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최지혜-
dc.creator최지혜-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31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31Z-
dc.date.issued1994-
dc.identifier.otherOAK-00000002098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350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0985-
dc.description.abstract山水畵에서 소나무는 산수화의 전반적인 성격을 규정하는 중심 세계이고 그 표현 기법은 시대와 화파에 따라 특징을 달리하므로 작품의 연대 및 양식의 변천을 판별하는데 좋은 기준이 되고 있다. 이에 의거한 본 論文은 조선후기 산수화에 나타난 소나무의 표현 및 기법을 고찰하여 18세기 초부터 19세기까지의 산수화 흐름을 파악한 것이다. 아울러 소나무 표현에 있어 새로운 경지를 개척한 당 시대 화가 李寅文(1745-1822이후)을 중심으로 살펴봄으로써 그의 독창적 예술 세계를 함께 조명하였다. 지조와 절개, 장수, 탈속 등의 의미를 담고 있는 소나무는 동아세아 문화권의 정신적 표상이 되어 왔기 때문에 예로부터 널리 그려져 왔으며, 우리 나라에 있어서는 조선후기에 이르러 가장 다양하게 묘사되었다. 조선후기의 대표적인 산수화가로 알려져 있는 姜世晃, 李麟祥은 그들의 소나무 묘법을 통해 남종화의 특징인 寫意的인 면모를 보여 주는데, 간략하고 습윤한 묵법과 조화를 이룬 담채법이 그렇고, 소나무와 인물의 묘한 조화 또한 고고한 절개를 은유해 주는 등 사의성을 느끼게 한다. 한편, 姜熙彦, 崔北, 金應煥, 金碩臣등 一群의 겸재일파 화가들은 수직선과 여러개의 짧은 수평선이 교차되는 독특한 모양으로 소나무를 묘사했다. 갈필 선묘로 굵기와 농담의 변화를 능숙히 변화시켜 가며 노송을 그렸던 김홍도는 김득신을 비롯한 여러 화가들에게 적지 않은 영향을 끼쳤고 신윤복, 윤제홍 등은 수채화를 연상시켜 주는 특이한 설채법과 활달한 필법, 시적인 분위기로서 그들의 개성을 뚜렷이 나타냈다. 조선후기 畵員들 가운데에는 특히 松林을 즐겨 그려 당시 화단에서 畵名을 날리던 인물이 있었는데 英·正祖시대 산수화가 古松流水館道入 李寅文이 대표적이다. 古松流水館의 遺作과 당시 기록을 통해서 보면, 그는 여러 가지 中國畵風을 수용하는 등 당시 畵壇의 다양한 움직임에 대해서 상당한 반응을 보이기도 하지만 소나무 표현에서만은 가장 개성 있고 한국적인 묘법을 창출해 내었다. 이인문 산수화 전기 작품에 나타난 소나무는 細筆선의 사용으로 그림의 전반적인 분위기가 섬세하고 차분하며 매우 사실적이다. 그러나 후기로 접어들면서는 전기의 조용하고 차분한 분위기에서 벗어나 과감하고 생동감 있는 運筆로 전환한다. 즉, 노송의 굴곡은 강하게 하고 표피는 재질감을 우수하게 살리며 솔잎은 성글고 대담하게 처리하는 등 그만의 독특한 분위기가 정착되어 간다. 특히 노년에 이르러서는 指頭法을 사용하여 소나무를 그리기도 했는데 보는 이로 하여금 신선한 감각을 느끼게 함과 동시에 그만의 원숙한 기량을 보여준다. 대체로 이인문 산수화에 표현된 소나무들은 뚜렷한 독창성과 함께 한국적인 특징이 강하게 표출되었기 때문에 조선후기 산수화단에서 차지하는 그의 회화사적 비중은 꽤 크다고 볼 수 있겠다.;The pine tree in landscape paintings is the main theme to characterize and the good indicator to recognize the date and style of painting works in that the expressions of pine trees differed in every epoch and school. The thesis based on this fact is aiming that the study on the expressions and techniques of the pine tree in landscape paintings during the late chosun period gives a general view of the flow from the early 18th century through the 19th century. Furthermore, it is added by focussing on the creative art works of a contemporary painter Lee In Moon( 1745-after 1822) who opened a new horizon to the expressions of pine trees. The pine tree which possesses profound meaning such as constancy, longevity, chastity and unworldliness has come to symbolize the emotional state of oriental culture. Consequently, the pine tree has been painted at length by many artists and described with the widest variety during the late chosun period in Korea. Kang Se Hwang and Lee In Sang, renowned dynasty, display certain aspects of saeui(寫意: sketching the idea of things), typical of Nam Jong Hwa in their expression of the pine trees. The characteristics of saeui can also be spied in the symplified and watered down use of the ink in harmony with the light coloring method, and the ethereal balance of pine tree and character blended together to form a methaphor of profound chasteness. On the other hand, Kang Hee Un, Choi Buk, Kim Eung Hwan, Kim Suk Shin of the Gyum jae-il pa school express the pine trees