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4 Download: 0

학문-기반 예술교육이론에 기초한 창작무용교수-학습과정모형개발

Title
학문-기반 예술교육이론에 기초한 창작무용교수-학습과정모형개발
Authors
최민원
Issue Date
199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Keywords
학문 기반예술교육이론창작무용교수학습과정모형개발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oday's society requires human beings who can contribute to society by developing themselves physically, intellecturally, emotionally, socio-culturally. Accordingly, school education also puts its aim on raising human beings who can abjust themselves to the various changes of modern society, that is, suitable for future society Recently, as interests in Emotion quotient is getting higher, people become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a dance as well as art education, and also interested in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and efficient dance programs. A time in middle school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eriod in life, and one's sense of his/her own self at this time Accordingly, dance education might affect one's growth as an intelligent adult who designs his/her affluent life, and make onelself recognized. However, the existing middle school dance course is made up of only one unit in physical education. Accordingly, as a plan for this problem, this study has a purpose to develop creativedance programs for middle school students based on a scientific and systematic theory, Discipline - based Art educatuion, which radically occurs in art education since 1990. DBAE has four academic departments as a basis, and shows the evident foundation of art rather than simple knowledge. Also, it puts its emphasis on development by leaning rather than nature-born talents.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theory is to help understrand art by teaching the knowledge structure of art courses. The academical basis of DBAE theory consists of 'production' focused on creation skills and process, 'history' focused on the situation of creation, 'Aesthetics; focused on essence and recognition and 'criticism' focused on judgement and evaluation and this structure of knowledge help comprehention The purpose of the academical basis creative dance program helps developing creative, academical ability, and social - culture understanding This creative dance teaching-learning process has four steps, and the contents are 1. goal building step ( sbject goal, chapter goal) 2. contents choosing step understandiang, theme, ability to choose materials, ability to structure a story). 3 teaching-learning setp(understand the principle of movement, ability to use a stage, ability to structure a composition) 4. evaluation step Also, a creative dance class based on the four academic departments helps acquire the structure of art knowledge, not simply learning dance practicing or the function of a dance. This program is suggested as a plan for solving the problems of the existing middle school dance education programs, and the development of a curriculum connected with that of elementary school is needed Also, the specific development and suggesting of textbooks in the aspects of learning management and operation should be studied, leaning through on-the-spot inspection should be studied as a task to be examined.;오늘날 사회에서는 신체적, 지적, 정서적, 사회-문화적으로 조화롭게 발달된 사회에 공헌할 수 있는 인간을 요구한다. 따라서 학교교육 역시 현대사회의 다양한 변화에 잘 적응할 수 있는 인간 즉 미래 사회에 알맞은 인간육성에 그 목표를 둔다. 최근에 들어 감성지수(Emotion.Quotient)에 대한 관심이 많아짐에 따라 예술교육의 중요성과 더불어 특히 무용교과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었고 무용교과의 효과적이고 능률적인 무용프로그램 개발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중학교 시기는 인생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시기로서 가치관을 정립하고 자기 자신을 인지하게 되는 시기로 볼 수 있다. 이 시기에 실시하는 예술교육은 학생들로 하여금 자신을 인지하게 하고 예술적 지식을 획득하게 함으로써 조화로운 인격형성에 도움을 주며 이는 인생을 더욱 풍요롭게 사는 지적인 성인으로서의 성장을 도모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하나의 방안으로서 1990년대 이후 예술교육분야에서 연구되고 있는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학문-기반 예술교육(Discipline-Based Art Educaton)이론을 기초로 중학교 학생들을 위한 창작무용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학문-기반 예술교육이론은 4가지 학문 즉 창조에 촛점을 맞추는 '제작', 창조된 상황에 촛점을 두는'역사', 본질과 인식에 촛점을 두는 '미학', 판단과 평가에 촛점을 주는 '비평'을 기초로 하고 있으며 이러한 지식구조는 예술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여 이해를 돕는다. 이러한 이론을 토대로 제시한 중학교 창작무용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창의적, 학문적인 능력개발과 사회-문화적 이해발달에 그 목적을 둔다. 그리고 이 프로그램은 4단계로 이뤄져 있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목표설정단계에서는 교과목표설정 및 단원목표설정을 한다. 둘째, 내용선정단계에서는 주제의식, 소재선택 그리고 이야기구성 능력 개발에 중점을 둔다. 셋째, 교수-학습단계에서는 동작원리인식, 무대이용능력 그리고 작품구성능력 개발에 중점을 둔다. 넷째, 평가단계이며 이 모든단계는 위에서 언급한 4가지 학문을 기초로 한다. 이상과 같이 개발된 창작무용 프로그램은 현재 각 중학교에서 실시되고 있는 창작무용 수업이 학문적 근거위에 좀 더 효율적으로 실시되어지기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제시하였고 또한 이러한 연구가 과학적 근거위에 창의적 교육, 다문화적 교육을 지향하는 현대사회의 교육에 부응하는 조화로운 인격형성에 이바지 할 것을 기대한다. 그리고 앞으로 DBAE이론에 근거한 유치원과정부터 중등과정에 이르기 까지 알맞고 연계성이 있는 교과과정의 구체적개발이 요구되어짐과 동시에 이에 따른 학습의 운영 및 관리적 측면에서의 교재 개발 및 제시가 후속적으로 연구되어져야 할 것이며 현장검증을 통한 학습효과 및 효율성에 대한 문제도 진단되어져야 할 과제로 남겨져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