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3 Download: 0

서울 지역 특수학교 교사들의 지역사회중심교수 실태 및 지원요구

Title
서울 지역 특수학교 교사들의 지역사회중심교수 실태 및 지원요구
Other Titles
A Research on Teacher's Reality of Community-Based Instruction and Support Needs in Special School in Seoul
Authors
표효정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장애학생들의 교육 목표는 학령기를 포함하여 장애학생이 성인기에 통합된 지역사회에서 독립적이며 질적으로 살아가는 모습까지 고려하여 수립되어야 한다. 장애학생의 성공적인 전이를 위해서는 학교 교육에서도 지역사회 생활 환경에서 필요한 기능적인 생활 기술들을 교육과정에 포함해 이를 장애학생들에게 가르쳐야 한다. 생태학적 접근에 기초한 지역사회중심교수는 이러한 교육 목표를 실현하기 위해 장애학생에게 유용한 교육 실제로 제안되었으며, 장애학생들의 실질적인 교육 요구를 강조한 특수학교 교육과정의 개선 방향과 제7차 특수학교 교육과정의 목표에 부합되는 교수적 접근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 지역의 특수학교에서 실시되고 있는 지역사회중심교수의 실태(계획, 실행, 평가)와 지역사회 생활 영역의 교수 중요도에 관한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고, 지역사회중심교수 활성화를 위한 지원 요구가 교사 배경변인(교직경력, 초ㆍ중등 담당 학교급, 지역사회중심교수 관련 연수 경험 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 지역 15개의 정신지체 및 정서장애 특수학교에서 근무하는 초ㆍ중등 담임교사 240명을 대상으로 연구자가 여러 단계에 걸쳐 개발한 질문지를 사용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211부를 최종적으로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문제에 따라 빈도 분석,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두 독립표본 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전체 응답자 중 약 80%의 교사들이 2006년도 학급 교육과정 수립 시 지역사회중심교수 실시 계획을 함께 세운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사회중심교수 실시 계획을 세우지 않은 경우 가장 주된 이유는 학생들의 장애 정도가 심하기 때문이었다. 2. 지역사회중심교수 실시 계획에 참여하는 구성원은 주로 담임교사를 중심으로 한 동학년(동과정) 교사였고, 지역사회중심교수 실시 계획과 관련해 작성하는 주된 문서는 개별화교육계획서(IEP)였으며, 전체 응답자 중 약 69%의 교사들이 관련 문서를 작성하였으며, 지역사회중심교수 실시 계획과 관련된 문서에는 주로 교수 목표, 교수 장소, 이동 방법에 관한 내용이 우선순위로 포함되었다. 3. 교수 목표 선정 시 학생의 현재 능력 수준, 학생의 생활 연령, 목표 기술의 기능성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였고, 지역사회중심교수 수업은 주로 교사 자신의 교과목 수업 시간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전 응답자 중 75.8%의 교사들이 2006년도에 지역사회중심교수를 실시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사회중심교수 수업의 주당 시수는 1-2시간이 가장 많았고, 주된 교수 장소로는 실제 지역사회 환경이 많았다. 또한 주로 대중교통 수단과 도보를 이용하며, 대부분의 학생이 수업에 드는 비용 전액을 부담하였다. 5. 지역사회중심교수 수업의 주요 참여자는 담임교사를 중심으로 자원봉사자, 특수교육 보조원이었고, 학부모, 비장애 또래 학생 집단의 참여는 상대적으로 저조하였다. 지도 교사 1인당 대상 학생 수는 주로 4-6명이었으며, 사전 교실 중심 수업에서 주로 활용하는 교수 자료는 사진, 동영상, PPT 자료의 순이었다. 6. 지역사회중심교수 수업에서 주로 교수하는 활동 영역은 일반 지역사회 활용 영역이었고, 저해 요인으로는 학생 안전사고의 위험, 지원 인력 부족, 학생의 문제행동의 순으로 나타났다. 7. 56.3%의 교사들이 학생의 수행에 관해 정기적 평가ㆍ기록하고 있었으며, 주로 학생의 수행 결과를 문장식으로 기록하였다. 그러나 학생의 수행 여부를 평가ㆍ기록하지 않는다는 의견도 41.3%에 달했다. 8. 지역사회 생활 영역의 교수 중요도에 관한 인식을 살펴보면 이동하기, 위생 관리하기/화장실 사용하기 활동의 평균이 높았으며, 상대적으로 학교와 지역사회에서의 직무 활동, 다른 사람 돕고 지원하기, 용돈 관리 및 계획하기 활동의 평균은 낮게 나타났다. 9. 지역사회중심교수 활성화를 위한 지원요구는 학교장의 동의와 이해 문항의 평균이 가장 높았으며, 교직경력별로 전 문항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초ㆍ중등 담당 학교급별로 4개의 지원요구 문항에서, 지역사회중심교수 관련 연수경험별로는 5개의 지원요구 문항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전체의 약 80%의 교사들이 올해 학급 교육과정 수립 시 지역사회중심교수 계획을 수립하였고, 약 76%의 교사들이 올해 지역사회중심교수를 실시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생태학적 평가 실시, 강화 및 일반화 계획과 같은 다양한 요인을 고려하는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교육 계획의 수립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고 학생 평가도 보완이 요구되었다. 또한 지역사회중심교수의 계획과 실행 전반에 학교 관리자나 학부모의 참여가 저조하였고 지역사회 내 다양한 지원망을 활용하지 못하고 있었으며, 교사의 주도 하에 다수 집단의 장애학생들끼리 분리된 형태로 지역사회중심교수 수업에 참여하고 있었다. 진정한 성과 중심의 결과를 기대하는 지역사회중심교수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생태학적 평가에 기초한 사전교육계획을 구체적으로 세우는 것이 요구되며, 학교에서의 체계적인 사전 학습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교수의 실시 계획에서 실행, 평가 과정에 부모를 참여시키며, 부모와의 협력 하에 가정에서의 연계 지도가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특수학교 학생들의 질적인 사회 통합을 위해서는 비장애 또래 학생들을 적극적으로 참여시키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또한, 자원봉사자, 특수교육 보조원 등의 지원 인력을 대상으로 체계적이고 정기적인 사전 교육을 실시하고 협력해 나가야 한다. 