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2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洪知延-
dc.creator洪知延-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33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33Z-
dc.date.issued1998-
dc.identifier.otherOAK-00000002394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417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3945-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의 목적은 영어 가정법 구문(subjunctive mood construction)을 형식과 의미 측면에서 고찰하여 이를 기준으로 가정법에 대한 재고찰을 하는 데 있다. 영어 가정법 구문의 형식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첫 번째로, if절을 포함한 전제절(condition)과 서법 조동사 과거 시제형을 포함한 귀결절(consequent)로 이루어진 기본 구문과 두 번째로, 전제절의 의미가 대용어구 또는 문맥에 함축된 불완전 조건문 형식이 있다. if절을 포함하지 않은 가정법 구문은 그 함축적인 특성으로 인해, 간결하고 응집성 있는 표현이 선호되는 문자언어에서 많이 쓰인다. 또한 가정법 구문은 일반적으로 반사실성(counterfactuality)을 의미한다고 인식되고있다. 그러나 가정법은 명제의 사실성(factuality)에 대한 화자의 부정적인 태도, 다시 말해 명제가 반사실성을 의미한다는 화자의 믿음을 표현하는 서법이므로 믿음의 사실근거 여부에 따라 명제의 반사실성 뿐 아니라 비사실성(nonfactuality)까지도 의미할 수 있다. 그러나 가정법 구문은 형태면에서 전제절과 귀결절로 이루어진 구문과, 의미면에서 반사실성을 의미하는 구문만을 중심으로 학습되고 있어 고급 수준의 영어 학습자도 가정법 구문을 이해하는데 어려움을 겪는다. 따라서 가정법 구문에 대한 정확하고 올바른 이해는 영어교육 현장에서 중요하다. 위에서 언급한 연구의 목적과 필요를 위해서, 본 연구는 가정법 구문을 문헌을 통해 이론적으로 고찰 분석하고 영어 시사지를 중심으로한 실제 영문 자료를 통하여 가정법에 대한 의미를 파악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법 구문은 일반적으로 전제절과 귀결절로 이루어지지만 전제절 대용어구 또는 문맥이 전제절의 의미를 함축할 수 있어 귀결절만으로 가정법 구문이 가능하며 간결성을 중시하는 문자언어에서는 전제절이 표현되지 않은 가정법 구문이 많이 쓰인다. 둘째, 가정법은 명제의 반사실성에 대한 화자의 믿음을 보여주는 기능을 하는 서법으로, 화자의 믿음이 사실에 근거할 경우에 가정법 구문은 반사실성을 나타내는 반면 그렇지 않는 경우는 비사실성을 나타내어 문맥상으로 명제의 진리치가 나타나지 않는다. 셋째, 가정법 구문이 비사실성을 나타낼 때는 명제의 반사실성에 대한 화자의 믿음의 정도에 따라 다음의 두 가지 경우로 나뉜다. 첫 번째는 믿음의 정도가 강한 경우로, 화자는 반사실성에 대한, 사실에 근거하지 않는, 확신을 표현한다. 두 번째는 믿음의 정도가 약한 경우로, 주로 서법 조동사 과거 시제형이 잠정적(tentativeness) 용법으로 사용되는 구문이 여기에 속하며, 화자는 비록 반사실성에 대한 믿음이 강하지 않지만 가정법 형태를 사용함으로써 상대방으로 하여금 반사실성을 화자가 믿는다는 것을 보여주어, 발화를 대담하지 않고 부드러운 의미가 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meaning of the subjunctive mood in terms of "counterfactuality" and "nonfactuality." For this purpose, subjunctive constructions without an if-clause will be mainly discussed. The second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that the past tense modal verbs, when they don't refer to past time, represent the grammatical marker of the subjunctive mood even without an if-clause. The first type of subjunctive construction without an if-clause is called "incomplete conditional." Incomplete conditional, whose condition is implied in some part of the same clause or in the context, can easily be observed in written English rather than in spoken language. This is because in written English short and compact expressions are preferred to long, complex ones. Furthermore, the truth-value of the incomplete conditional, which depends on that of the suppressed condition, is understood based on the whole context. As in discussions of other linguistic questions, "context"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discussion of subjunctive constructions. The meanings of past tense modal verbs in subjunctive constructions are analyzed first in terms of meaning, epistemic vs. deontic, and secondly, in terms of counterfactuality and nonfactuality. The data in this study are from authentic English materials including major English news magazines and literary works.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ough it is generally accepted that the subjunctive mood is composed of the "condition" with an if clause and the "consequent" with past tense modal verbs, the "condition" can be implied in some part of the same clause or in the context. Secondly, the past tense modal verbs, in general, represent "remoteness" in time or in reality. The first type of remoteness is used to refer to the past whereas the second type of remoteness is used to represent the "unreality" of the proposition. These two types of remoteness are us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Only the second type of "remoteness" is the issue of subjunctive constructions, which presupposes "unreality." If "unreality" is realized more explicitly in the context, the subjunctive constructions concerned are understood to denote "counterfactuality." On the other hand, if "unreality" is realized less explicitly, the subjunctive constructions are interpreted as denoting "nonfactuality." Here "nonfactuality" does not mean "neutral" as to factuality. This question leads to the third result of this study. Thirdly, even when "unreality" is weakly or implicitly realized and hence the subjunctive constructions are interpreted to denote "noncounterfactuality," the speaker of the subjunctive constructions are understood to show his judgment towards the falsity of the proposition rather than its truth.-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ⅳ Ⅰ. 서론 = 1 Ⅱ. 영어 가정법의 정의와 유형 = 4 A. 영어 가정법 정의 = 4 B. 영어 가정법 구문의 유형 = 6 Ⅲ. 영어 가정법 구문의 의미에 대한 선행 연구 = 19 A. 가정적 의미(hypothetical meaning)를 중심으로 = 19 B. 반사실성(counterfactuality)를 중심으로 = 24 C. 비현실성(unreality)를 중심으로 = 25 Ⅳ. 영어 가정법 구문의 의미 연구 = 29 A. 영어 가정법 구문과 서법 조동사 = 29 B. 영어 가정법 구문의 의미 : 반사실성과 비사실성 = 36 Ⅴ. 영어 가정법 구문에 대한 재고 = 59 Ⅵ. 결론 = 63 참고문헌 = 65 ABSTRACT = 7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21430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영어-
dc.subject가정법-
dc.subject구문-
dc.title영어 가정법 구문에 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if절이 없는 가정법 구문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ENGLISH SUBJUNCTIVE MOOD : With Special Reference to Subjunctive Constructions without on "if-clause"-
dc.format.pagev, 73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dc.date.awarded1998.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