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2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윤현숙-
dc.creator윤현숙-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49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49Z-
dc.date.issued1998-
dc.identifier.otherOAK-00000002387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434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3871-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hotographic self-management to increase on-task behavior, to decrease off-task behavior, and to increase independent performance of daily living skills with autistic children. For this purpose, three daily living skills of two children with autism were selected. And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behaviors were used to examine the effects of photographic self-mansgement intervention and maintenance conditions. Prior to intervention(during A_(1) phase), the children were taught to discriminate pictures depicting steps in the target skill. This procedure was completed until all pictures from the pool for that task could be correctly identified. Additionally to decrease dependence on the visual cue, the intervention consisted of three phases: phase A_(2) used with album of photographic and sentence, phaseA_(3) of picture and sentence, and phaseA_(4) of sentence. Each phase advanced according to the criterion over 80% on-task behavior rate during continue three sessions.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subjects increased independent on-task behavior of three daily living skills through photographic self-management. 2. The subjects decreased off-task behavior of three daily living skills through photographic self-management. 3. the subjects increased independent task performance of three daily living skills through photographic self -management. 4. The increased independent on-task behavior and task performance were maintained after withdrawal of the intervent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photographic self-management intervention is effective method for improving independent daily living skills of children with autism.;자폐아동은 복잡하고 연속적인 일상생활행동들을 독립적으로 수행하고 이를 일반화하거나 유지하는데 어려움을 갖는다. 장애아동들이 독립적으로 과제를 수행하도록 촉진하기 위해서는 외부적인 자극에 의존하지 않고 자신의 행동을 관리하는 능력을 키워 주는 것이 필요하며 이와같은 방법으로 자기관리 중재가 효과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일상생활행동을 자립적으로 수행하지 않는 자폐아동들에게 계열화된 사진 앨범을 이용한 자기관리 중재를 사용하여 과제수행행동이 증가하고 과제이탈행동이 감소하며 각 하위 기술의 자립적인 과제 완수율이 증가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이를 위하여 일상생활행동을 자립적으로 수행하지 않는 자폐아동에게 세 가지 일상생활행동에 대한 행동간 중다간헐기 초선 설계를 이용하여 계열화된 사진 앨범을 이용한 자기관리 중재를 실시하였고 이를 두 명의 아동에게 반복해서 시행하였다. 또한 시각적 자극들에 대한 의존을 줄이기 위하여 중재에 사용한 사진 앨범을 그림에서 글씨로 점진적으로 소거해 가는 단계적인 중재들로 구분하였고 각 중재 기간은 선정된 준거에 도달하면 다음 단계로 진행하였다. 중재가 종료된 후에 습득된 중재 효과가 유지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중재 종료 2주 후에 과제 수행율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계열화된 사진 앨범을 이용한 자기관리 중재를 통해서 두 아동 모두 세 가지 일상생활행동의 자립적인 과제수행행동이 증가하였다. 둘째, 계열화된 사진 앨범을 이용한 자기관리 중재를 통해서 두 아동 모두 세 가지 일상생활행동의 과제이탈행동이 감소하였다. 셋째, 계열화된 사진 앨범을 이용한 자기관리 중재를 통해서 두 아동 모두 세 가지 일상생활행동의 과제 완수율이 증가하였다. 넷째, 계열화된 사진 앨범을 이용한 자기관리 중재로 증가된 과제수행행동과 과제 완수율은 중재가 종료된 후에도 높은 수준을 유지하였고 감소된 과제이탈행동은 낮은 수준을 유지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계열화된 사진 앨범을 이용한 자기관리 중재가 두 명의 자폐아동의 일상생활행동의 자립적인 과제 수행율과 과제 완수율을 증가시키고 유지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계열화된 사진 앨범은 자폐아동의 특성에 맞게 사진과 같은 구체적인 시각적 자극을 활용하였고 일상생활행동을 일정한 순서로 계열화하여 제시하였기 때문에 자립적인 과제수행행동을 증가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본 연구는 자폐아동들에게도 사진을 이용한 자기관리 중재를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자립적인 행동들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선행 연구들의 결과를 반복해서 입증하였을 뿐만 아니라 선행 연구들과는 달리 사진 앨범을 그림에서 글씨로 점진적으로 소거시키는 단계적인 중재를 시행함으로써 중재를 위해 사용된 시각적 자극에 대한 의존성을 줄여 나갔다는 점에서 선행 연구들과의 차이를 볼 수 있다. 또한 시각적 자극이 사진에서 글씨로 점진적으로 소거되었어도 아동들의 과제 수행율이 감소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증가함으로써 일상생활행동의 자립적인 수행이 내재화될 수 있는 가능성과 일반적으로 통용될 수 있는 중재 방법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ⅷ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5 C. 용어 정의 = 6 Ⅱ. 이론적 배경 = 8 A. 자폐아동의 일상생활행동 = 8 1. 일상생활행동의 개념 = 8 2. 자폐아동의 일상생활행동 = 8 B. 자기관리 중재에 대한 개관 = 11 1. 자기관리 중재의 정의 = 11 2. 자기관리 중재의 효과 = 13 C. 시각적 단서(사진이나 그림)를 이용한 자기관리 중재 = 15 1. 사진이나 그림의 기능 및 절차 = 15 2. 사진이나 그림을 이용한 선행 연구 = 16 3. 사진이나 그림 사용의 장점 = 18 D. 자폐아동을 대상으로 한 자기관리 중재 = 20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 24 A. 대상아동 = 24 1. 대상아동 선정 기준 = 24 2. 선정된 대상아동의 특징 = 25 B. 실험 기간 = 27 C. 실험 장소 및 실험 도구 = 28 1. 실험 환경 = 28 2. 실험 도구 = 28 D. 실험 설계 및 절차 = 29 1. 실험 설계 = 29 2. 실험 절차 = 30 E. 자료 수집 및 자료 분석 = 33 1. 측정행동의 정의 = 33 2. 관찰 및 자료 수집 = 37 F. 관찰자간 신뢰도 = 39 Ⅳ. 연구결과 = 41 A. 계열화된 사진 앨범을 이용한 자기관리 중재에 따른 과제수행행동의 변화 = 41 B. 계열화된 사진 앨범을 이용한 자기관리 중재에 따른 과제이탈행동의 변화 = 46 C. 계열화된 사진 앨범을 이용한 자기관리 중재에 따른 자립적인 과제 완수율의 변화 = 48 Ⅴ. 논의 및 제언 = 53 A. 논의 = 54 1. 계열화된 사진 앨범을 이용한 자기관리 중재와 자립적인 과제수행행동 = 54 2. 계열화된 사진 앨범을 이용한 자기관리 중재와 과제 완수율 = 57 3. 계열화된 사진 앨범을 이용한 자기관리 중재의 유지 = 58 B. 제한점 = 62 C. 제언 = 63 참고문헌 = 65 부록 = 70 ABSTRACT = 9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36677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계열화-
dc.subject사진앨범-
dc.subject자기관리중재-
dc.subject자폐아동-
dc.title계열화된 사진앨범을 이용한 자기 관리 중재가 자폐아동의 자립적인 일상 생활행동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ix, 92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dc.date.awarded1998.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