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민경-
dc.creator김민경-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13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13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2846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283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8466-
dc.description.abstractEnglish article is one of the most difficult grammar area for the students of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Master, 1990). Since there is no article system in Korean, Korean students omit articles frequently when they use English. But teaching English article system has been neglected due to the complexity of English article system, and indifference though English articles are very important for correct communication and writing in English. So we need to develop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to teach English article system to Korean students. In recent years, tile pursuit of form focused or meaning focused instruction is avoided in the English grammar teaching field. Instead, English instructors seek tile combination of both instructions' merits. They intend teaching English grammar in a communicative classroom. In this point of time, we need to pay attention to tile role of grammar instruction in foreign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We need to develop effective teaching method for Korean students to learn English articles with interest and intrinsic motivation.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consciousness raisins activity for English article teaming and investigate its effects on tile acquisition of English article and ability to use article toward the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The control group and two experimental groups which consisted of first year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experiment for ten weeks. These groups were divided into upper, middle, and lower levels respectively. The control group were given only input enhancement materials whereas the experimental groups took part in consciousness raising activities with input enhancement materials. The students of the first experimental group took part in commnunication after grammar consciousness-raising activity, and these activities were performed in groups. The second experimental group took grammar lessons from the teacher after the consciousness raising activity. After ten week period, the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showed that the second experimental group using the consciousness raising activity with explicit rule explanation achieved significantly better results in their article acquisition posttest than the control group and the first experimental group. This results indicates the combination of explicit grammar instruction and the grammar consciousness raising activity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acquisition of English article usage. Therefore, we can conclude that tile explicit rule instruction with consciousness raising activity is necessary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English article. Second, the first experimental group using tile consciousness raising activity with communication practice showed significantly better results in their article use posttest than the control group and the second experimental group. This results indicates providing a lot of opportunities to use English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use of English article. Therefore, we can conclude that giving lots of opportunities of communication is helpful in tile use of English article use. Third, the lower level students in both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s showed significantly better results than the upper and middle level students though the English article system is known as difficult grammar item. This means that the teaming of English article through the consciousness raising activity using textbook level materials had positive effects on tile lower level students. Since the input enhancement materials were extracted from the textbook, lower level students had chance to learn new things from easy materials. On the other hand, it might be too easy for upper and middle level students. Hence, we can conclude that consciousness raising activity using easy materials is effective especially for the lower level students. Fourth, the qualitative analysis of the article use of the first experimental group showed that the rate of correct use of English article is more than the misuse of English article. The most frequent error was the overuse of definite article and the second most frequent error was the omission of an indefinite article. The former took 39.53% of the total error and the latter took 17.44%. In conclusion, we can find that tile use of grammar consciousness raising activity in the learning of English article has positive effects on students' acquisition and use of English article, especially in tile lower level students. Therefore, teachers should give tile lower level students tile chance to learn through student centered group activity rather than teacher-fronted grammar instruction. Teachers should consider the level of students when they choose teaching materials. Both explicit grammar instruction and student-centered communication practice are important in tile acquisition and use of English article. Teachers should use both method properly. according to tile circumstances. Additional research on the effective use of tile grammar consciousness raising activity should consider not only tile level of the students but also the need of tile students.;제2 언어 교수와 학습에 있어서 전통적으로는 문법에 중심을 두는 형태중심 교수법이 사용되었으나 의사소통과 의미에 초점을 두는 의미중심적인 접근법이 소개되면서 문법교육을 경시하는 풍토가 생겨났다. 