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1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전혜인-
dc.creator전혜인-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09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09Z-
dc.date.issued199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591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456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5910-
dc.description.abstractSpecial supports toword sibling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seems essential to effective education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sibling support program effect in self-concept and behavior toword siblings with disabilities. For this purpose,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23 sibling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ge 5-8. The 23 subject were individualy administered pre and post test in self concept and behavior towerd siblings with disabilities. While no treatment was provided for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was provided 5 session program consisted with games, group discussion, role play, and so on. t-test was used for analysis of data about difference of self-concept and behavior toword siblings with disabilities change between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 The result were as follows: 1.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in 2 sub-categories of self-concept.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in 'general adeguacy ' 'peer'. But, in 'teacher-school' 'academic' 'physical' significant difference were not found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2.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in 3 sub-categories of behavior toword siblings with disabilities ~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in 'receptivity' 'hostility' 'support'. But, in 'confusion' significant difference were not found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So it is concluded that the program was effective in change the behavior toword siblings with disabilities. Also, the program was effective in change 2 sub-categories of the self-concept that are closely related with the program.;장애아동의 바람직한 교육을 위해서는 장애아동 개인에 대한 교육적인 관심 뿐 만이 아니라 장애아동이 속한 환경 전체에 대한 관심과 배려가 필요하다. 따라서 가족 전체에 대한 지원이 필요한데, 그 중에서도 특히 장애아동의 형제들은 어린 나이 때부터 시작하여 평생에 걸쳐 장애아동과 지속적이고 밀접한 관계를 맺게 되고 그들만의 독특한 요구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 누구보다도 특수교육적 차원의 지원이 필요한 사람들이다. 그런데 장애아동의 형제에 대한 지원은 장애아동의 교육에 비해 간과되기 쉽고,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장애아동의 비장애형제를 위한 지원에 대한 연구와 프로그램이 크게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장애아동의 비장애형제들을 대상으로 놀이를 중심으로 구성된 형제 지원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장애아동의 비장애형제들의 자아개념과 장애형제를 대하는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목적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인천 지역의 특수 조기교육 기관에 다니는 발달 장애아동의 형제 중 만 6세에서 8세의 연령에 해당되는 아동 23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11명은 실험집단에, 12명은 통제집단에 무선배치 하였다. 실험집단은 1주에 한번 60분씩 5주에 걸쳐 형제 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하게 하였다. 형제 지원 프로그램은 Meyer와 Vadasy(1994)의 Sibshops (Workshops for Siblings of Chilren with Special Needs)와 Nollette(1985)의 Autism…A Family Affair -'특수한 요구를 지닌 아동의 형제를 위한 교육과정'을 참고로 하여 연구자가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측정 도구로 자아개념 검사에는 Bently와 Yeatts가 공동 제작한 "I Feel‥‥Me Feel"(1974)을 사용하였고, 장애형제를 대하는 행동을 평가하는 "장애아동에 대한 비장애형제의 행동 평정 척도"는 Schaeffer와 Edgerton(1979)이 개발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결과 검증에 사용된 통계 방법은 t검증으로서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에 있어서 프로그램의 실시 전과 후의 차이에 대한 차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형제 지원 프로그램의 참가 여부에 따라 장애아동에 대한 비장애형제의 행동 평정 척도에 있어서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의 사전 사후 검사의 전체점수의 차이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의의있는 차이가 나타났다. 하위요인별로는 '당황'요인을 제외한 '수용도' '적대감' '지지도'의 영역에서 실험집단과 통제 집단의 사전 사후 검사의 점수 차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의의있게 컸다. 즉,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집단의 '수용도'와 '지지도'가 향상되었고, '적대감'의 정도는 감소하였다. 2. 장애아동의 비장애형제를 위한 형제 지원 프로그램의 참가 여부에 따라 비장애형제의 자아개념에 있어서는 '일반적 충족감'과 '또래' 영역에서 실험집단과 통제 집단의 사전 사후검사 점수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의의있게 나타났다 즉,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집단의 '일반적 충족감'과 '또래'요인의 자아개념이 향상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장애형제를 대하는 행동에 있어서는 전체적으로 실험 집단이 프로그램에 참가한 후 긍정적으로 변화하였고, '일반적 충족감'과 '또래'요인의 자아개념은 통계적으로 의의 있는 수준으로 향상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장애아동의 비장애형제들에게 형제 지원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장애아동의 비장애형제들은 그들을 위한 형제 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같은 경험을 공유한 또래들끼리 만나서 함께 놀이하고 서로의 염려와 꿈을 나눔으로써 비장애형제 자신의 적응면 뿐만이 아니라 장애형제와의 관계에서도 도움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앞으로 모든 연령층에 각각 적용할 수 있는 더욱 세분화되고 다양한 형제 지원 프로그램의 개발이 촉구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4 Ⅱ. 이론적 배경 = 6 A. 형제관계의 중요성 = 6 B. 장애아동 가정의 형제 관계 = 8 1. 장애아동 가정의 가족 구조 내에서의 형제 관계 = 8 2. 비장애형제의 적응상의 특징 = 10 3. 장애아동과 비장애형제의 형제관계와 비장애형제의 자아개념 = 14 C. 장애아동의 비장애형제를 위한 지원 전략들 = 18 Ⅲ. 연구방법 = 23 A. 연구 대상 = 23 B. 측정 도구 = 25 C. 실험 내용 = 30 D. 실험 절차 = 33 E. 자료처리 방법 = 34 Ⅳ. 연구 결과 = 36 A. 프로그램 실시 전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장애형제를 대하는 행동 검사 결과의 차이 분석 = 36 B. 프로그램 실시 전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자아개념 검사 결과의 차이 분석 = 39 Ⅴ. 논의 및 제언 = 42 A. 논의 = 42 B. 연구의 제한점 = 46 C. 제언 = 47 참고문헌 = 48 부록 = 56 ABSTRACT = 9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75837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장애아동-
dc.subject비장애형제-
dc.subject형제지원프로그램-
dc.subject장애형제-
dc.subject자아개념-
dc.title장애아동의 비장애형제를 위한 형제지원프로그램이 비장애형제의 장애형제를 대하는 행동과 자아개념에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f Nonhandicapped Sibling Support Program Effect in Self-Concept and behavior toward Siblings with Disabilities-
dc.format.pageviii, 95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dc.date.awarded1997.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