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5 Download: 0

실생활 구두언어교재가 영어듣기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Title
실생활 구두언어교재가 영어듣기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Authentic Oral Texts on English Listening Ability : For Korean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Authors
홍혜련
Issue Date
199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Keywords
구두언어교재영어듣기능력의사소통접근법듣기이해능력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외국어학습은 오래전부터 성공적인 의사소통능력 향상에 그 목적을 두어왔다. 특히 듣기이해기능은 원활한 의사소통능력을 배양하는데 기본이 되는 기능으로 간주되었으며 읽기기능과 함께 이해기능의 역할로 인식되면서 그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었다. 최근 외국어학습에서는 듣기기능의 중요성에 대하여 논하기보다는 어떻게 듣기능력을 향상시킬 것인가에 대하여 초점이 더 맞춰지고 있으며, 듣기이해가 강조됨에 따라 듣기이해자료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듣기 이해자료는 전통적으로 사용되었던 편집된 구두언어교재와 실제 삶을 반영한 실생활 구두언어교재로 나뉘어진다. 이 두 가지 교재중 실생활 구두언어교재는 교실에서 목표어를 사용하는 나라의 문화와 생활풍습을 제공하여 주는 잇점이 있어 교재의 활용성을 인정받기 시작하였다. 더욱이 의사소통능력을 배양하고자 하는 학습자에게 원어민이 실제 사용한 언어와 상황을 제공하는 것은 외국어 학습에 큰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외국에서는 가능한 한 이를 활용한 듣기수업을 권장하고 있으며 그에 관련된 실험연구와 문헌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실생활 구두언어교재에 대한 연구가 극히 적은 편이며 이에 대한 실험연구도 부재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실생활 구두언어교재를 활용한 듣기수업이, 우리나라 중·고등학생들의 듣기능력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가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본 실험연구는 중학교 1학년 176명, 고등학교 2학년 195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실험대상은 다시 듣기능력, 성별, 계열별로 유의한 차가 없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분리되었다. 실험집단에게는 실생활 구두언어로 구성된 교재를 사용하였으며 통제집단에게는 편집된 구두언어로 구성된 교재를 활용하여 12주간의 실험연구를 실시하였다. 교재유형 이외에 듣기수업에 사용된 교수방법과 시간 등은 모두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12주의 실험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집단의 실생활 구두언어 듣기능력은 통제집단의 실생활 구두언어 듣기능력보다 더 향상되었으나, 두 집단간의 편집된 구두언어 듣기능력의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실험집단내 하위집단은 실생활 구두언어교재를 활용한 수업을 통해 실생활 구두언어를 듣고 이해하는 능력이 상위집단보다 더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면 상위집단의 실생활 구두언어 듣기능력 향상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로 실생활 구두언어교재를 듣기교재로 사용하는 것이 하위집단에게 매우 효과적인 듣기지도인 것으로 여겨지며 단기간의 실생활 구두언어교재를 활용한 듣기학습은 상위집단의 듣기능력 향상에는 도움을 주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실험집단내에서 교재에 대한 흥미도가 높은 학습자가 교재에 대한 흥미도가 낮은 학습자보다 실생활 구두언어 듣기능력이 더 향상되었다. 그러므로 학습자의 흥미도를 고려한 듣기교재가 듣기능력을 향상시키는데 중요한 요인이 된다고 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위에 제시한 결과를 바탕으로 첫째, 실험집단의 듣기능력이 통제집단의 듣기능력보다 더 향상된 것으로 보아 본 실험연구에 사용된 두 가지 교재중 실생활 구두언어교재가 편집된 구두언어교재보다 학습자들의 듣기능력을 향상시키는데 더 효과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므로 학습자들의 듣기이해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실생활 구두언어 듣기능력을 배양시키기 위해서는 우리나라 중·고등학교에서도 실생활 구두언어 교재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된다. 둘째, 듣기능력이 매우 부족한 우리나라 초급 학습자에게도 실생활 구두언어교재가 의미있는 듣기교재로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며 앞으로 초급 학습자들에게 활용될 실생활 구두언어교재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리라고 본다. 셋째, 실생활 구두언어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시킬만한 교재를 듣기교재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학생들의 듣기능력을 배양하기 위해서 실생활 구두언어교재에 관련된 문헌연구와 실험연구가 더 필요하리라고 보며, 영어교육현장에서도 실생활구두언어가 듣기자료로 용이하게 활용되도록 그에 관련된 교재연구가 이어져야 할 것이다.;Since 1969, improving student's communicative competence has been the goal of Korean English education. In order to develop students's communicative competence, listening comprehension is regarded as an essential and active skill, thus the importance of listening skill has been emphasized over the past 3 decades. The recent debate concerning foreign language learning focuses not on whether listening is an important skill but rather on how best to promote its development. The focus of interest is on the oral input for the development of listening skills. Two major kinds of input are edited oral materials such as educational texts and authentic oral materials such as Sesame sotreet. Using authentic oral texts in English class have major advantages: they can bring the real life every day language use into the classroom and the students can learn about the culture of that target country. For the development of listening comprehension, providing the students with the native speakers' authentic speech as a listening text would be significant. Many of the foreign language educators encourage teachers to use authentic materials in the classroom because the use of authentic texts has been supported by some research to show improvement in the students's listening ability. Unfortunately, however, very little empirical research has been done on the use of authentic oral materials in Korea. Therefore this paper focuses on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authentic oral materials on the development of Korea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listening ability. The first year middle school and second year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The control groups were taught with the edited oral materials of "Beauty and th Beast" and "The Sound of Music". The experimental groups used authentic oral materials, "Beauty and th Beast" and "My Girl". Both groups were equivalent with respect to their age, gender, and field of study as well as their listening ability of authentic oral texts. The teaching method and time for the two groups were identical. After the twelve-week long experiment, the experimental group obtained a better score in the authentic listening test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when the listening ability was measured.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when the edited listening test was measured. This result shows that there would be no automatic transfer int the listening ability of the experimental group between the authentic and edited oral texts with the experimental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improvement with their listening ability of edited texts. Secondly, in the experimental groups, the lower groups' authentic oral listening ability increased much more than that of the higher groups'. This result shows that using authentic oral texts will be more effective for the lower group than for the higher group. Finally, those who have an interest in authentic oral texts, "Beauty and the Beast" and "My Girl", obtained good scores compared with those who are uninterested in them as their listening ability was measured on the authentic listening test.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that using authentic oral materials as a listening oral texts in the classroom is desirable to solve Korean student's listening problem and to develop their listening ability. Secondly, it suggests that authentic oral texts might be helpful for beginners in developing their listening ability. Finally, in order to develop listening ability for comprehending authentic oral texts, it is desirable to consider student's interest in their texts when we select authentic oral texts. Further empirical and literate research is needed concerning materials which is related with authentic oral materials, to improver Korean student's listening abili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