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21 Download: 0

웹기반 영어 웹페이지 출판 프로젝트 활동이 대학교 학습자의 영어 쓰기에 미치는 영향

Title
웹기반 영어 웹페이지 출판 프로젝트 활동이 대학교 학습자의 영어 쓰기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A Study of the Effects of English Webpage Publishing Project on Korean College Students' English Writing
Authors
박태정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In the information society of the 21st century, education has been changed from the form of instructing knowledge into that of self-discovery through which students think and create something by themselves. One of the teaching-learning methods to promote students' creative thinking can be web-based learning based on constructivism. Before the web became possible to be used, there had existed student-centered project-based learning under the paradigm of the constructivist learning perspective, which is now utilized as project-oriented second language(L2) learning in conjunction with the prevailing task-based, content-based instruction in L2 teaching-learning. Integrating web-based learning and project-based learning, Project-Oriented Computer Assisted Language Learning(PrOCALL) has been employed in many places around the world. A number of recent studies on PrOCALL suggest that the web-based project induces students to have a positive attitude and response in L2 learning. However, there is little research on how the webpage authoring and publishing task as a web-based project influences students' L2 writing, although a few recent works in the area of PrOCALL have explored the role of L2 writing. One area that remains underexplored, therefore, is research on the web-based language project focusing largely on L2 writing. Accordingly, in this case study, English webpage authoring and publishing project was conducted in a Korean EFL environment. Web-based English project learning which combines web-based learning with project-based learning under the constructivism perspective has been acknowledged to actualize student-centered, self-directed, active, and practical learning, and raise students' autonomy, creativity, responsibility, individualization, and collaboration. That is to say, research in the area of PrOCALL suggests that it may be directly or indirectly beneficial for various aspects of pedagogy in terms of autonomy, responsibility, and collaboration. Specifically the English webpage authoring and publishing project has students write texts with reader in mind to upload on the web, which leads to an increase in their English writing opportunities. The product of this multimedia authoring and publishing on the web represents a type of writing for web publication to a broad public audience. In this point it is different from that of a traditional writing class of which the reader is only a teacher. Students can have access to continuing correction and updates even after publishing non-linear texts on the web. Such a project helps students develop their own computer and internet operation ability because they use the computer and internet for practical purposes of learning English. Namely, the web-based English project provides students with authentic English learning environment because it gives students access to fresh information and allows them to communicate with other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a publishing web-based English webpage authoring publishing project on college students' English learning. In this study, through carrying out an individual and small-group web-based English project of English webpage authoring and publishing, the students' participation process and the final product for the project were analyzed to find out the changes in their English and web-design skills, attitudes towards English writing and response to the project. Fifteen freshman students majoring in English Education at a Korean university took part in the project. Although none of them had ever participated in any PrOCALL projects and online language learning before, most of them had their own mini-homepage on the web and use computer and internet for 1-2 hours a day. Through the classes, the students were trained to operate a web editing program in a computer lab. The students carried out both an individual web-based