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안동숙-
dc.contributor.author李惠淑-
dc.creator李惠淑-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04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04Z-
dc.date.issued1983-
dc.identifier.otherOAK-00000002434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450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4344-
dc.description.abstract東洋畵는 物質的인 形態가 가지고 있는 풍부한 內的 生命을 드러내어, 藝術家 自身의 靈魂과 調和를 이루어 하나의 作品이 되는 것이다. 특히 東洋畵에서는 墨은 물론, 筆 하나에까지 엄격한 繪畵倫理와 精神的, 哲學的 背景이 作用되고 있으며, 그것들이 오랜 精神的 수련과 실제의 訓練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렇게 볼때, 東洋畵에서의 品評은 단지 畵面上의 문제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根本的으로 畵面을 形成하고 있는 生命力이 깃든 精神的인 것, 즉 作家의 入格과 精神의 깊이를 관련시켜 생각한다는 것이 특징이라 할 수 있다. 그리하여 六朝以後 繪畵評論의 基準이 되었으며, 繪畵의 規範일뿐만 아니라, 畵家가 作品을 이룰때 運筆의 표준이 되는 氣韻生動과 만나게 되는 것이다. 氣韻生動은 南濟의 畵論家이며, 人物畵家인 謝赫의 古畵品綠의 序文에서 비롯되는 말로써, 그림을 品評하는 여섯가지 基準中 第一法이다. 곧 작품속의 氣韻은 作品이 表出한 對象의 精神으로, 이 對象의 精神은 作家의 精神과 상통한다고 할 수 있다. 六朝以後 오늘날까지 氣韻生動은 중시되고 있으나, 時代의 흐름에 따라 畵論이나 畵評에 있어서 제각기 다른 解釋을 보일뿐 아니라, 그 뜻하는 觀念도 상당히 變化되어왔다. 즉 魏晋時代의 人倫鑒識 使用되었던 이른바 「精神」,「風神」,「神氣」 등의 관념이 顧愷之의 畵論 속의 中心觀念인 「傳神」의 源泉내지는 根據가 되었으며, 傳神은 다시 謝赫의 畵論의 根本問題인 「氣韻生動」에 영향을 미쳤다. 南宗畵의 원조인 王維는 水墨法을 重視하면서 萬物의 生咸變化가 氣에 의해 이룩된다고 하였고, 張彦遠은 氣韻에 나타나 있는 것은 生動이고, 그 內容은 骨氣, 刑似, 賦彩의 三者로, 骨氣와 形似는 모두 立意에 기초를 두고, 用筆에 귀착한다고 하였다. 荊浩는 謝赫의 畵六法대신, 六要를 제시하여 自然 속의 氣韻은 筆墨으로부터 생긴다고 보았고, 蘇東坡는 氣韻의 意味를 理(傳神과 상통)로써 파악했으며, 郭若虛는 氣韻生動을 특별히 强調하여 生知의 경지로 이끌어 올림과 동시에, 그림은 人格의 表現이므로, 情神的 수양이 必要하다는 것을 强調하였다. 그런가 하면 동구창은 郭若虛의 生知說을 수정 보충하여, 氣韻論을 더욱 强調한데 비하여, 唐志契는 筆墨, 色에 의해 形象化하는 자체속에 存在한다고하여, 近代 美擧에 접근하는 合理論인 論理를 展開, 이 論理는 淸代로 넘어가서 더욱 發展하였다. 이와같이 氣韻論의 독자적인 解釋은 東洋繪畵에 있어서 氣韻生動의 重要性을 잘 나타내 줄뿐 아니라, 그 時代의 造形精神에 많은 活力素를 주었다는데 큰 意味가 있다 하겠다. 氣韻生動은 物象의 純粹形態를 찾아 人間의 精神論 內面에 스며있는 것을 表出해 내는 것으로, 그 時代에 따라 여러가지 解釋의 可能性을 주었다. 이에 本論에서는 氣韻生動이 나오기까지의 時代 思想的인 背景 및 東洋 哲學的 면에서의 元氣論, 氣韻과 관련이 깊은 筆墨, 意境 등 時代에 따른 氣韻解釋의 變化를 名家들을 통해 살펴봄으로써, 東洋繪畵의 特徵과 各 時代繪畵가 추구하는 것이 무엇이었는가를 살펴보고자 한다.;Oriental fine arts reveal the abundant inner life which the form of materials has and consist of a work harmonized with the spirits of artist himself. Especially, in oriental fine arts, strict painting ethics and spiritual and philosophical backgrounds are related not only in calligraphy, but also in writing brush, and it is naturally represented by long term spiritual disipline and actual practice. Considering this fact, the critic of oriental fine arts not only referes the problem of painting, but basically relates to the spiritual refine ment with living power to formulate the painting and artist's character and the depth of artists. The term, Chi Yun Sheng Tung(氣韻生動), was originated from the preface of Go Wha Pum Rok of Sah hyeuk, fine arts theorist and fine artist in Nam Je, and is a method of 6 standards to criticize the painting. In other words, the refinement in work is the spirit of the object the painting shows, and the natures is derived from caliigraphy and brush. Sodongpa understood the meaning of Chi Yun as the principles of noumenon. Gwaggowoo espeically emphasized the Chi Yun Sheng Tung and not only made the atmosphere of actual knowledge, but also accented that spiritual discipline should be required because the painting is the representation of human characters. In other sides, Kuo jo hsu corrected and complemented the Gwagowoo's actual knowledges and emphasized the Chi Yun theory, and Dang Ji Gye was features by calligraphy and colors and developed the rational theory to approach modern aethetics. This theory was developed more in Chung Dynasty. Such as this, the unique analysis of Chi Yun Lun represnets the importance of Chi Yun Sheng Tung in Oriental fine arts and gives the great vitality to the formative spirits at that times. The importance of it in oriental fine arts gives the sufficients possibility in each times and strenthen the spirits of formative arts in each times. Hence,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change of refinement analysis including periodical and thoughtful backgrounds and oriental and psychological Yuan Chi Lun(元氣論), calligraphy which have the deep relations with refinement, through the artists, and to observe what the characteristics of oriental fine arts are and each periodical painting pursu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論文槪要 = ⅵ Ⅰ. 序論 = 1 Ⅱ. 氣韻生動의 意義 = 4 A. 氣韻의 用語와 槪念 = 4 B. 元氣論 = 15 C. 氣韻과 筆, 墨, 色 = 22 D. 氣韻과 生動의 關係 = 26 E. 氣韻과 意境 = 29 Ⅲ. 氣韻의 發生과 時代的 解釋 = 34 A. 氣韻의 時代 思想的인 背景 = 34 B. 時代에 따른 氣韻 解釋 = 43 1. 六朝時代 (顧愷之, 謝赫의 氣韻論) = 44 2. 唐時代 (王維, 張彦遠의 氣韻論) = 53 3. 五代時代 (荊 浩의 氣韻論) = 59 4. 宋 時代 (蘇東坡, 郭若虛의 氣韻論) = 63 5. 明·淸時代 (董其昌, 唐岱, 唐志契, 張甫山의 氣韻論) = 68 Ⅳ. 東洋畵에 나타난 氣韻情神 = 74 Ⅴ. 結論 = 82 參考文獻 = 85 圖版 = 88 ABSTRACT = 9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41245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기운생동-
dc.subject미술교육-
dc.subject미술-
dc.title氣韻生動에 관한 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CHI YUN SHENG TUNG-
dc.format.page9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dc.date.awarded1984.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