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3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성민-
dc.creator김성민-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28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28Z-
dc.date.issued199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356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412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3564-
dc.description.abstractThis thesis is based on examination of Johannes Itten(1888-1967) who taught the Preliminary Course(Vorkurs) at the Bauhaus from 1919 to 1923, and he realized the fact that 'Self-Creativity' played an important role in art activities and applied this concept to his pedagogical principle on teaching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hus, to investigate the way which our country's art education should follow by studying the influences of his Preliminary Course, Therefore, Johannes Itten' own books and books written about him were analyzed and summarized to get the ideas of his style of teaching at the Bauhaus, his theory of 'Primary forms of art' and. his influences on modern design education. The Bauhaus can be characterized by its honorable attempts to create the new teaching method. As a result, the Preliminary Course, Vorkurs which was first run by Itten was born. The first Bauhaus, so-called Weimar Bauhaus, was characterized by Gropius's achievement throughout the its foundation even though it had limitation, handcraft works only. The Dessau Bauhaus, the second Bauhaus, showed progress in its teaching programs emphasizing on producing creative designers for the new generation of machinery rather than the previous concepts of production (hand craft). Meyer's practical view of education turned into reorganization of the workshops thus, mass production could become possible during the period of the third Bauhaus, the Berlin Bauhaus. In the New Bauhaus, the fourth Bauhaus, the formative art education of preliminary course had declined but the programs of architectual education had bloomed. However, the Bauhaus was closed with changes as just with community and society on 12 April 1933. Although there had been little changes in the principle of education system at the Bauhaus, it was rigid and fixed to synthesize the various formative arts into the architectual education. To carry out this principle, the Preliminary Course was estabilished and many practical studies took place through the course. In this manner, it still remains as today's model for fundamental design education. Itten's style of teaching at the Bauhaus was based on liberal Rousseau, Pestalozzi, Fro¨bel and Montessori's reformed education, not on formal academy. His teaching method was to study natural objects and materials, analyze the Old Masters and draw the models. He made the students feel the materials by touching the natural objects repeatedly and finally learn themselves visual, tectile and physical effects. Also, Itten helped them use its light-dark contrasts or its color when analyzing old masters. After the shut-down of the Bauhaus in 1933, its influences since then on modern design education and our country's formative art education was studied. 