은 시각적 자극 뿐만 아니라, 청각적인 자극과 더불어 문자형태의 정보까지 동시에 제공함으로써 미술에 관심이 있는 잠재적인 수요자들에게도 미술작품을 쉽고 친근하게 접하고, 작품에 대한 이해를 높여 미술인구의 저변 확대에 기여하는 훌륭한 미술정보 전달 매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국내 미술분야에서 웹 캐스팅은 아직 초보단계 수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으며, 미술분야 사이트 대부분은 여전히 문자와 사진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여기에서는 현재 웹 캐스팅을 활용하는 국내 미술관련 웹 사이트 실태를 분석하여 그 문제점을 지적하고, 그 보완점을 모색하여 미술정보전달에 있어서의 웹 캐스팅 활용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인터넷이 미술의 대중화를 위한 보다 나은 역할을 담당하도록 하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본 연구는 웹 캐스팅을 활용하는 국내 미술관련 웹 사이트의 현황과 실태분석을 통하여 인터넷을 통한 미술정보 전달에 있어서 웹 캐스팅 활용 전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 따르면, 웹 캐스팅을 활용하는 국내 미술관련 웹 사이트 실태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공중파 3사의 인터넷 방송 미술분야 프로그램은, 첫째, 문화가 예술 프로그램으로서 일반 대중을 대상으로 미술가의 전시현황 및 정보전달과 작품감상, 작가와의 만남을 통한 예술적 삶과 제작 의도등 자세하고 흥미로운 구성으로 문화 계층간의 격차를 해소 시켜주고, 예술의 대중화 기능을 수행한다. 둘째, 전체 프로그램 편성비율을 보면, 문화 예술 프로그램은 매우 적은 비율이며, 미술관련 프로그램의 비율은 더욱 낮은 실정이다. 셋째, 공중파 3사에서 방송중인 세 개의 문화예술 프로그램 중 한개의 프로그램이 미술 코너에서 미술인을 보조 진행자로 하여 전문성과 신뢰감을 높였다. 넷째, 공중파 3사의 인터넷 방송 문화예술 프로그램은 대체로 자료의 업 데이트가 불규칙적이다. 다섯째, 공중파 3사에서 방송중인 세 개의 프로그램 중 하나의 프로그램에서만 게시판'이 제 기능을 하고 있다. 여섯째, 인터넷 방송 미술 프로그램들은 모두 무료로 운영되고 있다. 다음으로, 미술분야 독립적 웹 캐스팅 사이트는, 첫째, 현재 인터넷 상에 운영중인 미술분야의 독립적 웹 캐스팅 사이트들은 공통적으로, TV와 같은 형식의 동영상을 통해 미술에 관련된 전문적인 지식을 전달하기 보다는 대중이 미술에 흥미를 느끼고 좀더 미술을 찾고 향유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둘째, 수천개의 국내 미술관련 사이트 중 웹 캐스팅 사이트는 고작 4개에 불과하다. 셋째, 진행자를 분석해 본 결과 세 사이트 모두 미술교육자와 작가, 미술비평가, 큐레이터 등을 진행자로 하여 사이트의 신뢰도와 전문성을 높이고 있다. 넷째, 미술분야 독립적 웹 캐스팅 사이트의 업 데이트는 대체로 불규칙적이다. 다섯째, 미술분야 독립적 웹 캐스팅 사이트는 미술만을 위한 전문화되고 특화 된 방송인 만큼, 이용자들 또한 사이트 활용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이용자 참여의 도구가 되는 게시판'은 현재 대체로 활발히 운영되고 있다. 여섯째, 미술분야 독립적 웹 캐스팅은 순수 컨텐츠(contents)제공만으로는 수익 구조를 만들기 어렵기 때문에, 수입 창출을 위해 미술품 경매를 통해 운영하거나, 유료 회원제로 운영하고 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미술분야 웹 캐스팅의 활용 전략으로 본 연구는 다음의 다섯까지 방안을 제시한다. 첫째, 양질의 미술 정보 컨텐츠를 개발하여 미술 관련 화상/영상 자료의 데이터 베이스(database)를 구축해야 한다. 이는 충분한 DB(database)구축을 통한 양질의 컨텐츠의 지속적인 제공이 이루어지지 않으면서 그 수익구조만을 우선으로 한다면, 미술분야 웹 캐스팅은 단지 그림팔기 위한 수단에 그치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다양한 미술정보에 대한 이용자의 정보요구를 다원적으로 충족시킬 수 있는 미술 관련 웹 캐스팅 자료의 DB화가 시급하다. 둘째, 미술분야 웹사이트간의 네트워크화를 통해 웹 캐스팅 컨텐츠의 교류와 네티즌을 확보할 수 있는 활로를 개척함으로써 서로간의 시너지 효과를 이루어야 한다. 셋째, 컴퓨터 전문가와 미술 관계자의 협력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정보전문가가 추출하는 데이터는 단순하고 정확하기는 하지만 미술품의 경험적이고 물리적인 정보에 한정되고 있기 때문에 작가가 작품을 통해 표출하고자 했던 의미나 주제의 문제가 제기되기는 어렵다. 특히 정보의 내용이 연구자의 주관이나 연구의 심도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지기도 한다. 그러므로, 미술 관계자들의 참여가 필수적이다. 넷째, 고객과의 관계 개선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기술의 발전으로 인터넷은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게 되었으며, 웹 캐스팅은 그 기술적 요소(푸쉬/스트리밍)들 덕분에 쌍방향성 서비스들을 더욱 내실 있게 제공할 수 있다. 