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윤보경-
dc.creator윤보경-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02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02Z-
dc.date.issued1996-
dc.identifier.otherOAK-00000002588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448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5880-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체육수업에 있어서 학습자의 동작을 비디오로 촬영한후 개별 또는 집단적으로 재생시켜 학습자 개인의 운동기능을 객관적으로 관찰하여 수정해 줌으로써 운동기능의 향상을 도모하고, 나아가 VTR을 통한 지도방법을 교수-학습 지도시 효과적으로 활용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경기도 고양시에 있는 J중학교 1학년 여학생 두반을 임의로 선정하였으며 대상자수는 실험집단 41명과 통제집단 37명으로 총 78명이었다. 측정방법은 실험집단은 Video Camera를 이용하여 청소년체조 수업장면을 촬영하고 VTR 을 통하여 동작을 객관적으로 관찰한 다음 실기시간에 수정할 수 있도록 지도하고, 통제집단은 VTR없이 매 시간 교사의 시범과 언어적 설명으로만 동작을 수정해 주었다. 집단간의 관찰신뢰도를 높이기 위하여 사전검사시에 학습자의 수업상태를 촬영한 VTR을 통해 연구자와 2명의 동료교사가 참관하고 관찰 분석 기간에도 수시로 관찰의 일치도를 검사하였다. 개인의 동작에 대한 관찰을 기록한 측정도구는 청소년 체조의 도해표와 해설을 참조하여 연구자가 다시 고안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방법을 통하여 VTR 을 통한 지도방법이 동작수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 중간, 사후 검사의 운동수행의 차이를 알아보고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검사 차수에 따른 동작들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측정한 도구자료를 분석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작수행의 차이 1-1. 사전검사시에는 실험집단의 1. 2. 3. 4. 5. 9. 10동작의 평균이 높았다. 그러나 동작1. 2. 5. 10을 제외한 나머지 동작은 유의수준 .05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는 못했다. 또한 통제집단은 3. 6. 7. 8동작에서 실험집단보다 높은 평균치를 보였으나 6.7동작에서만 유의수준 .05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동작1-10까지의 팔, 다리, 순서, 전체의 평균 항목에서는 유의수준 .05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므로 똑같은 조건에서 실험이 이루어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2. 중간검사시에는 실험집단이 동작 1. 2. 4. 7. 8. 9. 10동작에서 실험에 의한 동작 교정이 잘이루어졌고, 통제집단은 동작6에서 동작교정이 잘 이루어졌다. 그리고, 팔, 다리, 순서, 전체평균항목에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 보다 평균이 높고 .05에서 유의미한 수준이 나타나므로 실험에 의해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하여 동작교정이 잘 되었다고 결론 내릴수 있다. 1-3. 사후검사시에는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동작1. 2. 4. 5. 7. 8.에서 평균이 높게 나타났고, 유의수준 .05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VTR을 통하여 동작수정을 받은 실험반이 통제반에 비하여 교수-학습과정시 더 높은 운동기능 향상을 보였다. 2.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검사 차수에 따른 동작수행의 변화 2-1. 실험집단은 모든동작에서 사전-중간-사후를 거치는 동안 유의미한 상승효과를 나타냈고, 특히 동작1.5.6은 중간검사에서 사후검사를 거치는 실험기간 동안 유의미한 상승효과를 보였다. 또한 팔,다리 전체평균의 항목에서도 중간검사와 사후검사를 거치는 동안에 유의미한 상승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2-2. 통계집단도 사전-중간-사후검사를 거치는 동안에 상승효과를 보이고 있으나 동작3 에서는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에서만 유의미한 효과를 나타내고 사전검사와 중간검사 사이에는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못 하였다. 동작 6, 7, 8에서도 평균은 상승되었지만 유의수준 .05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는 못하였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rrect the specific actions and improve sport skills as well as use the effective educational experiences during the teaching - learning, for which students sport actions were recorded by video, played individually or in groups, and individual athletic skills were objetively observed. To achieve the aims above, the reseacher selected at random two classes for girls, who are in the frist grade in J middle school in Kyo-yang city, Kyoung Ki Do. learning contents are gymnastic exercise for young people. After experimental group made up of 41 subjects was taken by video camera, the reseacher trained them to observe their own actions objectively, showed good sport conduct and encouraged them to correct thier specific actions.