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46 Download: 0

생활연령에 적합한 활동 선정이 장애학생에 대한 일반학생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

Title
생활연령에 적합한 활동 선정이 장애학생에 대한 일반학생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effects of the chronological age appropriate activitles on nondisabled students' attitudes toward disabled students
Authors
홍정아
Issue Date
199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Keywords
생활연령활동 선정장애학생일반학생특수교육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정상화의 원리와 PL94-142에서 제시된 최소 제한적 환경 제공의 개념에 근거한 통합교육의 철학은 특수교육을 이끌어가는 근본 원리가 되었다. 장애학생의 성공적인 통합을 촉진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통합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밝히려는 노력들이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장애학생에 대한 일반학생의 태도는 통합 교육의 성패를 좌우하는 주요한 변인으로 간주되어 일반학생의 장애학생 수용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밝히려는 노력과 함께 장애학생에 대한 수용 태도를 증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장애학생이 참여하는 활동의 생활연령 적합성 여부와 표찰 부여 여부가 장애학생에 대한 일반학생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교사가 장애학생을 위한 활동을 선정할 때 생활연령 적합성이 활동 선정의 중요한 준거가 될 수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한 국민학교로 특수학급이 있는 학교에서 1개교, 특수학급이 없는 학교에서 1개교를 선정하였고 다시 각 학교의 6학년 학급 중 4학급, 총 8학급을 선정하여 피험 집단의 총 학생수는 278명 이었다. 대상 학생들은 설문에 응하기 전에 슬라이드 자료를 보게 되는데, 대상 학생들에게 제시되는 슬라이드 자료는 장애학생이 생활연령에 적합한 활동에 참여하는 장면과 생활연령에 부적합한 활동에 참여하는 장면을 자조/가정 생활, 여가/오락, 일반 지역사회, 기능적 학업 기술 영역에 따른 활동을 대응시켜 제작하였고 슬라이드 자료를 제시할 때에는 각 활동 장면에 따라 제시되는 학생이 장애학생임을 미리 알려주는 집단과 장애학생임을 알려주지 않는 집단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생활연령 적합성과 표찰 부여 여부에 따라 나누어진 집단은, (a)생활연령에 적합한 활동에 참여하는 자료를 제시하면서 표찰이 주어지지 않은 자료를 본 집단, (b)생활연령에 적합한 활동에 참여하는 자료를 제시하면서 표찰이 주어진 자료를 본 집단, (c)생활연령에 부적합한 활동에 참여하는 자료를 제시하면서 표찰이 주어지지 않은 자료를 본 집단, (d)생활연령에 부적합한 활동에 참여하는 자료를 제시하면서 표찰이 주어진 자료를 본 집단 등의 4집단으로 나누어진다. 검사 도구는 장애학생에 대한 일반학생의 지각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Cartledge, Frew, 와 Zaharias(1985)가 사용한 설문지를 사용하였고 활동 선호도를 알아보기 위해 활동 선호 척도를 사용하였다. 결과 검증에 사용된 통계 방법은 지각 분석을 위해 x^(2)를 사용하였고 활동 선호도 분석에서는 이원 분산 분석을 사용하였다. 이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1. 장애학생이 생활연령에 적합한 활동에 참여하는지의 여부에 따른 일반학생의 지각에서는 9문항 중 5개 문항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고 이 중 좋은 친구가 될 것 같은지, 학습 내에서 게임이나 활동에 잘 참여할 것 같은지, 운동을 잘 할 것 같은지, 공부를 잘 할 것 같은지의 4문항 반응에서 생활연령에 적합한 활동에 참여하는 자료를 본 집단의 지각이 더 긍정적이었다. 2. 장애학생이라는 표찰 부여 여부에 따른 일반학생의 지각에 있어서는 9개의 문항에서 모두 유의미란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3. 장애학생이 생활연령에 적합한 활동에 참여하는지의 여부와 표찰 부여 여부에 따른 일반학생의 지각에 있어서는 9개의 문항 중 4개의 문항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항목 중 3항목 즉, 학급내에서의 게임이나 활동에 잘 참여할 것 같은지, 운동을 잘 할 것 같은지, 공부를 잘 할 것 같은지에 대한 지각에서 생활연령에 적합한 활동에 참여하면서 표찰이 부여된 자료를 본 집단의 지각이 가장 긍정적이었고 그 다음으로 긍정적인 지각을 보인 집단은 생활연령에 적합하면서 표찰이 부여되지 않은 자료를 본 집단이었다. 그러나, 장애학생이 좋은 친구가 될 것같은지에 대한 지각은 생활연령에 적합한 활동에 참여하는 자료가 제시되면서 표찰이 부여되지 않은 자료를 본 집단이 가장 긍정적이었다. 4. 생활연령에 적합한 활동 참여 여부에 따라 일반학생의 장애학생과의 활동 선호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활동 선호도에서는 장애학생이 생활연령에 적합한 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자료를 본 집단이 생활연령에 부적합한 활동에 참여하는 자료를 본 집단보다 더 긍정적이었다. 