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6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윤서희-
dc.creator윤서희-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53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53Z-
dc.date.issued200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007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315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0077-
dc.description.abstract제 7차 교육과정이 제안하는 영어 교육의 방향은 구두 언어와 문자 언어를 사용한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이다.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 네 가지 언어 능력의 고른 발전을 지향하고 있으나 한국의 영어 교육 현실에서는 이러한 교육적 목표를 위한 노력이 미흡하며 특히 문장 수준 이상의 쓰기 지도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그러나 현대 사회에서는 점점 더 높은 담화 수준의 쓰기 능력을 요구하고 있으므로 이러한 현실적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서는 문장 단위 이상의 쓰기 교육이 학교 현장에서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문자 언어의 사용이 증가되는 중학교 단계에서 학습자의 흥미와 관심을 고려함과 동시에 문장과 문장을 긴밀하게 연결하는 원리를 익혀 담화 수준의 쓰기를 도모하는 쓰기 교육이 시작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시키며 학습자간의 협력을 통하여 이야기체 글쓰기를 유도하는 그림 자료를 이용한 Jigsaw 쓰기 과업을 제안하고 이를 교육 현장에 적용하여 본 과업이 중학생 학습자의 영어 쓰기 능력과 글의 응집성, 그리고 영어 학습 및 영어 쓰기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본 과업을 쓰기 수업에 적용하는 방안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에 중학교 1학년 학습자 한 학급 35명을 대상으로 1개월 동안 그림 자료를 이용한 Jigsaw 쓰기 과업을 실시하였다. 소집단(전문가 집단)별로 모여 주어진 그림에 대한 토의를 마친 학습자들이 모집단으로 돌아와서 각자가 가진 정보를 교환하고 협력하여 한 단락 분량의 이야기체 글쓰기를 하도록 유도하였다. 본 실험 연구를 통해 얻어진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석적 채점 결과 소집단별 쓰기 점수는 차시가 진행됨에 따라 향상되지 않았다. 그러나 학습자 개인별로 실시된 사전 · 사후 평가 점수를 비교했을 때 사전 평가 점수에 비하여 사후 평가 점수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으므로 그림 자료를 이용한 Jigsaw 쓰기 과업이 학습자의 쓰기 능력 향상에 효과적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상 · 하위 집단별로 살펴보았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으나 상위집단 보다 하위 집단의 점수가 더 향상되었으므로 본 과업은 하위 학습자들의 쓰기 능력 향상에 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추측해볼 수 있다. 둘째, 응집성 점수를 산출하여 1차시의 응집성 점수와 2차시부터 5차시의 평균 응집성 점수를 비교해본 결과, 대부분의 소집단에서 2차시부터 5차시의 평균 응집성 점수가 1차시 응집성 점수보다 높게 나타났고 사전 평가의 응집성 점수보다 사후 평가의 응집성 점수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으므로 그림을 이용한 Jigsaw 과업은 학습자 글의 응집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상 · 하위 집단별로 응집성 점수를 비교했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으나 하위 집단에 비해 상위 집단의 응집성 점수에 더 큰 향상이 있었으므로 본 과업은 상위 학습자 글의 응집성에 더욱 긍정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짐작되었다. 이는 어느 정도의 쓰기 능력을 갖추었을 때 글의 응집성도 갖출 수 있음을 시사하기도 한다. 또한 학습자들은 글쓰기에서 전반적으로 지시(reference), 접속(conjunction), 어휘적 응집(lexical cohesion) 중에서 지시나 접속의 오류를 많이 보여 이에 대한 보다 명시적인 지도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고, 상위 학습자들은 대체로 어휘적 응집을 통해 글의 응집성을 갖춘 것으로 나타나 선행 연구들과 일관되는 결과를 보였다. 셋째, 실험 집단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설문 조사와 면담 결과를 분석해 본 결과, 학습자들은 그림 자료를 이용한 Jigsaw 과업에 전반적으로 만족하였으며 특히 협력을 수반하는 본 과업의 형태와 과업 수행 중 그림의 순서를 맞추는 활동에 흥미를 느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또한 학습자들은 본 과업을 통해 영어 쓰기에 대한 자신감을 가지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학습자들의 반응은 상․하위 집단 별로 다소 다르게 나타났는데 주로 동료 학습자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어휘, 문법 등의 학습에 도움을 얻은 하위 학습자들이 상위 학습자들보다 본 과업에 긍정적인 반응을 나타내었다. 상위 학습자들은 하위 학습자들의 지나친 의존도에 불만을 느꼈으며 수준이 동질한 집단 구성을 요구했다. 넷째, 소집단별 과업 수행 결과와 관찰일지의 내용에서 공통으로 드러난 사실은, 집단별 과업 수행도는 학습자들의 심리 상태나 상호작용 양상에 따라 많은 영향을 받으며 과업 수행을 할 때 집단 구성이 동질할수록 하위 학습자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다는 점이다. 또한 과업에 사용되는 그림 자료는 학습자의 연령, 수준 및 취향을 고려한 것이어야 학습자의 흥미와 성실한 참여를 기대할 수 있다는 사실도 추측할 수 있었다. 