English webpage authoring and publishing project and a small-group one. The project consisted of the three stages of the preparation and planning, implementation, web publishing and evaluation with one or two main tasks in each stage. For the individual project, the students authored and then published their own webpage on self introduction, whereas for the small-group project the students were divided into five groups of three according to their preferences and authored and published their group webpage on a topic of interest. In relation to the process of writing texts to upload on the webpage, for the individual project the students redrafted their first writing on paper by word processing and completed the writing for an individual webpage by revising it again, referring to a self-correction checklist. In the meanwhile, for the small group project, the students typed texts or attached English text files on the web-based bulletin board and completed the writing for a group webpage by giving, receiving and responding peer feedback, using a peer feedback checklist. From the analysis of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spects of learners' production, learners' participation patterns of project and learners' responses to questionnaire, the main results of the experiment are as follows: First, compared to the product of the individual webpage, the product of the small group webpage obtained higher evaluation scores in both English and web-design. In details, English content, reader awareness, fluency, web-design organization and creativity of the small-group webpages show relatively high increase in comparison with those of individual webpage while there is little difference in English grammar and mechanics between them. Second, students' participation process of the individual and small-group projects shows how they completed the texts for the webpage. In the early stage of both projects, students paid attention to English content and organization but gradually they made a lot of corrections on the form of language such as grammar, vocabulary, spelling, punctuation, etc. The results of the case studies on individual and small-group projects indicate that the students more actively carried out a project of their own preferred participant size project such as an individual or small-group one. Third, as the result of the surveys researching the effects of learning attitudes in writing, except for motivation and learning desire, all of the affective aspects concerning interest, strategies, collaborative learning, anxiety, basic ability to write, attitudes to writing on the computer and internet were advanced positively. Fourth, the students' responses to the in-depth questionnaire following the experiment show that the web-based English project was helpful for their writing. Moreover, they answered that they would be willing to participate in a new web-based English project again. Most of the students considered the project beneficial to improving their language and technical skills although they felt it difficult to handle both language use and web-designing techniques for the project. In summary,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web-based English webpage publishing project has highly positive effects on Korean university students' English writing. In the area of language learning, the web-based language project can be seen as a holistic learning approach aiming at employing modern technology to trigger students' ability to write in the target language and create social realities in and out of the classroom and thus to facilitate language learning. A sense of audience/reader can provide a significant boost to think reflectively and write in the webpage publishing project. If the web-based English webpage publishing project is integrated into touching other areas such as reading, speaking and listening in an EFL environment, it will be able to make major contributions to increase students' language learning opportunities.;21세기 지식정보화 사회에서 교육은 일방적 지식 전수의 형태에서 학습자 스스로 사고하고 창조하는 자기 발견적 형태로 바뀌고 있다. 이러한 창의적 사고를 향상시킬 수 있는 교수-학습방법으로 구성주의에 기초를 두는 웹기반 학습을 들 수 있다. 