5. 표찰 부여 여부에 따라 일반학생의 장애학생과의 활동 선호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라났다. 즉, 장애학생에 대한 활동 선호도에서 표찰이 부여된 자료를 본 집단이 표찰이 부여되지 않은 자료를 본 집단보다 더 긍정적인 태도를 나타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장애학생에 대한 일반학생의 지각에 있어서는 문항마다 상이한 결과가 제시되기는 하지만 장애학생이 참여하는 활동의 생활연령 적합성에 따른 지각 점수에서는 생활연령에 적합한 활동에 참여하는 장면을 보았을 때 더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는 경향이 있었고 표찰 부여에 따른 지각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생활연령 적합성과 표찰 부여 여부에 따른 지각을 살펴보면 슬라이드 상의 장애학생이 생활연령에 적합한 활동에 참여하고 표찰을 제시한 자료를 본 집단의 지각이 가장 긍정적이었다. 반면, 활동 선호도에서는 표찰 부여 여부와 생활 연령 적합성에서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장애학생이 참여한 활동이 생활연령에 적합했을 때와 장애학생이라는 표찰이 부여 되었을 때 더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표찰 부여의 효과는 지각과 활동 선호도에서 상이한 양상을 보였지만 생활연령 적합성 여부는 지각과 활동 선호도의 두 측면에 동일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것은 장애학생이 참여하는 활동의 생활연령 적합성 여부가 일반학생이 갖는 장애학생에 대한 태도 형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Recently choice of the consumers' goods is changing emotion into ration, and tends to need "emotional design having the expected or the original. Necktie, come from cravats appeared in france in the middle of 17 century have been the only point of formal suits as well as base of them. This report gives you many things about tie : its origin and the process of developments and its meaning or role in men's clothing, which helps us find the possibility of hand-drawing necktie. Throughout the questionnaire I looked into the consumers' preference and then researched the preference of pattern and color by the way of random sample test. In comparison with these two results I intended to investigate about the possibility of development of the necktie design in the future.Generally use of most of material and development of pattern were recognized as the important part since it was almost nothing about change of silhouette of necktie. So I examined its tendency using the method that I collected and analyzed various patterns of necktie and then, was to present the original patterns in my own. With producing the goods using of several technique, and evaluating them in the aspect of qualities, I suggested the way we should be proceed. When I designed the products, a point of my job was not object for appreciation and decoration excluding life functions but necktie for the complete practical prepose in our life. On working this project I put emphasis on valueeinuse rather than valueinexbition and emphasis on the mental satisfaction at same time. Considering that practicability and industrialization were applied to applied, in the process of creating image, I intended to produce to new versional effect by computer graphics. Today the consumers' desires are varying and deepening. Therefore it Is more and more difficult to predict the consumers' conducts. It is desirous that hand-drawing necktie should study by one way of new mould pursuit for corresponding with a rapid change of consumption patter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