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3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최성주-
dc.creator최성주-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04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04Z-
dc.date.issued200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059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325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0591-
dc.description☞ 이 논문은 저자가 원문공개에 동의하지 않은 논문으로, 도서관 내에서만 열람이 가능하며, 인쇄 및 저장은 불가합니다.-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노력성 호흡 훈련 중심의 리코더 연주하기 활동이 뇌졸중 환자의 노력성 폐활량과 호흡 효율성 향상에 효과가 있는지 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뇌졸중 환자에게 있어 노력성 폐활량과 호흡 효율성의 향상은 호흡 기능을 담당하는 체간 근력의 향상을 의미하는데, 체간 근력의 향상은 뇌졸중의 후유 장애인 자세, 보행, 호흡, 언어 장애에 개선효과를 가져오게 되므로 매우 중요한 가치를 가진다. 체간 근력은 생리학적인 운동이나 노력성 호흡 운동을 통해 강화시킬 수 있는데, 신체적 후유 장애를 갖고 있는 뇌졸중 환자에게 있어 노력성 호흡 운동은 매우 안전하고 유용한 방법이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노력성 호흡 운동이 절대적으로 이루어지는 리코더 연주하기 활동을 실시한 후, 이 활동이 뇌졸중 환자의 노력성 폐활량과 호흡 효율성 향상에 효과가 있는지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시 신당구에 소재한 E 노인복지회관의 시설을 이용하는 뇌졸중 환자 중, K-MMSE의 진단 결과가 18점(경도의 인지기능장애) 이상이고, 호흡 훈련과 관련 된 다른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지 않은 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는 2006년 4월 06일부터 2006년 5월 19일까지 6주간에 걸쳐 매주 평균 3회, 각 50분 세션으로 총 19회에 걸쳐 실시하였고, 연구의 사전/사후에 폐 기능 측정도구인 이동성 폐활량 측정기(Spirovit SP-1, Schiller)를 이용하여 노력성 폐활량(FVC)과 호흡 효율성을 측정하였다. 호흡 효율성은 1초간 노력성 호기량(FEV1)을 측정한 후, 1초간 노력성 호기량의 노력성 폐활량에 대한 비(FEV1/FVC)를 통하여 측정하였다. 측정된 결과는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한 후 통계적 검토를 수행하였다. 모든 통계처리는 SPSS Package를 사용하였다.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노력성 호흡 훈련을 중심으로 한 리코더 연주하기 활동은 첫째, 뇌졸중 환자의 노력성 폐활량(FVC)을 35% 증가시켰고 둘째, 1초간 노력성 호기량(FEV1)을 40% 증가시켰으며 셋째, 1초간 노력성 호기량의 노력성 폐활량에 대한 비(FEV1/FVC)를 13% 증가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였을 때, 본 연구 프로그램에서 사용한 노력성 호흡 운동 중심의 리코더 연주하기 활동은 뇌졸중 환자의 노력성 폐활량과 호흡 효율성을 향상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뇌졸중 환자의 호흡 능력 향상을 위한 방법으로 본 연구의 노력성 호흡 운동 중심의 리코더 연주하기 활동은 치료적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Breath & Forced Vital Capacity(FVC) of Stroke Patients Using Record Playing Focused on Breath Training. The Traing of Forced Vital Capacity(FVC) is focused on trunk muscles reinforce for Breathing. So the study tried to play Recorder for reinforcing FVC. The play included the two parts. One was for solo play, the other was play in concert base on solo play using Korea country song, Arirang. The Recorder play used abdominal breath, Pursed-lip & Paced methods. The course of play included Long Tone, Staccato, Crescendo, Decrescendo and throughout the course we tried to improve the efficiency & Quantity of breathe. Experiment performed at Social welfare institute for the old. They played & checked FVC, FEV1, FEV1/FVC before & after breathe 19 times for 6 weeks using Spirovit SP-1, Schiller. After experiment we performed statical process(p<0.05) using statical Package software.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Analysis for Experiment showed the numerical Value of increasing Of FVC, FEV1, FEV1/FVC. Increasing Percentage of Measured/Predicted FVC, FEV1 (or calculated based on theory) ration was 25%, 13% and Quantity of FVC, FEV1 35%, 40%. Also FEV1/FVC Ratio(showed efficiency of breathe) raised 13%. And experiment data was confirmed by statical process. The experiment data was valuable under p<0.05. In Conclusion we think the results of experiment showed the efficiency of Music therapy for Breathe(FVC, FEV1, FEV1/FVC) reinforc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viii 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4 Ⅱ. 이론적 배경 5 A. 뇌졸중 5 1. 뇌졸중의 정의 5 2. 뇌졸중의 발생률과 요인 5 3. 뇌졸중의 분류 7 4. 뇌졸중의 예후와 후유장애 8 5. 뇌졸중 환자의 체간 근육과 노력성 호흡 운동의 관계 11 B. 호흡 13 1. 호흡의 원리 13 2. 호흡 기관 14 3. 호흡의 종류 18 4. 호흡 조절 기법 19 C. 호흡과 리코더 21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23 A. 연구 대상 23 B. 연구 절차 26 1. 연구 기간 및 방법 26 2. 리코더 연주를 통한 음악치료 프로그램의 구성 및 내용 26 C. 측정 도구 및 방법 38 1. 측정 도구 38 2. 측정 방법 38 3. 자료 처리 방법 38 Ⅳ. 연구 결과 39 A. 실험 결과 39 1. 노력성 폐활량 39 2. 1초간 노력성 호기량 42 3. 1초간 노력성 호기량의 노력성 폐활량에 대한 비 44 B. 실험 결과 분석 46 1. 노력성 폐활량 46 2. 1초간 노력성 호기량 49 3. 1초간 노력성 호기량의 노력성 폐활량에 대한 비 52 4. 실험 결과 55 Ⅴ. 결론 및 논의 57 참고문헌 59 부록 64 ABSTRACT 6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3865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리코더 연주를 통한 뇌졸중 노력성 폐활량과 호흡 효율성 향상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Recorder Playing for Breath Capacity Improvement of Stroke Patient-
dc.creator.othernameChoi, Sung Joo-
dc.format.pageⅷ, 6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치료교육전공-
dc.date.awarded2007.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