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조성은-
dc.creator조성은-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51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51Z-
dc.date.issued1996-
dc.identifier.otherOAK-00000002251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372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2519-
dc.description.abstractJuvenile art education now seem to, through moulding activities, nurture an artist as a skilled person, but rather to help grow a creative, self-searching and aethetic mind through a variety of artistic experiences. In art teaching, however, due to the traditional methods - based on fixed technical expression, shapes and combination of colors seem to appear sterotyped, rubber-stmped and out of fashion. This trend seemingly seems to be dealt simply with the traditional technique of juvenile art teaching, disregarding the indivisual qualities and differences of capacity, only uncontionally to cram an art course with simple idea. Accordingly, in juvenile teaching, it is necessary for juvenile teachers to induce a concern and interest in art activities, not in traditional ways. Therefore, in this juvenile art, the study shows that out of the techniques of plane and cubic methods - in the techniques of plane materials and ways of techniques, there were studied ways of drawing, frottag and decalcomani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ly that there induced understandable expression of juvenile art techniques after they appreciate their qualities and particular sense of colors to comprehend easily the material around them, thereby, they know what to choose, what to make, growing boundless in imagination and idea. In the study of juvenile teaching, there are described a techniques of juvenile art teaching, far from traditinal ways such as general conditions and specific qualities and abstract conception for juvenile activities. The brief summary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plane work elevated interest in things around and expression will, and made children feel they achived something. Second, the result of various work on shapes and which colors fits in children (age 5-9) development made them recognize the harmony of order, and choosing and using materials through field work made the expression lively. Third, the survey shows that a kindergarten and art institude is running not just for children's emotional activities, but parents' unresonable demand. It is pointed out that this becomes only a short term class for a grade. Fourth, an average ratio between teachers and children is said to be 10-15, but it depends on the character of work. Also, the ideal class time will depend on individual difference and the character of work, but most toddlers have 20 minute-class because they can't concemtrate on something for long, and other children, 45-60 minute-class. Fifth, the task which should be more deeply studied in children arts is on the management and the instruction of expression skills, and I think existing teachers' subjective instruction ; ignoring individual difference, should be corrected, and there shouldbe more studies on individual ability for children.;아동미술교육은 조형학습을 통하여 훌륭한 기능인으로서의 미술가를 양성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경험과 체험을 통하여 스스로 탐색하는 창의적인 표현능력 및 미적 감수성을 지닌 조화로운 인간으로 성장시키는데 있다. 그러나 미술에 있어서는 고정된 표현 기능 중심으로 기술을 가르치기 때문에 형이나 색채가 판에 박힌 듯한 양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단순히 재료만을 다룬다거나 아동의 특성과 개인차를 무시하고 무조건 주입식으로 교육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아동 미술에 있어서, 관심과 즐거움을 줄 수 있는 지도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미술활동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평면과 입체미술에서 평면의 재료와 기법을 나타내는 방법 중 그리기, 붙이기, 문지르거나 찍어서 나타내기를 중심으로한 지도 내용을 조사하였다. 연구 목적은 우리 주변에서 쉽게 찾을 수 있는 재료를 이용하여 기법과 특성을 아동에게 이해, 경험시킴으로써 무한한 상상력과 그 재료들의 독특한 색깔, 성질 등을 파악하고 표현해내도록 유도하였다. 특히 변화있는 학습활동을 통하여 재료를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가능성으로 확대시키며 독창적인 표현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평면미술활동을 하기 위한 조건과 일반적인 특성, 개념화에서 탈피하기 위한 지도방법을 서술하였다. 그리고, 평면적 작업에서의 다양한 재료를, 체험을 통한 표현과 바람직한 미술활동을 할 수 있도록 아동미술에 대한 현실 및 활동에 대한 모습을 설문지를 통하여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간략하게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번째, 평면 작업을 통하여 주변 사물에 대한 관심과 표현의욕 및 작업의 보람을 느끼게 하였다. 두번째, 아동(5-9세)의 발달단계에 맞는 형과 색에 대한 다양한 작업의 결과는 무질서에 대한 질서 조화를 인지시키고, 현장 작업을 통한 재료의 선택 및 활용은 나름대로의 표현을 활발하게 하였다. 세번째, 설문조사 결과 아동을 위한 정서 활동으로서의 미술작업 보다 학부모들의 무리한 바램으로 미술학원을 겸한 유치원으로 되어지고 있으며 이는 성적을 위한 단기간의 수업으로 전락되고 있는 것으로 지적되었다. 네번째, 교사와 아동수의 비례는 작업의 성격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평균 10-15명이 적당하다고 나타났다. 그리고, 작업활동의 이상적인 수강시간은 개인차 및 작업의 성격에 문제가 있겠으나 대부분 유아반은 집중시간이 짧기 때문에 20분 정도, 아동반은 45-60분의 수업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번째, 아동미술에 대한, 보다 연구되어야할 과제로는 운영방법 및 표현능력 지도에 대한 연구로서, 아동의 개인차를 무시한 교사의 주관적인 기존의 지도방법의 시정이 시급하다고 생각되며 아동을 위한 개개인의 능력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ⅷ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와 목적 = 1 B. 연구의 내용 = 2 C. 연구의 방법 = 2 Ⅱ. 이론적 배경 = 4 A. 아동미술교육의 중요성 = 4 B. 평면적 표현의 일반적 특징 = 11 Ⅲ. 평면적 작업에서의 효과적인 표현의 실제 = 20 A. 프로그램 실시방법 및 결과 = 20 B. 표현기법의 적용 = 22 Ⅳ. 아동미술학원의 현황조사 = 44 A. 연구의 절차 및 방법 = 44 B. 결과 및 해석 = 47 Ⅴ. 결론 = 61 참고문헌 = 69 ABSTRACT = 7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52000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평면-
dc.subject표현활동-
dc.subject지도방안-
dc.subject아동-
dc.subject미술교육-
dc.title평면에서의 표현활동을 위한 지도방안-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5-9세 아동을 대상으로-
dc.title.translated(An)Abstract of a Method of Guidance on Juvenile Art Education in Expression of Activities in Plane Painting-
dc.format.pageix, 79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dc.date.awarded1997.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