이처럼 그림 자료를 이용한 Jigsaw 쓰기 과업이 초급의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을 때 쓰기 능력과 글의 응집성 및 영어 학습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본 연구의 결과는 그림 자료나 Jigsaw 쓰기 과업이 현재 영어 쓰기 지도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한국의 영어 교육 현장에서 학습자들이 사회의 요구에 부응하는 쓰기 능력을 갖출 수 있는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영어 쓰기 수업에서 본 과업을 더욱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특성과 취향을 고려한 그림 자료를 사용해야 하고 소집단을 신중하게 구성하여 모든 수준의 학습자들이 높은 학습 효과를 얻고 심리적으로도 만족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학습자들이 담화 수준의 쓰기 능력을 갖추도록 하려면 적절한 과업을 계속 고안하고 학습자들에게 응집성을 비롯하여 글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요인들에 대한 인식을 심어주어야 할 것이다.;The ultimate aim of English education today is to develop learners' communicative competence that involves the use of both oral and written language. As a considerable number of researches suggested, this goal could be achieved effectively through collaboration and meaning negotiation. Among the four language skills, writing used to be considered as an extension of grammar exercise only about a few decades ago due to the influence of Structuralist linguistics. However, the focus of writing instruction has been shifted to other aspects as content or readers, and recently, the importance of writing ability in discourse level is being more emphasized than ever before. Therefore, discourse level writing instruction should be started as early as middle school stage and qualified tasks should also be developed to support learning. In this regard, this study suggests the use of 'jigsaw writing task' based on picture stories to promote collaboration among peer learners, raise learners' consciousness on cohesive devices and evoke learners' keen interest on the learning material. In this study, picture-based jigsaw writing task was applied to the classroom. Then the effect of the task on English writing skills, text cohesion and learning attitude were examined. Also, the effective methods of applying the task was sought. For this study, an experiment was conducted for one month with 35 first-year middle school students. The students were required to form groups of 5 and participate in collaborative narrative writing. To create a cohesive narrative text, all the members of each group had to combine their information on different pictures of the sequence. The main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no considerable improvement was observed in the overall quality of collaborative writing produced during the jigsaw task. There seemed to have been some psychological factors that affected the performance of the task each day. Meanwhil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ssessment scores between the pre-test and the post-test and it was proven that jigsaw writing task was effective to improve learners' writing skills. It was also inferred that jigsaw writing task may work more positively for the writing skills of lower level students than those of upper level students. Second, cohesiveness scores on collaborative writing showed that most groups were able to produce more cohesive texts each time they were involved in the jigsaw writing task. The comparison of the cohesiveness scores between the pre-test and the post-test also revealed the positive impact of the task on individual students' text cohesion. Contrary to the result on the overall writing quality in the analysis of the upper and lower level students, upper level students gained more improvement in text cohesion than lower level students did. More