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group of 37 subjects listend to teacher's verbal explanation to correct their actions without observing their actions by video To measure consistent scorer reliability, two colleagues as well as the researcher observed VTR together during the pre - test. The researcher also kept measuring reliability during the mid - test. To check the observation of individual sport action, the picture and interpret of gymnastic exercise for ydung people were use. To see if the teaching method through VTR influenced the action during the researcher observed the differences of sport actions during the pre - test, and the mid - test, and post - test according to the the inceasing times of the test i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for the each group.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Differences in the level of action during the pre - test, the mid - test, and the post -test. 1-1. The mean of action 1, 2, 3, 4, 5, 9, 10 was high in the experimental group during the pre - test but the rest of the actions except actionl didn't show the meaningful differences within P<.05 level. In control group the men of action 3, 6, 7, 8 was higher than in experimental group but only action 6, 7 showed the meaningful differences within P<.05 level All of the actions from 1 to 18 didn't show the meaningful differences within P<.05 level From this it came to be clear that the experiment was mad under thesame conditions. 1-2. During the mid-test the experimental group correctxd action 1,8 very well and control group correct action10 very well. The mean of all of the action froml to 10 was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the meaningful differences within p<.05 level. Therefore it might be concloudedthat correction of actions the experimental group better than in the control group. 1-3. During the post-test the mean of action 1.2.3.4.5.7.8 was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the meaningful differences within p<.05 level. According to the experiment, the conclusion was may be reach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whose specific actions were corrected by VTR improved sport actions much more than the contxcd group whose specific action were corrected just by teacher's explanation without watching VTR. 2. Differences of actions according the increasing times of the test 2-1. Every action of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the significant effect effect during the pre test - the mid test - the post Especially action 1.5.6 showed the meaningful effect during the experiment between mid-test and the post-test. this means the effect the experiment was remarkable. And the whore mean of the actidons was increased meaningfully during the mid-test and the post-test. 2-2, The control group had the increased effect during the pre-test the mid-test the post-test but action 3 showed the meaningful effect during the pre-test and the post test without any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the pre-test and the mid-test. the means of action 5.7.8 was high according to the increasing times but the mean didn't makeany meaningful differences within <.05 level-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표목차 = ⅴ 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3 C.연구의 제한점 = 3 Ⅱ. 이론적 배경 = 4 A. VTR의 개념 및 특성 = 4 B. VTR의 교육적 효과 및 기능 = 6 1. VTR의 교육적 효과 = 6 2. VTR의 교육적 기능 = 10 C. 체육과 교육방법 개선을 위한 시청각 교재의 활용 = 13 1. 시청각 자료의 활용 = 13 2. 체육과 지도와 시청각 자료 = 17 3. VTR활용시 유의사항 = 20 Ⅲ. 연구방법 = 22 A. 연구대상 = 22 B. 측정내용 = 22 C. 측정도구 = 26 D. 연구기간 및 연구절차 = 28 E. 관찰 신뢰도 검사 = 29 F. 자료의처리 = 30 Ⅳ. 연구 결과 = 31 A. 사전검사의 차이 = 31 B. 중간검사의 차이 = 34 C. 사후검사의 차이 = 36 D. 검사 차수에 따른 동작들의 변화 = 39 Ⅴ. 결론 및 제언 = 56 A. 결론 = 56 B. 제언 = 58 참고문헌 = 59 ABSTRACT = 64 부록 = 6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99389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VTR-
dc.subject동작수행-
dc.subject청소년-
dc.subject체조-
dc.titleVTR을 통한 지도방법이 동작수행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청소년 체조를 중심으로-
dc.format.pageix, 70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dc.date.awarded1997.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