더불어 학교 내의 협의를 거쳐 지역사회중심교수를 실행할 충분한 시간을 확보해야 하고, 관련 연수 참여와 같은 교사 개인의 자기연찬과 학교와 학부모 및 지역사회 구성원들의 정서적, 물리적 지원의 제공을 위해 상호 협력하는 자세가 요구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the reality of Community-Based Instruction and teachers' cognizance of importance of instruction for community living domain conducted in special school for mental retardation and emotional disturbance in Seoul. Also it was analyzed whether support needs to revitalize Community-Based-Instruction were different in accordance with background variables-teaching experience, experience in training programs of Community-Based Instruction. A questionnaire was performed to total 240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class teachers in 15 special schools for mental retardation and emotional disturbance in Seoul. Through collected information, frequency analysis, the average and the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according to issues, and one-way ANOVA, and two independent samples t-test was perform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below. 1. Almost all teachers had established teaching schedule for Community-Based Instruction, when they had been planning curriculum in 2006, and actually they practiced their schedule. Mainly they taught general community functioning domain as community living domain. However specific and organic teaching schedule for Community-Based Instruction was very poor. Moreover, class teachers, teachers in the same grade, volunteer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aides participated in the course of planning and practicing of Community-Based-Instruction, it seemed that they didn't use diverse social network. Also, teachers and a big group of students participated in Community-Based-Instruction separately and allotted time for Community-Based-Instruction was not enough. The factors that disturbed the practice of Community-Based-Instruction were some risk of safety accident, lack of volunteers, students' problem behaviors, etc. About 60% of teachers regularly evaluated students' performance, and they usually recorded with sentences. 2. As a result from researching cognizance of the importance of instruction for community living domain, important instruction selected by teachers were 'travel' from general community functioning domain, 'hygiene/toileting' from self-management/home living domain in this order. The average of importance of 'assisting and taking care of others' and 'budget and planning/scheduling' from vocational area was relatively low. 3. Support needs for revitalizing Community-Based-Instruction had no differences in accordance with a teaching experience variable,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veral items of support needs by elementary, middle, high school variables and experience in training programs of Community-Based Instruction. Consequently, it was suggested teachers to establish pre-teaching schedule based on ecological assessment to practice Community-Based Instruction effectively. Moreover, teachers need to apply organic pre-learning to students. Teacher should cooperate with parents, so that parents would be able to participate in the course of planning, practicing and evaluating of Community-Based Instruction. Furthermore, various resources like non-disabled students of that age, volunteers, special education teacher-aides, etc should be taken part in it. Even organic and regular pre-education should be operated to these people. School personnel principals and teachers-should discuss and ensure enough time for class. Teachers should affirmatively receive the training programs, and managers of schools and parents, members in community should cooperate each other.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