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6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고경옥-
dc.creator고경옥-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22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22Z-
dc.date.issued1998-
dc.identifier.otherOAK-00000002399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405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3991-
dc.description.abstract현대는 과학기술의 급격한 발전과 더불어 지식의 폭등으로 인한 인간성 상실과 소외현상을 야기 시켰으며 이러한 혼동 상태를 극복하기 위한 하나의 방편으로 미술교육의 역할이 중시되고 있다. 특히 근본적인 미지식이 중학교의 미술교육에서 이루어짐을 볼때 청소년기에 올바른 미술 감상 교육 지도야 말로 학생들로 하여금 심미안을 갖게하여 창작과 관계를 맺음은 물론, 실제 생활 태도에 영향을 주어 아름다운 심성을 지닌 인격체로 성장하는 기능을 하게한다. 그러므로 올바른 감상 교육이란 매우 중요하며 오늘날 도시 곳곳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비구상 작품에 대하여 감상하는 방법을 익히는 것은 심미안 증대와 함께 조화로운 인간 형성을 위하여 더 나아가 주체성있는 미의식을 육성하여 그 나라의 미의식을 형성해 나가는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미술 감상 교육에 있어서의 비구상 미술 감상 교육의 문제점을 제시하고 그 방안을 찾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감상 교육의 목적 및 중요성에 대하여 논하고, 비구상 미술의 개념 및 특성의 이해를 통해 현행 중학교 미술 교육 과정과 중학교 8종 미술 교과서를 분석하며, 감상 교육 내용 중 비구상 예시작품 비율을 살펴보고 아울러 비구상 예시작품에 대한 감상 학습 지도 내용을 학문에 기초한 교육과정(DBAE)에 의해 분석하여 보았다. 또한 미술 감상 및 비구상 미술에 대한 감상 실태 및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설문지를 통하여 조사, 연구하였으며 그 결과 중학교 미술 감상 교육에 있어서 비구상 미술 감상의 문제점 및 방안은 다음과 같다. 현행 미술 교과서의 구성은 현대 미술 교육의 흐름을 반영하여 감상영역에 대한 교육을 중요시 하여 미술 교과서의 감상 영역에 대한 비중을 높이고 있으나 단지 감상영역에 대한 미술 교과서의 비중의 증가가 감상교육에 대한 증대라 볼 수 없으므로 현실 적용이 불가능한 형식적인 교육이 아닌 학생의 발달단계를 고려한 체계적이고 단계적으로 감상 능력을 신장시킬 수 는 실제적인 교과서 구성이 되어야 한다. 또한, 감상 영역에서의 비구상 미술 참고 작품 선택시 보다 유의하여 선택하여 학년에 맞는 단계적이고 체계적 작품선정을 한다. 또한 비구상 미술 참고 작품의 이론적 배경 및 개념을 설명하여 이해를 돕고, 작품의 내용, 형식, 특성등을 파악할 수 있는 해설을 제시 하며, 그 이론을 토대로 하여 현대의 시각 환경과 비구상 미술의 관계, 우리나라 전통미술에서 추상원리의 발견에 이르기까지 고려하여 구성해야 한다. 중학교 미술 감상 교육 및 비구상 미술 감상 교육에 대한 인식과 실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설문지를 작성하여 분석하여 보았으며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감상 학습에 대찬 중요성의 인식은 감상영역에 대한 비중의 증가를 가져 왔으나 아직도 그 실정에 있어서는 감상 학습을 위한 충분한 감상영역의 비중이 매우 미흡한 상태이다. 그러므로 감상 영역의 비중의 증가는 물론 감상 학습을 위한 충분한 시간 배당 및 감상의 기회를 자주 마련하며, 감상을 생활화하는 태도가 중요하다. 즉 미술 감상을 위한 공간을 학교 교내에 만들어 전시 작품으로는 감상 교육에 꼭 필요한 주요 작품 및 그 복제품등을 게시하며 그 아래 이해하기 쉬운 언어를 사용하여 설명하므로서 이해를 도와야 한다. 시청각 자료인 슬라이드, 영화, VTR 등의 사용을 활성화 하며, 직접 작품을 접하는 현장 학습을 통하여 흥미를 유발시켜 실생활에서 작품의 감상 뿐만 아니라 자신의 창작 생활과 연결시키는 태도를 길러 심미안 향상을 도모하여야 한다. 비구상 미술 감상의 인식 및 실태에 대한 설문지의 분석 결과를 보면 비구상 미술은 구상 미술과는 달리 충분한 학습을 통해 이해력이 증대된다. 그러므로 학생들의 비구상 미술 작품을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최대한 마련함으로서 친밀감과 흥미를 유발시키는 것에 주안점을 두어야 한다. 즉, 비구상 감상 시간의 증대는 물론 한정된 교실 수업에서 벗어나 풍부한 자료가 비치된 박물관, 전시장, 도서관 등의 현장 학습을 통해 비구상 감상 학습의 분위기를 조성하며, 작가와의 토론이나 작품을 보고 자신이 본 것을 이야기 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지며, 감상문의 작성등을 통해 비구상 작품 감상력을 증대 시킨다. 비구상 작품 감상시에 작품에 대한 내용설명이 이해하기 쉬우며, 체계적으로 이루어져 이해력의 향상에 주안점을 두어야 한다. 즉 비구상 미술의 이론적 배경 전개, 작품의 형식 및 내용과 특성, 현대의 시각 환경과 추상미술의 관계, 우리나라 전통 미술에서 추상원리의 발견에 이르기까지 고려, 구성되어야 한다. 중학교 미술 교육 과정을 보면 교육의 내외적 요구에 부응하는 내용을 갖추기 위해 계속 변화, 발전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 교육 현장에서 그 내용과는 괴리를 보이고 있다. 그러므로 미술 교육 효과를 실현시키기 위해서는 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실질적이고 현실 적용이 가능한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내용 및 지도방법과 세분화된 평가방법을 제시하여 현실적으로 구현 될 수 있는 미술 교과 과정의 구성이 요구된다.;Modem times has brought out loss of humanity and man's isolation with the radical developement of technology and jump of knowledge, and as a means of overcoming this chaotic state the role of art education is being emphasized. Particularly, correct guidance and education for the youth's art appreciation not only makes students have an aesthetic eye to be connected with creation but also exerts influences on their attitude of living to grow upward a personality with fine mentality. Therefore, correct appreciational educaton is very important, and to drill to appreciate abstract works of art easily seen in various parts of the city is to increase aesthetic sense as well as to cultivate independent sense of beauty to form harmonious personality and furthermore the aesthetic sense of the countr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some problems in art education for appreciating abstract works and to search for alterations. So, in the study, the goals and importance of appreciational education are discussed, current middle school art curricula and its eight art texts are analyzed through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r characteristics of abstract art, percentage of presentation of the abstract work is investigated among the contents of appreciational instruction, and the contents of appreciational guidance toward abstract works presented