웹이 있기 전부터 구성주의에 근간을 둔 교수-학습 중요 형태로 학습자 중심의 프로젝트 기반 학습은 최근 과업중심, 내용중심 교수법이 유행하면서 외국어를 가르치는 데에도 적극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웹기반 학습과 프로젝트 기반 학습의 결합형태인 웹기반 프로젝트가 최근 언어학습에 있어 프로젝트 기반 컴퓨터 보조 언어학습(Project-Oriented Computer Assisted Language Learning: PrOCALL)의 형태로 전 세계적으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PrOCALL 프로젝트에 대한 많은 연구들은 제 2 언어학습에 있어 학습자들의 긍정적인 태도와 반응을 이끌어 낸다는 점을 발견하였으나 웹기반 프로젝트로서 웹페이지 제작 및 출판 과업이 학생들의 제 2언어 글쓰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의 EFL(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상황에서 PrOCALL을 영어 학습에 초점을 맞춘 웹기반 영어 프로젝트 학습 형태의 하나로 “영어 웹페이지 제작 및 출판 프로젝트”를 실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웹기반 영어 프로젝트 학습은 영어 학습에 구성주의를 토대로 하는 웹기반 학습과 프로젝트기반 학습을 접목시킨 것으로서 학습자 중심의 자기주도적, 능동적, 실제적 학습을 구현하고 그들의 자율성, 창의성, 책임성, 개별성, 협동성 등을 길러준다고 인정받고 있다. 특히 영어 웹페이지 출판 프로젝트는 학생들로 하여금 영어 화자 뿐 아니라 전 세계 독자를 염두하고 영어로 웹에 올릴 글을 쓰게끔 하므로 영어 쓰기 능력 향상에 도움을 준다. 전 세계 독자를 가지게 되는 이러한 멀티미디어 출판의 결과물은 교사가 유일한 독자인 전통적 수업의 쓰기 결과물과는 달리 웹에 올릴 비선형적(non-linear) 글을 작성함과 동시에 출판 후에도 접근 가능하여 계속적인 수정과 업데이트가 가능하다. 이러한 웹기반 영어 프로젝트는 또한 학생들이 영어 학습이라는 실제적 목적을 위해 컴퓨터와 인터넷을 이용하기 때문에 그들의 컴퓨터․인터넷 활용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을 준다. 즉 웹기반 영어 프로젝트는 학습자들에게 실제적(authentic) 영어학습 환경을 제공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교 영어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웹기반 영어 웹페이지 출판 프로젝트의 효과를 알아보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웹페이지 출판의 웹기반 영어 프로젝트를 개인별․그룹별로 실시하여 프로젝트 참여과정과 프로젝트 결과물에 대해 분석을 통해 학습자들의 영문텍스트(내용, 독자인식, 유창성, 문법, 기술)과 웹디자인(구성, 참신성) 측면에서의 변화사항, 영어 쓰기 학습에 대한 태도 및 웹기반 영어 프로젝트에 대한 반응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생 15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개인별 및 그룹별 영어 웹페이지 제작 및 출판 프로젝트를 수행하였다. 개인별․그룹별 프로젝트 활동은 1단계 준비 및 계획, 2단계 실행, 3단계 웹출판 및 평가로 진행되었다. 개인별 프로젝트에서는 학습자들이 개인 각각의 웹페이지를 제작․출판하였고 그룹별 프로젝트에서는 3인 1조를 구성한 다음 그룹별 주제를 정하고 그룹 공동의 웹페이지를 제작․출판하였다. 웹페이지에 올릴 영문텍스트를 작성하는 과정에 있어서, 개인별 프로젝트에서는 학생들이 자가수정 체크리스트를 이용하여 지필 초고의 영문텍스트를 자가 수정하여 워드문서 재고 및 최종 HTML문서를 작성하였다. 반면, 그룹별 프로젝트에서는 조원들이 웹게시판에 글을 올리고 동료 피드백 체크리스트를 이용하여 동료 피드백을 주고받으며 수정을 거쳐 최종 HTML문서로 완성하였다. 본 연구자는 학습자들의 프로젝트 참여과정과 프로젝트 결과물의 영문텍스트를 분석하고 실험 이전․이후 동일 설문지를 통해 웹기반 영어 프로젝트 활동이 학습자들의 영어 쓰기 학습에 대한 태도에 각각 어떠한 변화를 일으켰는지 알아보았다. 그리고 실험 이후 실시한 심층 설문 결과를 토대로 웹기반 영어 프로젝트에 대한 학습자의 반응을 분석하였다. 이에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웹기반 영어 프로젝트 결과물 평가에 있어 그룹별 웹페이지의 평가점수가 개인별 웹페이지 평균 평가점수보다 영문텍스트와 웹디자인 측면에서 모두 더 높게 나타났다. 특히, 그룹별 웹페이지는 동료간의 더 활발하고 다양한 아이디어 생성, 연결 및 구조화를 통해 영문텍스트의 내용, 독자 인식 및 유창성과 웹디자인의 구성 및 참신성 측면에서 개인별 웹페이지보다 더 높은 점수를 획득하였다. 반면, 영문텍스트의 문법과 기술 영역에 대한 그룹별 평가점수의 경우는 개인별 평가점수에 비해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개인별․그룹별 프로젝트 활동은 1단계 준비․계획, 2단계 실행, 3단계 웹출판․평가로 진행되었다. 개인별 프로젝트 수행시 개인 웹페이지에 올릴 영문텍스트의 완성과정을 살펴보면, 초기 프로젝트 실행단계에서는 내용과 구성에 대한 수정이 많이 행해졌으나 점차적으로 언어 형태 즉, 문법, 어휘, 철자, 구두점 등에 있어 더 많은 수정이 이루어졌다. 이러한 점은 초고, 재고 및 완성본 영문텍스트의 비교 및 분석을 통해 도출된 초고에서 재고로의 수정과정에서 더 큰 폭의 유창성 향상과 재고에서 완성본으로의 수정과정에서 큰 폭의 정확성 향상의 결과와 일맥상통한다. 이러한 개인별 프로젝트와 유사하게 그룹별 프로젝트 수행시 그룹 웹페이지에 올릴 영문텍스트에 대한 변화사항에서도 초기에는 내용 첨가를 통한 내용에 대한 수정이 주를 이루었으나 점차적으로 언어 형태에 대한 수정이 증가하였다. 이와 더불어 개인의 선호도에 따라 각자 더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프로젝트 활동 집단 크기의 유형(즉, 개인별 또는 그룹별)이 다르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셋째, 웹기반 영어 프로젝트 전․후 학습자들의 영어 쓰기 학습에 대한 태도 변화를 설문 조사로 분석한 결과 동기와 학습의욕을 제외한 모든 영역 즉, 흥미, 전략, 협동학습, 불안감, 영어 기초 쓰기 능력, 컴퓨터․인터넷 활용 영어 쓰기 태도에 있어 유의미한 결과를 낳았다. 동기와 학습의욕은 본 연구대상이 영어교육학과 대학생들로써 실험 이전부터 매우 높았기 때문에 유의미한 향상을 보이지 않았다. 넷째, 모든 학생들은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웹기반 영어 프로젝트 활동이 자신의 영어 쓰기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었다고 느끼며 웹기반 영어 프로젝트 활동을 할 기회가 다시 주어진다면 참여하고 싶다는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그리고 대부분의 학생들은 웹기반 영어 프로젝트 활동에서 영문텍스트 작성과 홈페이지 제작을 동시에 해야 한다는 점을 단점으로 여기고 어렵다고 느끼면서도 이러한 웹기반 영어 프로젝트 활동이 영문텍스트 작성과 웹페이지 제작 기술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어 유익하였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으로 본 연구는 웹기반 영어 프로젝트 활동이 한국 대학교 학습자들의 영문텍스트 작성(영어 쓰기)과 웹디자인 기술 향상에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학습자들의 영어 쓰기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앞으로 영어 교육 현장에 있는 교사들이 온․오프라인, 수업 내․외 등의 다양한 접근 방식으로 웹기반 영어 웹페이지 출판 프로젝트 뿐만 아니라 좀 더 다양한 웹기반 영어 프로젝트 형태를 개발하여 그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가 행해져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