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30 Download: 0

소그룹저널쓰기가 영어 학습자의 쓰기능력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Title
소그룹저널쓰기가 영어 학습자의 쓰기능력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Group Journal Writing on Korean Students' Writing Ability and Affective Aspects
Authors
명진효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중학교 영어교육은 일상생활에 필요한 영어를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는 기본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는데 그 목표를 두고 있다. 우리나라의 교육현실로 볼 때 언어의 네 가지 기능인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중에서 쓰기영역을 위한 지도가 다른 세 가지 영역에 비해 교육적 관심이 적었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최근 쓰기 교육의 중요성은 점차 강조되고 있고 효과적인 쓰기지도에 관한 연구도 다양하게 이뤄지고 있다. 학습자와 교사가 문자로 대화를 나누는 대화식저널쓰기는 ESL상황에서 하나의 독립적 쓰기지도 모형으로 사용되고 있고 우리나라와 같은 EFL상황에서도 효과적인 쓰기지도를 위한 도구로 입증되고 있다. 대화식저널쓰기가 쓰기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에도 불구하고 교사 1인당 학생수가 많은 우리나라 교육현실에서 한 교사가 모든 학생들의 저널에 답글을 적어준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운 일이다. 저널쓰기와 관련된 연구들에서도 교사와 함께 쓰는 대화식저널쓰기 적용의 한계점으로 많은 학생의 글에 대하여 교사가 주는 피드백의 부담감을 지적하였다. 이에 교사와 함께 쓰는 저널쓰기를 대신하여, 소그룹을 구성한 뒤 그룹의 구성원인 동료와 함께 쓰는 소그룹저널쓰기 모형에 대해 연구함으로써 대화식저널쓰기의 장점을 살리면서 우리나라의 교육현실에 맞는 대화식저널쓰기 방법 및 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남자중학교 3학년 3개 학급 105명을 대상으로 교사가 답글을 써주는 개인저널쓰기와 그룹의 동료들과 함께 쓰는 소그룹저널쓰기를 12주간 10회 실시하였다. 개인저널집단을 통제집단으로, 소그룹저널집단을 실험집단으로 설정한 후, 사전 쓰기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실험집단을 쓰기능력이 다른 이질소그룹과 쓰기능력이 비슷한 동질소그룹으로 나누었다. 또한 각각의 개인 및 이질ㆍ동질소그룹저널집단을 사전쓰기 점수를 바탕으로 상ㆍ하위 수준으로 나누었다. 학습자의 쓰기능력 향상도는 내용, 조직, 어휘, 언어사용, 기계적 측면으로 분석 채점한 후, 상ㆍ하위 수준별 및 소집단의 유형별로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사전ㆍ사후 설문과 사후 심화설문을 통해 학습자의 영어 쓰기태도에 대한 변화와 저널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았다. 마지막으로 글의 양과 통사적 복잡성을 측정하여 저널횟수에 따른 쓰기의 질적 향상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10회의 소그룹 및 개인저널쓰기를 통해 얻은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그룹저널집단과 개인저널집단은 실험 후 쓰기능력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로 향상되었다. 학습자의 수준별로 쓰기능력의 변화를 살펴보면, 상위수준 동질소그룹이 쓰기능력 향상에 있어 가장 효과적이었고, 하위수준의 경우에는 교사가 답글을 써 준 개인저널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둘째, 집단간 쓰기능력 향상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셋째, 소그룹의 유형별로 볼 때, 전체수준에서는 동질소그룹집단이 이질소그룹집단에 비해 향상도가 높았다. 수준별로 나누어 소그룹의 유형을 분석하면 상위수준의 경우 동질소그룹집단이 이질소그룹집단에 비해 쓰기능력이 향상되었다. 반면 하위수준의 경우, 이질소그룹집단이 동질소그룹집단에 비해 쓰기능력이 향상되었다. 넷째, 소그룹저널집단과 개인저널집단은 실험 후 영어전반 및 영어쓰기에 대한 태도의 통계적 유의미한 변화는 없었지만, 상위수준에 비해 하위수준의 학습자가 긍정적인 쓰기태도의 변화를 보였다. 다섯째, 저널의 횟수에 따른 글의 양과 통사적 복잡성을 살펴보면 저널횟수가 늘어나면서 글의 양이 뚜렷하게 증가하고 통사적으로 복잡한 문장을 쓴다고 말할 수는 없으나 저널의 횟수가 늘어나면서 통사적 복잡성면에서 소폭의 향상을 보여주고 있어, 이는 지속적인 소그룹저널쓰기가 글의 양과 통사적 복잡성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위의 결과로 볼 때 소그룹저널쓰기는 상ㆍ하위 수준 모든 학습자의 영어 쓰기능력 향상에 매우 효과적인 쓰기지도 모형이라고 결론지을 수 있다. 나아가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쓰기지도 방법 모색과 다양한 소그룹의 유형 개발 및 규칙적이고 지속적인 쓰기학습을 위한 쓰기모형 개발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The aim of Korean middle school English education is to cultivate the communicative competence to understand and use daily English. In order to emphasize communicative competence, Korean English education has focused on teaching speaking and listening; while decreasing time spent on teaching writing. However, the importance of writing education has lately been emphasized and much research has gone into establishing effective writing practice methods. Dialogue journals, which are written conversations between learners and teachers, have been used as a certain model of writing instruction in ESL situations. They also prove to be an efficient tool for creative writing instruction in EFL settings. Though dialogue