are analyzed based on DBEA. To examine the actual conditions and recognition of the art appreciation or abstract art, a questionnaire has been made up to analyze data. As a result, problems and plans to be resolved prior to the execution of middle school art education for appreciation are as follows : As for the composition of current art text, in spite of, today's art education in heightening the gravity of appreciational realm considering education of appreciational realm is important, practical text composition is demanded to extend students' appreciative ability systemically and gradually which can not be achieved in impractical, formal existing education. In selecting contents of relevant abstract works, much consideration must be given to explain the developmental and systematic compositions of work in accordance with the level of the school grade to help understanding the theoratical backgrounds and concepts of referential abstract works, to present interpretations for students to grasp the substance, form, and traits of work, and to lead them to find out the relation between current visual environments and abstract art and the abstract principles in this country' tarditional art. A questionnaire research has been employed to see actual conditions and people's recognitions of the middle school art education for appreciating art of abstract art, adn as a result such facts have been revealed as follows : The first thing to point out is the matter of gravity put on the appreciational realm.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appreciation training has increased the gravity on it, but still the degree is unsatisfactory, So proper time apportion and frequent chances to fulfill the class as well a expansion of the appreciation realm should be arranged. For this arrangement, spaces for art appreciation should be constructed within the school to exhibit essential works or their copies under which theoretical explanations should be added to help understanding. By making most of such audio-visual equipments as slide/movie projector or video, teachers should invite students' interest in their own creative activities as well as practical appreciation of art works to promote improvements of their aesthetic eye through field studying in which students can directly contant with real works of art. We can see that abstract art unlike concrete one increases students'understanding through learning. Therefore, by providing maximum opportunities to contact with abstrct art, Inducing students' sense of familiarity and interest is important. That Is, make efforts to extend time for abstract art appreciation, to create appropriate atmosphere to appreciates fully through field studyings at the museum, exhibition hall, and library for students to have opportunities of discussing works with their authors and talking about what they have seen, and to increase students' appreciative ability through composition of their feelings after appreciation, In other work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abstract art development, forms, matters and characterastics of work, the relations between current visual environments and abstract art, foundation of the abstract principles in our country's traditional art, everything should be considered and included. As for the middle school art curricula, they continuously change and develop to have corresponding with demands in and out of education. However in the actual spots of education, composition of curriculum that can effectively reach goals and provide systematic structures, concrete details and instructional techniques, and itemized ways of evaluation is required to realize the aim of educ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ⅶ 1.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내용 = 3 C. 연구방법 = 3 2. 미술감상교육 = 5 A. 미술감상의 개념 = 5 B. 미술 감상 교육의 목적 = 6 C. 감상교육의 중요성 = 8 3. 비구상 미술의 개념 및 형성배경 = 10 A. 비구상 미술의 개념 = 10 B. 비구상 미술의 형성배경 = 11 C. 비구상미술의 분류 = 14 D. 중학교 미술 감상교육에 있어서 비구상 미술 감상교육의 의의 = 19 4. 학문에 기초한 미술 교육 과정 (DBAE) = 21 A. DBAE = 21 B. DBAE 따른 미술 감상 프로그램 = 24 5. 우리나라 중학교 미술교육의 현황 = 27 A. 미술 교과 과정 분석 = 27 B. 교과서 분석 = 30 C. 설문지를 통해본 현장실태조사 = 47 D. 결과 = 54 6. 결론 = 60 참고문헌 = 65 의견조사서 = 67 ABSTRACT = 7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33573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중학교-
dc.subject교육-
dc.subject비구상-
dc.subject작품감상-
dc.title중학교 교육에서의 비구상 작품 감상-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ppreciation of Abstract Art in the Middle School Education-
dc.format.pageix, 75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dc.date.awarded1998.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