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수경-
dc.creator박수경-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26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26Z-
dc.date.issued199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355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410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3559-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and need level of students toward dance curriculum and ⓑ to develope dance program in university that can be provided the professors of university after analyzing the characteristies of year and major level. A total of 251 completed questionnaires were appropriate, comprising junior and senior in university. The statistical procedures used were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Chi-square, and t-test. SPSSWIN was used for the analysis of data. It was hoped that respondents become to be professionals equipped with their own competence and quality. Also, they required appropriate professional curriculum that was diversified and segmented. The result of the survey was analysed. They are as follows: ① The students' opinion on the existing curriculum had been asked. 48.5% were not completely satisfied with the curriculum but a t the same time they were not against it. 37.9% of the students were not satisfied with the existing curriculum. ② The reasons for students' complaints cm the curriculum had been examined according to year and field of study. Statistically, there were no vital differences in the complaints(P>. 05) but 39.8% of students stated that the set curriculum is in actual fact a waste of time. ③ The reasons for applying to the department of dance had been surveyed. The result did not show any major differences in statistics (P<.05). However 43.0% of the students came to study dance hoping to become specialized dancers. ④ The future ambitions and desires of the students had been asked. The students' answers showed a difference in ratio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statistic to be acknowledged. ⑤ The students wished for a curriculum focused more on a specialized education that would aid them with their career after university. ⑥ Important statistical differences seemed evident in the students' wish for a different method of teaching and increasing their creativity (P> .05), (P> .005). ⑦ The majority of students wished for a curriculum with less emphasis put of the field of physical education. ⑧ Having the choice to choose the compulsory subjects, this coinciding with their timetable and the grades required to be obtained. In general most of the students choice the same subjects bu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preference of creativity and compulsory subject, grades and time.;본 연구의 목적은 무용(학)과 교과과정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과 요구수준을 알아내고 학년별(3, 4학년), 전공별(한국무용, 한대무용, 발레)로 어떠한 특성이 있는지를 분석하여 실질적인 교과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서울시 소재 4년제 대학의 무용(학)과 3, 4학년 학생 251명을 대상으로 대학 무용(학)과 교과과정에 대한 학생들의 요구를 알아보기 위한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조사대상을 학년별(3, 4학년), 전공별(한국무용, 현대무용, 발레)로 구분하여 조사하고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Chi-square, T-Test를 실시하였고, 자료의 통계처리를 위해 SPSSWIN의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대학 무용(학)과 학생들은 자신의 능력과 소질에 맞는 전문 직업인이 되기를 희망하였으며 이에 부합하는 다양하고 세분화된 전공의 교과과정을 요구하였다. 분석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학)과 학생들의 교과과정 만족 여부에 대한 결과 「그저 그렇다」는 응답이 48.5%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만족하지 않는다」 는 응답이 37.9%로 높게 나타났다. 교과과정에 대해 만족하지 않는 이유를 학년별(3, 4학년), 전공별(한국무용, 현대무용, 발레)로 살펴 본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5) 전체의 39.8%가 「교과과정이 실질적으로 도움이 안된다」 고 응답하여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내었다. 둘째, 무용(학)과 학생들의 장래 희망에 대한 결과를 학년별(3, 4학년), 전공별(한국무용, 현대무용, 발레)로 살펴 본 결과 각각 장래 희망에 대한 비율이 다르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P>.05). 또한 지원동기에 대한 결과를 학년별, 전공별로 살펴 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5), 전체의 43.0%가 「전문 무용수」 라고 응답하여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내었다. 셋째, 무용(학)과 학생들은 무용(학)과 교과방향을 전문직업교육에 두기를 희망하였다. 넷째, 무용(학)과 학생들이 요구하는 교과내용 구성 비율은 전공에 따라 지도 방법과 창작능력에서 각각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5), (P>.005). 또한, 교과목 필요도를 조사한 결과 이론과목, 실기과목, 창작 및 지도과목에서 체육 영역을 제외한 전 과목의 평균이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무용(학)과 학생들의 필수과목 지정과 학점 및 시간 배당에 대한 우선 순위 요구 결과 전 과목에서 고른 분포를 나타내었다. 일반적으로 필수과목으로 지정한 과목에 학점 및 시간 배당증가 경향이 나타났으나 창작 및 지도과목에서는 필수과목 지정순위와 학점 및 시간 배당 순위가 다르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대학 무용(학)과 학생들은 자신의 능력과 소질에 맞는 전문 직업인이 되기를 희망하였으며 보다 전문적이고 세분화된 전공의 교과과정을 요구하였다. 따라서 대학무용(학)과 교과과정은 학생들의 소질과 능력에 맞는 전문적이고 세분화 된 내용을 중심으로 각 대학의 특성에 맞게 독자적인 교과과정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 ⅷ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3 C. 연구의 제한점 = 3 Ⅱ. 이론적 배경 = 5 A. 대학 무용 (학)과 교육의 목표 = 5 B. 외국의 대학 무용 교육과정 = 7 1. 미국의 교육과정 = 8 2. 영국의 교육과정 = 10 C. 우리 나라 대학무용 (학)과 교육과정 = 12 1. 대학 무용 (학)과의 현황 및 교육과정 현황 = 12 2. 현행 대학무용교육의 문제점 = 18 Ⅲ. 연구방법 = 22 A. 연구대상 = 22 B. 연구도구 = 23 C. 연구절차 = 24 D. 자료의 처리방법 = 26 Ⅳ. 연구결과 분석 및 논의 = 28 Ⅴ. 결론 및 제언 = 59 A. 결론 = 59 B. 제언 = 61 참고문헌 = 63 부록(설문지) = 68 ABSTRACT = 7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51405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대학-
dc.subject무용학과-
dc.subject교과과정-
dc.title대학 무용(학)과 교과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조사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Basic Investigation for Development of Dance Curriculum in University-
dc.format.pageix, 78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dc.date.awarded1998.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