그러므로, 미술분야 웹 캐스팅 이용자 개개인에게 양질의 서비스 및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고객이 원하는 것을 고객의 관점에서 파악하고 이에 빨리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다섯째, Off-line과 On-line간의 적절한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기존 갤러리와 사이버 공간과의 적절한 조화를 통하여 상승효과를 나타낼 수 있을 때에만 미술분야 웹 캐스팅은 미술정보 전달 형식으로서의 기능과 의미를 다할 수 있을 것이다.;Web casting has been worldwide recognized as the most potential medium to lead the 21th century thanks to the recent remarkable technology development despite its short history of 6 years. It has been considered as a new business opportunity beyond a cultural campaign since web casting firms have increased in geometrical progression from 1999 in Korea. Such web casting is keenly needed in communicating art information as the main element of art information is the art work itself, and its visual concept cannot be replaced with any vocabulary. However, web casting in the field of art is still at an early stage, and most of the art-related web sites are swept by characters and pictures in Korea. Under such condition, this study tried to suggest web casting application strategies in communicating art information on Internet by analyzing failures of the domestic art-related web sites applying web casting. On the basis of this view,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5 web casting application strategies; First, quality art information contents shall be developed to build database of video and image data concerned with art. If just the revenue structure is preferred without continuous provision of quality contents by building of enough database, web casting in the field of art is same as a means to sell pictures. Therefore, building of database of web casting data related with art is pressing to meet the users' needs for art information with various aspects. Second, the synergy effect among art-related web sites shall be obtained by finding alternatives to exchange web casting contents and guarantee netizens through networking them. Third, the cooperation between data specialists and artists is required. As the data extracted by data specialists are clear and accurate but limited to practical and physical information of an art work, moaning or subject the artist was to express in the work is hardly presented. Specially, the contents of information may become diffrent according to the researcher's subject or depth of the research. Therefore, artists shall be involved essentially Fourth, efforts shall be made to Improve the relationship with customers. Two-way communication has been made possible on Internet by technology development, and web casting can provide two-way services more substantially thanks to its technical elements(push/ streaming). Therefore, the ability of catching customers' needs from the view of customers and coping with them rapidly shall be made to provide quality services and information for individual web casting users in the field of art. Finally, off-line and on-line shall be properly harmonized. Web casting in the field of art can be a success just when the synergy effect is created through proper accord between gallery and cyberspac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