in 'T' form by utilizing a brush stroke performed by laying the brush down sideways at a deep angle and dotting it, called Mi jo^m. It is a most unique endeavor to express the pine tree in such fashion. The 'Gal pil Sun Myo' is a dry brush technique in drawing lines with which Kim Hong Do expertly expressed desired thickness and hues of his aged pine trees or junipers. Kim Deuk Shin and many others benefitted from this heritage. Furthermore, Shin Yoon Bok, Yoon Jae Hong were able to express water color-like characteristics with their distinct coloring method, a form of coloring and vibrant brush strokes to achieve a poetic ambiance and distinguished style. A particular painter of landscapes in the late Chosun period renowned for his recreation of pine woods on paper was the landscape painter Go song ryu soo kwan do in, Lee In Moon of the Young and Jeung Jo period. The masterpieces of Go song ryn soo kwan and historical data of his time show that Lee In Moon was exceptionally aware of the various movements in artistic expression and he had reacted by applying the numerous Chinese influenced styles. However, his most notable achievement was the distiuctively Korean style which was realized in the strength and character of expression of the pine trees. During his early years, the pine trees are expressed through fine lines and the landscapes emit an overall ambience of realistic calm and delicacy. However, in his later works the serenity of his earlier years is replaced by bold and vibrant attempts. The junipers are drawn with strong curves and the expression of the rough outer bark, bold strokes for the pine needles are pure genius. Lee In Moon reaches his own distiuctive style. Especially in old age, Lee In Moon utilizes a painting technique using the fingers and finger tips or wooden sticks with ink displaying a renewed sense and a mature expression of pine trees that he alone could achieve. In general, the Pine trees appearing in Lee In Moon's landscapes are representative of a strong distinct style which is 'Korean' at its core. It is only natural that the painter Lee In Moon is regarded as one of the most influential of the late Chosun dynasty and reserves a special place in the art history of Korea.-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論文槪要 = ⅷ Ⅰ. 서론 = 1 Ⅱ. 이론적 배경 : 산수화에서 소나무가 갖는 상징성 및 표현기법 = 4 Ⅲ. 조선초기와 중기의 山水畵에 나타난 소나무 표현의 전반적 경향 = 8 A. 조선초기 = 9 B. 조선중기 = 14 Ⅳ. 조선후기 山水畵에 나타난 소나무 표현의 특징 = 19 A. 조선후기 산수화단의 경향 (1700 - 1850) = 19 B. 조선후기 산수화 작품에 나타난 소나무 표현 = 23 Ⅴ. 이인문 산수화에 나타난 소나무 표현의 특징 = 42 A. 이인문 산수화 경향 = 43 B. 이인문 작품 분석 -- 소나무 표현을 중심으로 -- = 44 Ⅵ. 결론 = 53 참고도판 = 55 參考文獻 = 70 ABSTRACT = 7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97183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조선후기-
dc.subject산수화-
dc.subject소나무 표현-
dc.subject이인문-
dc.title조선후기 산수화에 나타난 소나무 표현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李寅文(1745-1822 이후)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Expression of Pine Trees in Late Choso˘n-DynastyLandscape Paintings : focussing on 'Lee In Moon's Pine-Tree Presentation in his landscapes-
dc.format.pageix, 7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dc.date.awarded1995.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