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92 Download: 0

주거환경이 아동화의 색채 표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itle
주거환경이 아동화의 색채 표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ffects of residential environment to the color expressions of children's drawing
Authors
李炫貞
Issue Date
199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Keywords
주거환경아동화색채 표현도식기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인간의 행동 요인을 선천적인 요인과 후천적인 요인으로 나누어볼때 선천적인 요인이 동물적인 본능에 의해서 욕구 충족의 행위를 하는 것이라면 후천적인 요인은 환경에 의해서 인간의 성격, 사고방식, 사상, 감정 등을 지배받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행동 요인은 인류학적으로도 그러하지만 한 개인의 성장과정을 생육사적으로 보아도 마찬가지로 작용한다. 본 연구는 행동 요인 중에서 후자의 경우, 즉 환경이 개인의 성격, 사고, 감정 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주변 환경은 한 개인의 성장과정에 영향을 끼치고, 현대를 사는 아동들의 정서는 그가 속한 사회적, 물리적 환경 특히 1차적 생활 공간인 주거 환경에 영향을 받으며 이러한 영향은 아동의 미술표현에 있어서도 나타난다. 특히 아동의 색채 표현에 있어서는 주거 환경에 따른 환경 색채가 아동화의 색채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본 연구에서는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아파트 지역과 주택지역으로 나누어 각 주거 환경별 환경색채를 선행적으로 조사분석한 뒤 주거 환경에 따른 아동화의 색채 표현을 분석하고 그 차이점을 비교하였다. 먼저 환경 색채에 있어 아파트 지역은 조사 대상 지역을 서초동, 방배동, 잠실동. 수서동으로 정하고, 주택지역은 연남동, 증산동, 남가좌동, 창천동으로 정하여 조사 분석한 결과 아파트지역의 환경 색채는 명도에 있어서 중, 고명도가 주류를 이루고, 채도는 1-4정도의 저채도를 나타내고 있어 전체적인 이미지가 차가운 경향이 있다. 아파트지역은 회색과 회색계의 사용빈도가 매우 높게 나타났는데, 이것은 아파트 외벽색이 연한 회색계로 이루어져 있음에서 기인한다. 이에비해 주택 지역의 환경 색채는 명도 3-7의 중명도가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채도는 전체적으로 다양한 분포를 나타내어 차분하고 안정된 분위기가 돈다. 주택 지역의 외벽은 중명도, 중, 고채도인 붉은 벽돌색계까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약간의 녹색이 가미된 회색계가 소규모로 분포되어 있다. 또한, 지붕은 대부분이 붉은 색계와 녹색계, 그리고 청색계의 중명도, 저채도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주거 환경에 따른 환경 색채 현황 조사의 대상 지역 안에 거주하는 도식기(만 7-9세) 아동, 즉 국민학교 1, 2, 3학년을 대상으로 자유화와 조사지를 도구로 하여 4가지 항목의 분석 기준인 색 사용수, 색 선호도, 배색표현, 색칠 표현 방법에 의해 주거환경별로 분석하고 비교하여 그 결과를 백분율로 통계처리 하였다. 그 결과를 종합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파트 지역의 아동은 13-15색을 사용하여 그림을 그린 아동이 가장 많아 주택 지역의 아동의 경우 10-12색 사용 분포율이 가장 높은 것에 비해 2-3가지 색을 더 많이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세가지 방법으로 실시된 색 선호도 조사에서 두 지역 아동 모두 몇 가지 색에만 편중되지 않고, 여러 가지 색을 사용하여 다양한 색채 표현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아동의 색채 문화에 많은 변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아파트 지역의 아동의 경우 주택지역의 아동에 비해 회색, 검정색의 무채색을 선호하고 있는 것에 비해 주택지역의 아동은 붉은 계열의 난색을 많이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배색 표현 비교 조사를 통해 아파트 지역의 아동은 주택지역의 아동에 비해 무채색 및 탁색끼리의 배색을 더 많이 사용하고 주택지역의 아동은 순색끼리의 배색, 특히 원색끼리의 배색을 즐겨하는 것으로 나타나 두지역 아동 모두 그가 속한 주거 환경에 따른 환경색채의 영향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색칠표현방법 비교조사 결과 아파트지역의 아동화는 주택지역보다 색칠기법적인 면이 능숙한 반면 표현이 기계적이고 색칠작업 과정 자체에 대한 흥미가 결여되어 있다면, 주택지역 아동의 그림은 아파트지역에 비해 흐리고 색칠양은 적었으나 얽매임 없이 자유분방한 면을 보여주었다. 위의 네가지 차이점 분석을 통해 아동의 그림 안에는 그가 속한 환경의 영향이 그대로 표현되어짐을 알 수 있다. 주거 환경에 따른 문화적, 물리적 특수성 이해와 그에 맞는 올바른 지도만이 아동의 정서발달에 기여할 수 있으며 미술 교사는 아동을 지도함에 있어 각 아동이 가진 주거 환경적인 영향을 고려해야할 것이다. 또한, 항상 아동을 격려, 고무하고 수용하는 적극적인 자세와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The factor of man's behavior can be divided into prenatal and postnatal one. The inherent factor is to satisfy desire with animal instinct and the postnatal is that character, thinking process, thought and emotion of a man is controlled by environment. These behavioral factors affect on the development process of an individual in lifetime as have been doing on the history of mankind. This research is based on the latter, that is, that the environment influences the character, thought and emotion of an individual. Circumstances influence the process of growing-up of an individual and the emotion of children at the present time is affected with the social and physical circumstances to which he is belong, especially by residing as living space of the