importantly, it turned out to be that upper level students mainly used lexical cohesive devices to keep their texts cohesive. Third, a survey and interviews found that most of the students were satisfied with the picture-based jigsaw writing task. In particular, the students found collaboration with peers and the process of piecing the stories together were fairly enjoyable. They also responded that they gained confidence in English writing through this task. However, there was a discrepancy in the students reaction between the upper level and the lower level: While lower level students who were able to learn new vocabulary and structure reacted positively on the task, upper level students expressed their dissatisfaction on lower level students' reliance upon themselves during the task. Fourth, through the observation and analysis of collaborative writing, it was found that task performance each day depends heavily on some psychological factors and the type of interaction among the group members. And the groups need to be organized as homogeneously as possible in order to promote active participation of lower level learners. In addition, it was inferred that the pictures used for the task should be selected carefully according to the target students' age, proficiency level and local flavor. As the study results suggest, picture-based jigsaw writing task can be a useful and effective instrument for the beginning learners to develop required English writing skills. However, for more effective application of the task, the pictures should be carefully selected considering the target learners' characteristics and the group organization should be done in the way that it can meet the needs and wants of majority of students. Finally, to equip students with desired discourse level writing ability, teachers and researchers have to devise more tasks appropriate for the purpose and raise learners' awareness on various elements that contribute to the text qualit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x Ⅰ. 서론 1 Ⅱ. 이론적 배경 3 A. 응집성 3 1. 응집성의 정의 3 2. 응집 단서의 유형 5 B. Jigsaw 쓰기 과업 15 1. Jigsaw 과업 15 2. 자료 유형별 Jigsaw 쓰기 과업 17 C. 선행연구 19 1. 쓰기에서 응집성의 분석과 지도에 관한 연구 19 2. 그림 자료를 이용한 쓰기 지도에 관한 연구 21 3. 협동학습을 이용한 쓰기지도에 관한 연구 22 Ⅲ. 연구 방법 25 A. 연구 질문 25 B. 연구 대상 25 C. 연구 자료 26 1. 사전ㆍ사후 쓰기 능력 평가지 26 2. 쓰기 평가 기준 27 3. 응집성 평가 기준 27 4. 사전ㆍ사후 설문지 및 심화 면담 설문지 28 5. 그림 Jigsaw 과업 수업 자료 29 6. 관찰 일지 30 D. 실험 절차 31 1. 실험 이전 절차 31 2. 실험 수업의 절차 및 주요 활동 32 3. 실험 이후 절차 33 4. 채점자간 신뢰도 검증 34 5. 자료 분석 방법 34 E. 연구의 제한점 35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36 A. 소집단별 과업 수행 관찰 결과 36 1. 과업 수행에서 나타난 공통적 특성 36 2. 과업 수행에서 나타난 소집단별 특성 38 B. Jigsaw 쓰기 과업이 학습자 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42 1. 소집단의 차시별 Jigsaw 쓰기 과업 수행도 42 2. 실험집단 전체 및 상 · 하위 집단별 사전 · 사후 평가 결과 47 C. Jigsaw 쓰기 과업이 학습자 글의 응집성에 미치는 영향 51 1. 소집단의 차시별 Jigsaw 쓰기 과업의 응집성 비교 51 2. 실험 집단 전체 및 상ㆍ하위 집단별 사전ㆍ사후 평가 결과에 나타난 응집성 비교 56 D. Jigsaw 쓰기 과업이 영어 학습 및 영어 쓰기 태도에 미치는 영향 59 1. 실험 이후 학습자들의 태도 변화 59 2. 사후 심화 설문 응답 결과 분석 61 3. 심화 면담 결과 분석 62 Ⅴ. 결론 64 참고문헌 68 부록 74 ABSTRACT 9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30098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Jigsaw 쓰기 과업이 중학생의 영어 쓰기 능력과 글의 응집성 및 영어 쓰기 태도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 of Jigsaw Writing Task on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English Writing Skills, Text Cohesion and Learning Attitude-
dc.creator.othernameYoun, Seo Hee-
dc.format.pagexii, 10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07.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