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0 Download: 0

비디오테잎을 이용한 자기평가중재가 문제행동을 보이는 초등학생의 수업참여행동에 미치는 효과 연구

Title
비디오테잎을 이용한 자기평가중재가 문제행동을 보이는 초등학생의 수업참여행동에 미치는 효과 연구
Authors
김은정
Issue Date
199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Keywords
비디오테잎자기평가중재문제행동초등학생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학급이나 수업참여에서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문제행동은 교사나 다른 아동, 자신의 학습활동에 지장을 주게 되어 학교생활이나 또래상호작용에서 어려움을 겪게 할 뿐만 아니라 장기적으로 가정, 학교, 지역사회로의 적응을 방해하게 되는 원인이 된다. 이러한 문제행동을 중재하는 방법으로 문제행동 자체에 초점을 두기보다 학생들이 스스로 자신의 행동을 관찰하고 평가하여 자신의 후속행동을 변화시킴으로써 자신의 학업적, 사회적 행동을 통제하는 능력을 키워주는 자기평가방법이 추천되어 왔다. 최근에는 비디오테잎의 사용이 자기평가와 결합되어 왔는데, 그 방법은 자연적 수업행동을 방해하지 않고, 영속적이고 정확한 기록을 제공하여 자신의 행동에 대한 객관적이고 정확한 피드백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효과적인 방법으로 제시되어 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생과 교사의 평가결과와 비교 및 점수제공, 적절한 대안행동 토론의 요소가 결합된 교사의 피드백이 포함된 비디오테잎을 이용한 자기평가 중재가 수업 전에 이루어졌을 때 학생의 수업참여행동이 바람직한 방향으로 변할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교사에서 학생으로의 자기평가 관리책임을 전이시키기 위해, 교사의 피드백을 소거시키고, 연속적으로 전 구성요소를 소거시켰을 때에도 획득된 행동변화가 유지, 일반화되는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를 위해 대상이 되었던 아동은 수업참여에 지속적으로 문제를 보이고, 초등학교 특수학급에 시간제로 오는 세명의 학습장애 아동이었다. 이들은 모두 낮은 수준의 적절한 행동과 높은 수준의 부적절한 행동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자간 중다기초선 설계와 반응의 유지를 평가하는 연속적 소거디자인을 함께 사용하였다. 중재A(교사의 피드백이 포함된 비디오테잎을 이용한 자기평가중재)에서는 국어시간 전에 학생이 매일 국어시간의 수업참여행동이 나타난 비디오테잎을 30초 간격으로 보고, 비디오가 멈춰졌을 때 자기평가 기록지에 자신이 본 것을 평가하여 기록하였다. 이와 동시에 교사도 학생과 같이 평가하였고, 교사와 평가가 일치하거나 적절한 행동일 때 점수강화를, 부적절한 행동이었을 때에는 그 상황에서 할 수 있는 더 적절한 대안행동을 토론하였다. 이 평가결과 비교를 통해 피드백을 주는 중재는 한 회기당 30초간격으로 10번 이루어졌고, 중재A'에서는 교사의 피드백 없이 학생이 스스로 자기평가하게 하였다. 유지는 실험처치가 종결된 2주 후에 5회기씩 실시되었으며, 일반화상황은 기초선에서 유지기간까지 일주일에 한번씩 대상자별로 일반학급 사회시간에 관찰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아동 모두 교사의 피드백이 포함된 비디오테잎을 이용한 자기평가 중재를 통해 적절한 수업참여행동이 증가하고 부적절한 수업참여행동은 감소하였다. 둘째, 교사의 피드백을 소거하고 비디오테잎을 이용한 자기평가중재만 실시했을 때에도 대상아동 모두 높은 수준의 적절한 수업참여 행동과 낮은 수준의 부적절한 수업참여 행동을 유지하였으며, 교사의 피드백이 있을 때보다 더 안정적인 경향을 나타내었다. 셋째, 유지검사에서 대상자 모두 높은 수준의 적절한 수업참여 행동과 낮은 수준의 부적절한 수업참여 행동수준을 유지하였다. 넷째, 일반학급에서 실시된 일반화 상황에서 중재A(교사의 피드백이 포함된 비디오테잎을 이용한 자기평가중재)와 중재A'(교사의 피드백이 소거된 비디오테잎을 이용한 자기평가중재)기간에 기초선 기간보다 높은 수준의 적절한 수업참여행동과 낮은 수준의 부적절한 수업참여행동 수준이 유지, 일반화되었다. 위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비디오테잎을 이용한 자기평가중재는 부적절한 수업참여행동을 감소시키고, 그 대안 행동인 적절한 수업참여행동을 향상시키며, 다른 학급 상황으로 유지, 일반화하는데 효과적이라고 볼 수 있다. 이것은 수업시간 내에 행동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교사에게 손쉽고, 유용하며, 학생에게는 학생 자신이 자신의 행동통제에 즐겁고 능동적으로 참여하게 하여 자기통제를 촉진시키고, 또한 서로의 행동에 대한 상호작용적인 정보를 준다는 면에서 교사와 학생 모두를 위해 효과적인 행동관리 프로그램이 될 수 있을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videotape self evaluation package(videotape self evaluation + teacher's feedback) on children's appropriate classroom behavior and inappropriate classroom behaviors. Multiple baseline design across subjects and sequential withdrawal design were used to examine the effects of each intervention condition, maintenance, and generalization on children's appropriate and inappropriate classroom behaviors. Prior to initiating reading class, target student was shown videotape a total of 5 min of each day divided into 30's segments. When the videotape was stopped, he did self evaluation on his behavior he had just watched and rated on the self-evaluation recording sheet. Teacher also watched the videotape along with the student and evaluated the student's behavior. If the student was accurate in evaluating his behavior, the student earned 1 point. For each students " Yes" check that corresponded with the teacher's "Yes", the student earned an additional 2 point. When a student' check was "no", he discribed more appropriate response in that situation. When the level of appropriate and inappropriate classroom behaviors were stable during the intervention A, intervention A' was introduced. During intervention A', the teacher's feedback component was withdrawn, and student's self-evaluation remained intact. When the levels of classroom behavior were stable in intervention A', all components of the procedure were terminated to assess the durability of the intervention gains in the absence of daily exposure to the self evaluation procedures. And generalization period measured during social studies classroom.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Videotape self-evaluation packge(intervention A) increased the level of appropriate classroom behavior and reduced the level of inappropriate classroom behavio of students with behavior procedures.. 2. When teacher's feedback component was withdrawn and only self evaluation procedures were implemented(intervention A'), the level of inappropriate classroom behavior along with the level of appropriate classroom behavior remained stable. 3. Reduced level of inappropriate classroom behavior and increased level of appropriate classroom behavior were maintained after withdrawal of all component of the intervention. 4. The acquired level of classroom behavior was generalized to the social studies classes.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s that videotape self-evaluation intervention is an effective method for improving the appropriate classroom behavior of children with learning and behavior problem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