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도은경-
dc.creator도은경-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12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12Z-
dc.date.issued1996-
dc.identifier.otherOAK-00000002249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394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2495-
dc.description.abstractAs science programs emphasize an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ce, it is needed to assess students' views on a wide range of Science-Technology -Society topic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hanges in Korean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n Science-Technology -Society according to the general science course which is newly developed by the 6th science curriculum. Pretest and posttest Data were collected using 12 multiple-choice items selected from the 114 items in the Views On Science-Technology-Society (VOSTS) item pool, and obtained by the survey of 394 high school students who took a course in general science in Seoul and Incheon c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General science course was not significantly effective in changing students ' perceptions on 'definitions' and 'epistemology ' domains of STS. 2. General science course influenced on the positive change of students ' perceptions on the influence of society on science/ technology of 'external sociology of science' domain of STS and on the negative change of students' perceptions on social construction of scientific knowledge of 'internal sociology of science' of STS (p<.05). 3. There were some changes in differences of perceptions on STS between high school boys and girls. 4. General science course had rooms for improvement on Science-Technology-Society education.;과학과 기술이 발달할수록 현대 사회 속에서 과학·기술이 차지하는 역할이 늘어가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인 흐름에 따라 과학과 기술과 사회의 상호관련성을 강조하는 STS(Science - Technology - Society) 교육은 세계 과학교육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우리 나라도 개정된 제 6차 교육 과정에서 STS 정신을 반영하는 공통과학 과목을 신설하였다. 본 연구는 수도권의 4개 고등학교 1학년생 394명을 대상으로 하여 공통과학 수업이 시작되기 전과 1학기동안 진행된 후에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수업전후에 나타난 과학과 기술과 사회(STS)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도 변화를 알아보았다. 조사 연구 결과, 공통과학 수업을 통하여 나타난 학생들의 과학과 기술과 사회에 대한 인식도 변화는 다음과 같다. 1. 정의적 영역(과학의 정의, 기술의 정의, 과학과 기술의 상호의존성)에 대한 인식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가 없었다. 2. 과학의 외적 사회성 영역에 대한 인식은 사회가 과학/기술에 미치는 영향의 범주에서 STS적인 성향이 증가하는 유의미한 변화를 나타냈으나(p<.05), 과학/기술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의 범주에서는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3. 과학의 내적 사회성 영역에 대한 인식은 과학자의 특성 범주에서는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과학지식의 사회적 구성 범주에서는 오히려 STS적인 성향이 감소하는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났다(p<.05). 4. 인식론적 영역(과학지식의 가설성, 학습을 통한 개념의 일관성)에 대한 인식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가 없었다. 5. 공통과학 수업을 통하여 나타난 남녀 학생간의 과학과 기술과 사회에 대한 인식도 차이는, 과학의 외적 사회성 영역 중 사회가 과학/기술에 미치는 영향의 범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를 보였으나, 과학의 정의 측면과 과학자/기술자의 책임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의 측면에서는 오히려 수업 후에 인식도의 차이가 나타났다. 그 외의 영역에서는 공통과학 수업을 통하여 나타난 남녀 학생간의 인식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와 같이 학생들은 공통과학 수업을 통해서 과학의 외적 사회성 영역 중에 사회가 과학/기술에 미치는 영향을 STS적인 견해로 더욱 잘 인식하게 되었다. 그러나 과학과 기술의 정의와 그 둘간의 관계, 과학/기술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 과학자의 특성, 과학지식의 본성에 대한 견해는 의미있는 변화가 일어나지 않았고, 과학지식의 사회적 구성의 측면에서는 오히려 STS적인 견해가 감소하는 통계결과가 나타났다. 이것은 설문기간이 한 학기 동안으로, 공통과학 전체의 교육과정 기간에 비해서 비교적 짧은 기간이었기 때문에, 과학과 기술과 사회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이 불확실한 상태여서 견해의 일관성이 결여되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이후의 연구에서 공통과학 전체의 교육과정 기간에 전국적인 표집을 대상으로 실시한 보완이 필요하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ⅰ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1 B. 연구문제 = 2 C. 연구의 제한점 = 3 Ⅱ. 이론적 배경 = 4 A. 과학과 기술과 사회의 정의 = 4 B. STS교육의 특성 = 6 C. 공통과학 교육과정 = 13 D. VOSTS (Views on Science-Technology-Society) = 16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 21 A. 연구 방법 = 21 B. 연구대상 = 22 C. 검사도구 및 연구절차 = 22 Ⅳ. 연구결과 및 논의 = 25 A. 정의적 영역의 변화결과 및 논의 = 25 B. 과학의 외적 사회성 영역의 변화결과 및 논의 = 33 C. 과학의 내적 사회성 영역의 변화결과 및 논의 = 48 D. 인식론적 영역의 변화결과 및 논의 = 55 E. 남녀 학생간 차이의 변화결과 및 논의 = 60 Ⅴ. 결론 및 제언 = 67 A. 결론 = 67 B. 제언 = 69 참고문헌 = 70 ABSTRACT = 7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79309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공통수학-
dc.subject과학기술사회-
dc.subjectSTS-
dc.subject인식도-
dc.title공통수학 수업을 통해서 나타난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과학-기술-사회(STS)에 대한 인식도 변화-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ii, 78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물리교육전공-
dc.date.awarded1997.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물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