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3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은정-
dc.creator김은정-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04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04Z-
dc.date.issued200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064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325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0643-
dc.description☞ 이 논문은 저자가 원문공개에 동의하지 않은 논문으로, 도서관 내에서만 열람이 가능하며, 인쇄 및 저장은 불가합니다.-
dc.description.abstract오늘날 사회 구조의 변화와 함께 결손 가정이 많이 증가하고 있으며 결손가정 자녀의 증가 또한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결손가정 자녀들은 정서적, 심리적 문제를 가지게 되며 이러한 문제들을 다루는 연구가 사회복지, 심리치료, 미술 치료 등의 분야에서 진행되고 있으나 이들 연구는 문제의 원인을 조사하거나 집단 상담 등을 통한 활동 등에 국한되어 있는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들에게 영향력 있는 노래(대중가요)를 사용한 노래 만들기 기법 중심의 활동을 통해 결손가정 청소년들의 정서 문제 중의 하나인 자기표현에 어떠한 변화가 있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경기도 고양시 소재 N 중학교 1학년 결손가정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자기표현 검사를 실시한 후, 점수가 낮은 학생들을 개별 면담하여 음악치료에 자발적으로 참여하고자 하는 남학생 2명, 여학생 2명의 총 4명을 대상으로 N중학교 음악실에서 총 16회기의 음악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음악치료 활동에서 사용한 노래 만들기 프로그램은 청소년들이 선호하는 대중가요를 사용하여 노랫말 채우기(fill-in-the-Blank), 개사하기, 노래 변주하기(song variation), 랩 만들기, 작사하기, 멜로디 만들기, 내레이션․ 기악을 통한 즉흥 노래 만들기 등의 방법을 활용한 3단계의 구조화된 음악치료 접근을 하였다. 활동 안에서 자기표현의 향상을 위한 주제는 치료사가 제시 하였고, 그 외 프로그램의 진행은 그룹원들이 자발적으로 자유롭게 이끌어 가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사전, 사후 검사와 같은 양적인 자료 이외에도 음악적 활동 내에서 보인 언어적, 비언어적, 음악적 자기표현의 변화를 보고자 하였으며 이는 연구자를 포함한 음악치료 전공자 3명이 비디오 분석을 하여 연구 자료를 산출하였다. 또한 음악치료 활동이 끝난 4주 후에는 유지 검사를 실시하여, 음악치료 활동을 통해 변화된 자기표현 척도 점수에 어떠한 변화가 있었는지도 살펴보았다. 연구의 결과는 크게 척도 검사 결과와 자기표현의 결과로 나뉘는데, 척도 결과에서는 각 사례마다 다소 차이는 있지만, 4명의 사례 모두 자기표현 척도의 점수가 증가되었다. 또한 자기표현에 대한 언어적, 비언어적, 음악적 자기표현의 사례별 분석 결과도 긍정적으로 유의미하게 변화하였다. 또한 음악치료 활동이 끝난 4주 후에 유지 검사를 실시한 결과, 4명의 사례 중 3명은 자기표현 척도 점수가 향상되었고, 1명은 유지가 되고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노래 만들기 기법이 결손가정 청소년에게 자신의 감정과 생각들을 표현하고 정리하며 통찰 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임을 증명하였으며, 이 결과를 토대로 자기표현을 위한 효과적인 음악치료 방법으로서의 노래 만들기 기법의 가능성을 제시하는데 그 의의가 있겠다.;These days, with the increase of the number of broken families due to the change of social structure, children in these families are increasingly attracting the attention of the society. Though researchers in sectors of social welfare, psychotherapy and art therapy are now giving studies on this issue, their boundaries are only limited to the cause of the problem or activities based on group counsel in reality. In this study, therefore, a method called "therapeutic song writing" was used to see if it could bring an improvement to the ability of those children's self-expression. The method used popular songs as its main source for a better approach to the teenagers. A test on the ability of self-expression was given to applicable students in the first year of N middle school in Go-yang, Gyung-gi, and total 4 students, 2 boys and 2 girls, volunteered to participate in the musical therapy in a following individual interview. Total 16 times of the mentioned program were given to them. The approach was made with a 3-level structured program, which included activities of filling in the blanks, changing and writing lyrics, playing variations, making raps and improvisations with narrations and instrument, and popular songs preferred by teenagers were mainly used for a better result. Only simple introduction of the theme of each program was given to the participants by a therapist, and the whole program was actively processed by the participants in a liberal atmosphere. Along with quantitative data such as preliminary and follow-up tests, this study focused on observing their linguistic, non-linguistic and musical expressions shown in those musical activities, and the result was came out by a thorough video analysis with the participation of 4 specialists in musical therapy including the author. The result of the test can be provided in standard test result and self-expression result. In the standard test, though each showed a slight of individual difference, the participants achieved better scores, and showed positive tendencies of change in their linguistic, non-linguistic and musical self-expression. And, according to a follow-up test on the level of maintenance performed after 4 weeks, 3 of them marked higher scores in the standard test on self-expression and the other one maintained the original score Therefore, this study verified that this "Therapeutic song writing" method is effective for the concerned teenagers to express, arrange and discern their emotions and thoughts, and with this result, the performed program can be said to be an applicable method for an effective musical therap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5 C. 용어의 정의 5 Ⅱ. 이론적 배경 7 A. 결손 가정의 청소년 7 1. 결손 가정의 개념 7 2. 결손 가정 청소년의 특성 7 B. 자기표현 10 1. 자기표현의 개념과 필요성 10 2. 결손 가정 청소년의 자기표현 13 3. 자기표현 선행연구 15 4. 자기표현과 음악치료 18 C. 노래 만들기 22 1. 노래 만들기의 개념 22 2. 노래 만들기의 종류 22 3. 노래 만들기의 치료적 효과 25 Ⅲ. 연구 방법 28 A. 연구대상 28 B. 연구설계 31 C. 연구절차 31 D. 연구 데이터 분석 31 E. 프로그램 목표 및 구성 34 Ⅳ. 연구 결과 40 A. 척도 검사 40 B. 사례별 분석 44 1. 언어적 자기표현 44 2. 사례집단의 비언어적 자기표현 58 3. 사례집단의 음악적 자기표현 74 4. 자기표현 유지검사 결과 79 Ⅴ. 결론 및 제언 80 A. 결론 80 B.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82 참고 문헌 84 Abstract 92 부록 9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3568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결손가정청소년의 자기표현을 위한 노래만들기(Therapeutic song writing)활동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RESEARCH ON THERAPEUTIC SONG WRITING ACTIVITIES FOR THE IMPROVEMENT OF SELF-EXPRESSION AMONG TEENAGERS IN BROKEN FAMILIES-
dc.creator.othernameKim, Eun Jeong-
dc.format.pagevi, 9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치료교육전공-
dc.date.awarded2007.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