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성현-
dc.creator박성현-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51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51Z-
dc.date.issued1996-
dc.identifier.otherOAK-00000002251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372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2517-
dc.description.abstractKorean catliolic church originated from Lee seung hun's baptism on 1784 has steadily extended the number of church and tlie member of church for the last 200 years. Catholic art in Korea has developed into Korean style tlirough 1960's, 1970's and 1980's. In the early stage (1784-1940), catholic art in Korea was the simple imitation of western catholic art. Catholic art focused on only the construction of catholic church due to the lack of understanding of catholic priest and leaders in a church who directed the construction. Despite artist Jang bal and Lee soon seok's activity in 1920's, 1930's, and 1940's, catliolic painting and sculpture in Korea also was under the influence of western catholic art. On 1954, Catholic art exhibition which Jang ba1 and his company displayed showed that Korean catholic sculpture and painting broke away the simple imitation and unconditional acceptance of western catholic art and expressed artist's originality. After 3rd catholic art exhibition, Seoul catholic art association was organized on 1971 and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Korean catholic sculpture and painting through it's exhibition. In the construction of Korean catholic art, Lee hee tae and father Alwin introduced modern construction style on Korea catholic church. As the result, Korean catholic construction could break away the imitation of medieval construction style. In modern catholic construction trend, the pope John 23's the two principle, "update" and ''active participation", which enriched faith began to be reflected on the Korean church construction. As the result, Korean catholic construction tended to original expressionism. Catholic sculpture and painting for 1980's were contrast to the previous period. Catholic artists for 1980's used various materials such as stone, wood, window paper, cement, and polyester to make sculpture, and produced many paintings and stained glasses of original Korean style. The activity of artists of catholic art institute was notable for 1990's. Furthermore, the increased consideration of priests and leaders in a church about catholic art has triggered in the development of catholic art for 1980's and 1990s.;본 논문은 한국 가톨릭미술의 역사적인 발전 과정과 각 시기의 건축, 회화, 조각의 특징에 관한 연구이다. 1784년 이승훈의 영세로 시작된 한국 가톨릭은 200여년의 역사를 지니지만 가톨릭 미술은 초기의 박해와 일제치하에서의 어려운 여건들 그리고 6.25전쟁을 겪으면서 제대로 꽃을 피우지 못했다. 그러나 꾸준히 교세확장을 해 오는 동안 가톨릭 미술도 자리를 잡게 되었으며, 1950년대에 들어서면서 한국적인 독특한 가톨릭 미술 양식들을 보게된다. 일반적으로 가톨릭 미술은 일반 미술과는 달리, 종교적인 소명의식을 가지고 있으며, 그리스도를 찬미하기 위해 복음 정신을 구체화할 뿐 아니라, 작품을 통해 복음의 의미를 나타내도록 되어 있다. 한국의 가톨릭 미술품도 이와같이 가톨릭 미술 본래의 의미를 준수하고 있다. 한국 가톨릭 미술은 박해시대, 개화시대, 일제시대, 해방으로부터 제2차 바티칸 공의회가 열린 1962년까지, 그리고 1962년부터 현재까지로 구분된다. 박해시대와 개화시대의 가톨릭 미술은 성직자나 건축을 주도한 교회 지도부의 인식부족으로 인해, 성당건축을 중심으로 한 단순한 서구 가톨릭 미술의 모방에 그치고 말았다. 1924년 장발외 여러명의 가톨릭 미술가들의 등장은 한국 가톨릭 미술계에 빛을 던져주는 계기가 되었으나, 전반적인 흐름은 여전히 서구 미술의 영양 하에 있었다. 1954년 장발을 중심으로 가톨릭 미술가들이 참여한 '성미술전'이 시작된다. '성미술전' 및 이들 미술가들의 활동을 바탕으로 하여, 가톨릭 미술의 회화와 조각들은 점차 사구 가톨릭 미술의 단순한 모방이나 일방적 수용에서 벗어나게 되며, 비로서 한국 가톨릭 미술의 독창적인 양식과 조형의 발전을 나타내게 된다. 한편 성당 건축도 독일인 신부 알빈과 이희태의 근대적인 건축 양식을 통해, 중세교회 양식의 모방으로부터 벗어난다. 또한 1971년 가톨릭 미술회의 결성과 함께 시작된 전시회는 '성미술전'을 뒤이어 가톨릭미술의 회화와 조각의 발전에 많은 공헌을 하게 된다. 1980년대에 들어서면서 가톨릭 건축과 미술은 신앙을 풍요롭게 하기 위한 교황 요한 23세의 두 가지원칙, 즉 'update(새롭게 하기)'와 'active paticipation'(적극적인 참여)라는 두 가지 개념의 원칙 아래, 형식적인 양식주의에서 벗어나 독자적인 표현주의 경향을 띠게 된다. 성당의 회화와 조각도 이전 경향과는 달라진다. 다양한 재료를 사용한 조각품들이 증가하고, 한국적인 분위기를 나타내는 스테인드 글래스가 많이 제작된다. 교회 지도자와 성직자들의 한국 가톨릭 미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것도 특기할 만한 사실이다. 그 결과 종교 미술을 연구하고 한국 가톨릭 미술품 제작을 전문적으로 하는 '가톨릭 조형 연구소'가 설립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 서구에 비해 짧은 역사를 지닌 한국 가톨릭 미술은 과거에는 작품의 양(量)이나 기록에 있어서 미비했던 것이 사실이지만 이제 한국 가톨릭의 신앙을 상징하는 예술로 자리잡게 되었으며, 점차적으로 가톨릭 미술가들 및 작품들의 수적 증가에 못지않게 그 질(質)도 높아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Ⅰ. 서론 = 1 Ⅱ. 가톨릭 미술의 의미 = 4 A. 기독교 미술의 보편적 의의 = 4 B. 서구의 가톨릭 미술 = 6 Ⅲ. 한국 가톨릭 미술과 의의 = 18 A. 박해시대 (1785-1886) = 19 B. 개화시대 (1886-1910년) = 22 C. 일제시대 (1910-1945) = 27 D. 해방부터 바티칸공의회 이전 (1945-1962) = 34 E. 현대 가톨릭 미술 (1962 - 현재) = 41 Ⅳ. 결론 = 52 참고문헌 = 89 ABSTRACT = 9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60236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가톨릭 미술-
dc.subject건축-
dc.subject조각-
dc.subject회화-
dc.title한국 가톨릭 미술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건축, 조각, 회화를 중심으로-
dc.format.page93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dc.date.awarded1997.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