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53 Download: 0

초등학교 1학년 국어 읽기 교과서 일러스트레이션의 시각 언어(Visual Literacy) 기능 평가

Title
초등학교 1학년 국어 읽기 교과서 일러스트레이션의 시각 언어(Visual Literacy) 기능 평가
Other Titles
The Evaluation of the Function of Visual Literacy in Illustrations in Korean 'Reading' Textbooks in the 1st Grade of Elementary School
Authors
이현영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오늘날 텔레비전, 광고, 영화, 컴퓨터 등의 다양한 매스미디어들은 우리의 삶 속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텔레비전이나 컴퓨터의 영향 안에서 자라나는 요즈음의 아동은 자기 스스로의 사고가 요구되어지는 문학으로부터 멀어지고, 짧은 시간에 즐거움을 해석할 수 있는 것을 찾는 경향이 있다(최종란, 1998). 이러한 경향은 미디어의 변화에 의해 문자를 읽는 것에서부터 문자와 그림을 읽는 것으로 자연스럽게 이동해 왔고, 이러한 과정에서 그림이 하나의 의사소통 수단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그 속에서 시각 언어(Visual literacy)라는 개념이 생겨나게 되었다. 이러한 시각 언어가 아동의 발달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이 여러 연구들을 통해 뒷받침 되고 있으며, 이러한 측면에서 아동이 보는 도서에 있어서 시각 언어적 기능을 활용하려는 움직임이 필요성을 갖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학교 교육 현장에서 아동들이 가장 많이 접하는 교재인 교과서에 실리는 일러스트레이션의 시각 언어적 기능에 관한 연구로서, 현재 초등학교 1학년 국어 읽기 교과서의 일러스트레이션이 시각 언어적 기능을 고려하여 제시하고 있는지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는 시각 언어의 긍정적인 영향을 받는 초등학교 1학년의 국어 읽기 교과서 일러스트레이션에서 시각 언어적 기능을 평가하고자, 시각 언어적 기능이 중시되는 국어 교과서 문학 영역 중에서 그림책과 형식, 목표의 유사성이 있는 2개의 단원을 선정하였다. 일러스트레이션의 시각 언어 기능을 측정하기 위한 조사도구는 그림책 일러스트레이션에 관한 연구를 바탕으로 좋은 그림책 일러스트레이션의 평가 기준과 그림책 수상 선정 기준들 중에서 시각 언어적 기능과 교육적 목표를 고려하여 제작되었으며, 설명적 기능(언어발달 기능, 지적발달 기능)과 정서적 기능(정서적 발달 기능, 상상력 발달 기능, 미적 발달 기능)의 하위영역으로 구성된 총 14문항으로 Likert 5점 척도로 측정되었다. 본 연구에서 교과서 일러스트레이션에 관한 분석은 교사 62명(인천소재 S초등학교 교사 40명과 서울소재 I초등학교 교사 22명)과 현재 활동 중인 그림책 일러스트레이터 42명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점수 측정 후, 수집된 자료의 분석으로는 기술통계분석, 빈도분석 그리고 t-test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 집단이 측정한 교과서 일러스트레이션의 시각 언어적 기능은 전체 평균은 은 3.53(SD=.42), 3.53(SD=.55)로 선정된 두 단원 모두 보통 이상의 긍정적인 점수로 평가되었으며, 이러한 평가는 선정된 교과서 일러스트레이션으로 수업을 한 여부와 교사의 세부 전공이 미술인 여부와는 결과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러스트레이터 집단이 측정한 교과서 일러스트레이션의 시각 언어적 기능은 전체 평균이 2.45(SD=.29), 2.59(SD=.35)인 보통 이하의 점수로 전체적으로 부정적인 평가 결과를 보였다. 셋째, 두 집단간에 교과서 일러스트레이션의 시각 언어적 기능에 대한 평가의 차이는 t=15.023(P<.001), t=9.777(P<.001)로 두 단원에서 모두 크게 나타났지만, 두 집단 모두 상상력 발달 부분이 가장 낮게 평가되는 등, 집단 안의 각 영역별 평가의 순위에서 유사성을 찾아볼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현 초등학교 1학년 국어 읽기 교과서 일러스트레이션의 시각 언어 기능과 관련하여 상상력 발달 부분을 중심으로 개선되어야 함을 제안할 수 있으며, 교사의 평가에서는 긍정적이었으나, 일러스트레이터의 평가는 부정적이었음을 고려하여, 여러 전문가들에 의한 심도 있는 평가도 요구된다. 특히 두 집단의 평가의 차이는 교과서 제작과 평가에 필요한 전문가 선정에서 여러 집단의 평가와 더불어 집단간의 평가의 차이를 분석하는 과정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Nowadays, mass media, such as television, commercials, films, computers, and so on, have excessively occupied our life. Children in today have been far away from literature, which are needed thinking power to understand it, since they have been growing up under the influencing power of televisions and computers. In this reason, they tend to find pleasure in a short time. This trend has been progressed naturally from reading letters to reading letters and even pictures by the changes of media. From this progress, pictures have been used as a mean of communication, consequently, the concept 'Visual Literacy' was created. Then through many studies, the positive influence of Visual Literacy on children's development was supported, and in this point, it is necessary to practice making use of the function of Visual Literacy in children's books.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discover whether illustrations in Korean 'Reading' textbooks in the 1st grade of Elementary School presented the function of Visual Literacy, as it is about a study for Visual Literacy of illustration in textbooks that children would usually read. This study selected 2 units of which the structure and the goals were similar to those of picture books, from the field of literature in Korean textbooks, which were focused on the Visual Literacy, to evaluate the function of Visual Literacy from illustrations in Korean 'Reading' textbooks in the 1st grade in Elementary School, who are influenced positively in the perspective of Visual Literacy. In order to measure the function of Visual Literacy from illustrations, a instrument for this study was devised with considering the function of Visual Literacy and educational goals from the valuation bases and the selection bases of illustrations based on the study on illustrations in picture books. It was constructed by subordinations, which were explanatory functions(the function of linguistic development, the function of intellectual development), emotional functions(the function of emotional development, the function of imaginative development, the function of aesthetic development). Then it had 14 questions measured by Likert 5 points. In this study, the analysis of textbooks illustrations were performed by 62 teachers(40 teachers from S Elementary School in Inchoen and 22 teachers from I Elementary School in Seoul) and 42 illustrators who are currently working as the illustrators for picture books. After scoring, for analyzing collected data, descriptives, frequencies and t-test were used. The summary of this study is as below. First, for the selected two units, the average of the function of Visual Literacy, which was evaluated by teachers, were 3.53(SD=.42), 3.53(SD=.55), and the scores were considered to be a positive result. Also the result showed us that it didn't matter whether they had classes with the illustrations from selected units, and whether their major was art. Second, illustrators gave them very lower average scores, and the scores of each unit were 2.45(SD=.29), 2.59(SD=.35) that were below the average and turned out amiss. Third, the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appeared as t=15.023(P<.001), t=9.777(P<.001), which showed us a very big difference. However as two groups gave the item of imaginative the lowest scores, there was a similarity in the raking of items by spheres.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function of Visual Literacy in the illustrations in Korean 'Reading' textbooks in the 1st grade of Elementary School should be improved, especially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imaginative. Moreover as illustrators' scores were very disappointing, even teachers' were not, it is necessary for textbooks to be evaluate by specialists for in-depth concerns. Also this study implied the necessities of various evaluations by various groups, and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by group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