20 universities were selected randomly among the whole universities in Korea which had Industrial Design Course and their curriculums were investigated to analyze the first and second year programs as the preliminary courses.;산업기술의 발달로 디자인은 전문성을 요구하게 되었고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여 사물을 정확히 관찰하고 이를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을 위한 조형 교육이 필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기초조형교육의 의의는 창조력과 조형감각 능력을 갖추게 하여 창의성 있는 디자이너가 되도록 기초를 마련하는데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기초조형교육을 통하여 전기 바우하우스에서 기초조형교육을 담당한 요하네스 잇텐(Johannes Itten 1887-1967)의 교육 활동을 고찰하고자 한다. 특히 근대적 조형교육의 한 전형을 이룬점과 잇텐의 교육방법이 현대에 있어서 어떠한 의미를 가지며, 우리나라 기초조형교육에 있어서 수용해야 할 점이 무엇인지를 살펴보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잇텐의 주요 저서와 그에 관하여 소개된 글들을 종합, 분석하여 바우하우스의 기초교육 내용을 살펴보고, 잇텐의 교육이념 및 조형 예술론을 고찰하고 현대 디자인 교육에 미친 영향을 살펴본다. 우리나라 기초조형교육과정을 살펴보기 위해 산업디자인과가 있는 4년제 대학중 무작위로 20개 학교를 선정하여 1, 2학년 과정에 해당되는 기초교과과정을 고찰해 보고 구체적인 개선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잇텐이 기초과정을 담당했던 바우하우스의 제1기는 그로피우스(Walter Cropius 1883-1969)의 이상이 교육을 통하여 실천 되었으나 수공예적 한계성을 벗어나지 못하였으며, 제2기는 교육체제가 한결 진전되어 수공예적인 제작 개념에서 벗어나 기계화 시대에 맞는 창조적 디자이너의 양성을 목표로 하였다. 제3기는 교장 마이어(Meyer)의 작업장 활성화에 대한 교육방침으로 인하여 생산 단계에까지 접근하였으며 제4기는 건축교육에 적극적이었으며 공립 공과대학적인 성격으로 기초과정의 순수 조형교육이 거의 축소되었고 사회적 변동으로 인하여 결국 1933년에 폐쇄되었다. 이처럼 시기적인 혼란을 겪는 동안 다소의 차이는 있으나 바우하우스가 추구한 이념은 다양한 조형예술을 종합하여 건축교육에 집약시키는 것이었다. 이것을 실천하는 방법으로 예비과정이 전개되었으며 기초교육은 다양한 조형에 대한 실험적인 연구를 진행하여 조형의식을 체험시키는 과정으로 오늘날까지도 기초 디자인 교육의 모범이 되고 있다. 바우하우스 교육의 특징인 기초교육은 제1기에 교육을 담당하였던 잇펜에 의해 정립되었는데 그는 교육의 본질이 바람직하게 응화된 전인적 인격체로 학생들을 육성시켜야 된다고 주장했다. 일반적인 아카데미에서 행해져 오던 전통방식이 아니고 루소(Rousseau)나 페스타롤치(Pestalizzi), 프뢰벨(Frobel), 몬테소리(Montessori)둥의 진보적이고 개혁적인 교육을 통하여 가르쳤던 기초적인 조형교육의 방법은 자연과 재료의 연구, 거장의 분석, 모델실기등이 수업의 중요한 과제였으며 학생들의 감각능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자연의 재료들을 통해 시각적, 촉각적 효과와 물리적 성질을 체험시켰다. 또한 거장의 분석과정에서는 명암과 색채의 사용법을 익힐 수 있게 하였다. 잇텐의 이러한 수업방식은 그의 탁월한 교육능력과정은 수많은 조형수업의 지침으로 남아있다. 결론적으로 잇텐은 조형예술의 교육방법에 혁신적인 토대를 제공했으며 조형예술의 기초교육에 커다란 전환의 계기를 마련했다. 또한 그의 교육 활동의 원천이라 할 수 있는 '기초조형교육' 은 오늘날 디자인 교육의 근본으로 수용되고 있다. 우리나라 미술대학 대부분의 전공과에서 1, 2학년 동안 기초교육을 실시하며 3, 4학년에서 전공수업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실기 실습장을 통해 학교내에서 실습할 수 있도록 하여 제 조형분야의 통합적 실현을 가능하게 하였으며 창조적인 인간, 전인적인 인간 양성이라는 그의 교육이념과 교육내용이 우리나라 디자인교육의 기초가 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의 감성적이고 이성적인 교육방법은 현대의 창조적이고 책임감있는 디자이너 양성을 위해 조화롭게 수용되어야 하겠고, 잇텐이 강조했던 기초과정의 중요성을 재인식하여 철저한 기초조형 감각을 익히게 해야겠다. 그러므로 우리의 실정에 맞는 독자적인 교육방법 개발에 밑거름이 될 수 있다고 여겨 진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그림목차 = ⅴ 표목차 = ⅶ 논문개요 = ⅷ Ⅰ. 서론 = 1 A. 연구 목적 = 1 B. 연구방법 및 범위 = 1 Ⅱ. 이론적 배경 = 4 A. 바우하우스의 기초조형교육 = 4 1. 기초조형교육의 의의 및 목적 = 4 2. 기초조형교육의 전개과정 및 내용 = 6 B. 요하네스 잇텐의 조형예술관 = 11 1. 잇텐의 교육이념 = 11 2. 요하네스 잇텐의 조형 예술론 = 13 Ⅲ. 잇텐의 기초조형교육 방법의 특징 = 16 A. 색채 = 17 B. 형태 = 32 C. 질감 = 41 Ⅳ. 요하네스 잇텐이 현대 디자인교육과 우리나라 기초조형교육에 미친영향 = 46 A. 현대 디자인교육에 미친 영향 = 46 B. 우리 나라 기초조형교육에 미친 영향 = 49 Ⅴ. 결론 = 62 참고문헌 = 66 그림 = 71 ABSTRACT = 8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06847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요하네스-
dc.subject잇텐-
dc.subject기초조형교육-
dc.subject대학-
dc.subject산업디자인-
dc.subject교육-
dc.title요하네스 잇텐(johannes itten)의 기초조형교육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대학 산업디자인 교육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about The Formative Art Education of Johannes Itten : Mainly in University Design Education-
dc.format.pagevi, 82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dc.date.awarded1998.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