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6 Download: 0

연습시행분단간 휴식시간의 길이가 무용동작 학습에 미치는 효과

Title
연습시행분단간 휴식시간의 길이가 무용동작 학습에 미치는 효과
Other Titles
(The) Effect of Break on Dance Movement Learning Between Subjects
Authors
박경은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Keywords
휴식시간무용동작연습방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무용동작 과제에 대한 연습시간과 휴식시간의 상대적 길이에 따른 연습방법의 상대적인 무용학습효과를 실험적으로 구명하고 효율적인 연습방법을 밝히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선행 연구 및 문헌을 통해 다음과 같은 네 가지 가설을 설정하였다. 첫째, 무용 동작학습에 있어서 휴식시간이 연습시간보다 많은 집단이 학습 효과가 가장 높을 것이다. 둘째, 연습시간과 휴식시간이 같은 집단이 연습시간이 휴식시간보다 많은 집단에 비해서 무용동작학습 효과가 높을 것이다. 셋째, 휴식시간이 연습시간보다 많은 집단이 연습시간과 휴식시간이 같은 집단에 비해서 무용동작학습 효과가 높을 것이다. 넷째, 휴식시간이 연습시간보다 많은 집단이 연습시간이 휴식시간보다 많은 집단에 비해서 무용동작 효과가 높을 것이다. 위의 네 가지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봉산탈춤의 4동작을 학습과제로 제시하였고,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휴식시간보다 연습시간이 긴 집단(집중연습조건), 휴식시간이 연습시간과 같은 집단(분산연습조건1), 휴식시간이 연습시간(연습횟수)보다 긴 집단(분산연습조건2)의 3개의 집단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피험자는 실험조건에 따라 각기 다른 길이의 휴식시간을 가지면서 연습단계에서는 4회를 1분단으로 4분단의 연습시행을 하였으며 24시간 후 5회 1분단의 파지검사를 하였다. 시행분단에 따른 수행평가는 4인의 무용 전문가로 구성된 평가단에 의해 테크닉, 암기력, 숙련도, 표현성, 리듬감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평가하였으며, 네 명의 점수를 평균과 표준편차로 산출하였다. 분석은 휴식시간의 제시형태에 따른 효과를 검증하기위해 연습방법의 종류(3)와 시행분단(4)에 따른 반복측정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파지 검사는 각각의 연습방법에 따른 파지단계에서의 수행점수의 평균을 산출하여 일원 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수행결과를 분석한 결과, 분산 연습법이 집중 연습법보다 학습에 효과적임을 나타냈다. 또한, 분산연습중에서 휴식시간과 연습시간이 같은 연습방법보다 휴식시간이 연습시간보다 긴 분산연습법이 보다 학습에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집중 연습보다는 휴식시간이 같거나 비교적 큰 분산 연습이 학습자에게 효과적이었다. 특히, 좀더 휴식시간이 길었던 연습방법의 제시가 학습자에게 더욱 효율적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학습자에게 휴식시간의 배분을 다르게 한 연습방법의 제시가 학습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라는 결과를 이끌어 낼 수 있다. 그러므로 무용 교육현장에서 집중법보다 분산법을, 휴식시간과 연습시간이 같은 분산연습법보다는 휴식시간이 연습시간보다 상대적으로 긴 분산연습법을 학습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더욱 효과적인 학습을 이룰 수 있을 것이며, 효율적인 무용학습의 결과를 가져 올 수 있을 것이다.;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earning effect of dance movement according to relative length of the break. The hypotheses are set up on the basis of previous studies and research literatures. This study's hypotheses are as follows; First, distributed practice that the break is longer than practice time will e the most effective in the view of learning effect. Second, the distributed practice method that the break equals to the practice time will be more effective than the distributed practice that the break is longer t practice time. Third, the practice that the break is longer than practice time will be more effective than the method that the break equals to the practice time. Fourth, the distributed practice method will be more effective than massed practice. Bongsan mask dance, which is representative traditional dance, is used for exploring these hypotheses. For obtaining the outcomes, this study divides the subjects into three groups; group 1 performed massed practice method group 2 performed distributed method(the break is equal to the (practice time) and group 3 performed distributed method(the break is longer than the practice time). That is, each subject is experimented by different length of break. This study utilize 3x4 factorial design with repeated measures on the last factor between subjects. By four experts of dance, the dance performance skill of these groups are evaluated with the following five standards: Technique, Memory, Proficiency, Expressiveness, and Rhythm. To analyze the outcomes, the statistical analyses are used: two-way Anova and one-way Anova. It is two-way Anova with repeated-measures on the second factor which shows that the ac results are meaningful. That is, this method uses for finding out the means which verify statistically the outcomes between subjects. As a result, since p is less than 0.05, it means there are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subjects. Also, after producing means of performing scores by individual practice methods, this thesis utilizes one -way Anova for knowing if there are statistical significances between the three practice methods an a recognitive examination. In conclusion, this thesis verifies that the distributed practice is more effective than massed practice, and the practice method that the break is longer than practice time will be more effective than the practice method that the break equals to the practice time through experiment. Therefore, in the field of education, this conclusion through this experiment will be considered in that the instructor who teaches dance movements to learners can get the better results by providing the distributed practic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