first and this influence is shown in the presentation of children's fine art. Specially in regard of the children's color presentation, environmental color depending on living environment influencing color of children's drawing, the object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children's color expressions based on living environment and to compare the differences after investigating environmental color by living environment by dividing into two area such as apartment and house area around Seoul area. First of all, the investigation target of apartment area investigation was Seocho-dong, Bangbae-dong, Jamshil-dong and Suseo-dong and that of house area was Yennam-dong, Jeungsan-dong, Namgaja-dong and Changchun-dong. The result of investigation is that environmental color of apartment area is primarily middle, high grade in value approximately 1-4, low chroma and the tendency of cold overall image. In the apartment area, the usage frequency of white and gray has been appeared, which is due to the color of outer wall of apartment being soft gray. In contrast with this, the environmental color of house area is primarily 3-7 middle value, overall variety distribution in chroma and serene, stable atmosphere. Outer wall in house area is primarily high value, high and middle chroma such as red brick colo mainly plus a little distribution of green-added gray. Also, most of roof is colored with red, green and blue which are middle value and low chroma. The children of drawing-discernible age (7-9) and of the 1st, 2nd, 3rd grade of elementary school living in apartment and house area have been inquired with survey sheet and free-painting. 4 kinds of standards which are the number of colors used, preference rate of colors, harmonious presentation of color and coloring method have been used in analyzing and comparing the inquiry. The result have been calculated to percentage and made in the form of statistics. The following is the outcome. First, children and apartment area have most used 13-15 colors and appeared to have used 2-3 colors more than 10-12 colors having most used by house area children. Second, children in both area appear to have being used variety of colors not inclining only to a few colors on inquiry of color preference ratio executed in 3 methods and we can see there have been much change in the culture of colors of children. Children in house area have much used red sort of colors compared with those in apartment area having more preferred black-and-white color comparing those in house area. Third, through the survey of harmonious representation comparison, children in apartment area appear to use more black-and-white color, black-and-white mixed color presentation compared with those of house area and children in house area to more often use pure color, specially primary color representation and both area children are shown to have being influenced with the environment ti which they are belong. Fourth, in the result of coloring method inquiry, children's painting of apartment area have shown skill, but mechanical, out of interest in drawing itself and their painting of house area have been faint, small quantity of coloring an informal and free style. From the previous analyses of 4 differences, we can see that the influence of the environment which a child belong to is presented as it is on the child's drawing. Understanding cultural, physical characteristic according to living environment and the correct guidance to this can only contribute to the emotional development of child and the teachers of fine art should consider the influence of his own environment when teaching a child. Also, the active attitude and effort must always being needed encouraging and incitating childre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