journals make it possible to improve the learners' writing ability, it is difficult to respond to the each of the students' journals under the circumstance of big size class in Korea. Research indicates that the use of dialogue journals within a classroom is limited as teachers would be heavily burdened by responding to each individual student on daily basi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a new model of dialogue journal writing by activating group journals between peers, as an alternative dialogue journal writing between teachers and learners. Group journal writing can be aimed at developing learners' writing skills and it would be appropriate for the Korean school system.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group journal writing in the Korean EFL classroom. The research group was three; two experimental groups, whose members write group journals with peers and one control group, whose learners carry out journal writing with a teacher. One hundred five 3rd grade boys'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keeping ten times of journals over a period of 12 weeks. Based on the results of a pre-test, the experimental group was divided into two types of small groups based upon writing ability. One type of small group was comprised of students with similar writing abilities, and the other type was made up of the students with varying writing abilities. Next, the control group and the two experimental groups were divided into a high-leveled group and a low-leveled group according to learners' writing proficiency. The improvement of learners' writing ability was measured by pre-test and post-test. The two writing tests were evaluated by five sub categories: content, organization, vocabulary, language use and mechanics. Also, the results of the tests were examined according to the types of small groups and learners' proficiency level. In addition,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measure students' attitude change toward writing in English and writing group journals. Lastly, journal entries of each group were analyzed to assess the quantity of writing and the syntactic complexity. Through the journal writing process, both of the experimental groups and the control group showed statistic meaningful improvement of writing in the categories of content, organization, vocabulary, and language use. However, the improvement was not shown in mechanics part. The high-leveled group showed the most efficient result in the same writing ability group. On the other hand, the low-leveled group displayed the best improvement in the control group. The low-leveled group showed an agreeable attitude change compared to the high-leveled group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attitude change in the result of the questionnaires. The learners' writing quantity and the syntactic complexity didn't show certain improvement as the number of journal entries. In the later part of the journal entries, however, the syntactic complexity developed on a small scale. So, it can be determined that continuous group journal writing gives students the opportunity to improve writing quantity and syntactic complexity. Group journal writing can be an effective technique to teach writing for both of high-leveled and low-leveled learners. Furthermore, various types of group should be suggested to learners in order to foster their writing development, as well as to keep students motivated and interested. Group journal writing is an effective tool for English writing in the EFL classroom, and it provides students with an interactive writing method that encourages them to write on a regular basi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