그러나 최근 영어문법 지도 경향은 형태중심 교수법이나 의미중심 교수법 같은 극단적인 방법에서 탈피하여 두 교수법의 장점을 절충하여 지도하는 방법을 지향하고 있다. 즉 의사소통 중심의 수업 안에서 학생들이 배우고자 하는 언어 형태에 자연스럽게 의식을 두어 특정 언어 형태를 익히게 하는 문법 교육의 효과가 입증되면서 문법 지도의 필요성이 다시 부각되고 있다. 한편 여러 영어문법 사항들 중에서 영어 관사는 영어 학습자들에게 가장 배우기 어렵고 이해하기 힘든 분야 중 하나로 알려져 왔다(Master, 1990). 특히 한국의 영어 학습자들은 관사 체계가 존재하지 않는 모국어의 영향을 받아 관사를 써야 할 곳에 쓰지 않는 오류를 많이 범하고 있다. 그러나 영어 교육현장에서는 관사 체계가 복잡하고 예외가 많아 체계적이고 쉽게 교수하기가 힘든 데다, 구두 의사소통에서는 관사를 생략하여도 의미 전달에 큰 지장이 없었기 때문에 관사 지도가 등한시 되어온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관사는 정확한 의사 소통을 위해 꼭 필요한 등한시되어서는 안 되는 문법 항목이다. 영어 관사의 습득과 사용이 어려운 것이라면 학습 시기를 늦추지 말고 영어 학습의 초기부터 영어 관사를 자연스럽게 교수하여 학습자들이 영어 관사에 익숙해지게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한국어의 특징을 고려하여 한국의 영어 학습자들에게 효과적으로 관사를 지도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의 문법 의식을 향상시키는 문법 활동이 우리 나라중학교 영어 학습자의 영어 관사 습득과 사용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여 궁극적으로 영어교육 현장에서 영어 관사를 효과적으로 교수하는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서울 소재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10주 동안 통제집단에게는 언어 입력 강화 자료만을 제시하고, 두 실험집단에게는 입력 강화 자료와 더불어 각각 다른 의식상승 활동을 병행하였다. 실험집단 1에게는 의식상승 활동으로써 관사에 주목하는 활동과 부정적 피드백이 주어졌고, 실험집단 2에게는 주목하기 활동과 명시적인 문법 수업이 진행되었다. 본 실험 연구를 통해 얻어진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의식상승 활동이 영어 학습자의 관사 습득에 유의미한 수준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의식상승 활동과 교사의 명시적 규칙 설명을 병행한 실험집단 2가 가장 크고 유의미한 향상을 나타냈다. 이와 대조 적으로 입력 강화 자료만으로 학습한 통제 집단은 점수의 상승을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문법을 효과적으로 지도하기 위하여 의식상승 활동이 병행되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한편 모든 집단에서 하위 수준 학습자의 관사 습득 향상도가 상위 수준 학습자에 비해 월등히 높았다. 따라서 하위 수준의 학습자의 관사 습득에 의식상승 활동과 함께 교사의 명시적인 문법 설명이 매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의식상승 활동은 학습자의 영어 의사소통 활동에서의 관사 사용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유의한 수준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특히 관사를 이용한 발화 기회가 많이 주어지고, 오류를 수정해준 피드백을 받은 실험집단 1이 가장 크고 유의미한 향상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선언적 지식(declarative knowledge)을 절차적 지식(procedural knowledge)으로 전환시키지 위해서는 실제적 연습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셋째, 실험집단 1의 상·하위 학습자는 실험과정에서 관사 사용의 정확성이 점차 신장되었다. 질적 분석을 통해서도 하위 학습자들의 발전 정도가 더 큼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발화의 수준은 여전히 상위학습자가 가장 높았다. 학습자들이 가장 많이 범하는 오류는 정관사의 과다 사용이었고, 부정관사를 사용하지 않는 오류가 그 뒤를 이었다. 상·하위 학습자들이 범하는 오류 종류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가 영어교육 현장에 시사하는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의식상승 활동을 이용한 문법지도가 언어 습득과 사용에 효과적인 영향을 미치기 위해서는 교사가 학습자에게 제공되는 목표 언어 형식을 선정할때 학습자의 수준과 목표 언어 형식의 언어적 특질을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본 연구에서는 하위 학습자들에게 의식상승 활동을 이용한 관사 지도의 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그러나 정규 교과 과정에서 사용하고 있는 교과서 이외의 학습자의 수준에 맞는 다른 자료를 이용하여 의식상승 활동을 할 경우 중·상 위 학습자들에게도 효과적인 관사 학습을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영어 초기 학습자의 효과적인 관사 습득을 돕기 위해서는 명시적인 문법수업을 완전히 배제하기 보다 의식상승 활동과 명시적 규칙 설명을 적절히 혼용해야 한다. 본 연구 결과 암시적인 문법 교육보다는 명시적인 문법교육이 영어 습득에 더 효과적이라는 것이 밝혀졌다. 즉, 영어 관사와 같이 모국어에 없는 언어 형식은 암시적인 학습 방법만으로는 습득하기가 매우 어려우며, 명시적 설명을 적절히 혼용한 문법 교수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셋째, 의사소통에서 관사를 정확하게 사용하는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관사에 관한 선언적 지식을 절차적 지식으로 전환하게 하는 학습 활동 및 사용 기회가 있어야 한다 영어 교육 현장에서 교사는 학습자가 문법에 관한 지식을 습득함과 동시에 이것을 실제로 사용할 수 있는 의사소통 활동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연구에서는 유의미하고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의사 소통 활동의 개발이 미비하였으나 후속 연구에서는 학습자가 흥미와 열의를 가지고 참여할 수 있는 활동을 개발하기 바란다. 넷째, 본 연구에서는 고려되지 않았지만 학습자의 다양성에 따라 의식상승 활동의 효과가 달라질 수 있음을 고려해야한다. 종합적으로 인지하는 학습자보다 분석적으로 인지하는 학습자가 특정 언어 형태에 집중하고 어떤 공통된 규칙을 발견해 나가는 의식상승 활동에서 두드러지게 향상을 보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다양한 학습자의 변인들을 고려하여 문법 의식상승 활동을 현장 수업에 적용하도록 계획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 실험 연구를 통해 문법 교육에 있어 의식상승 활동은 매우 유용한 방법임이 입증되었으므로, 앞으로의 후속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하면서 문법을 더욱 효과적으로 교수할 수 있는 다양한 문법 활동 모형 개발을 다루는 것이 필요하다. 이와 함께 본 연구는 중학교 초기 학습자를 대상으로 중학교 교과서 수준의 관사 교수를 실세하였으므로, 후속 연구에서는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좀더 수준 높은 관사 지도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Ⅱ. 이론적 배경 = 3 1. 문법 교수의 유형 = 3 2. 의식상승 활동과 문법교수 = 7 3. 의미중심 형태교수의 활동 유형 = 10 4. 영어 관사 습득과 교수에 대한 선행 연구 = 16 Ⅲ. 연구 방법 = 27 1. 연구 가설 = 27 2. 실험 대상 = 28 3. 실험 자료 = 29 4. 실험 절차 및 통계처리 방법 = 37 5. 연구의 제한점 = 44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 45 1. 의식상승 활동이 관사 습득에 미치는 영향 = 45 2. 의식상숭 활동이 관사 사용능력에 미치는 영향 = 52 3. 학습자의 관사 사용에 대한 질적 분석 = 59 Ⅴ. 결론 = 79 참고문헌 = 82 부록 = 89 ABSTRACT = 10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02574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영어 문법-
dc.subject문법 의식-
dc.subject중학교 영어-
dc.subject영어 관사-
dc.title문법 의식상승 활동이 중학교 영어 학습자의 관사 습득과 사용능력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 of Consciousness Raising Activity in the Teaching of English Article on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Article Acquisition and its Use-
dc.format.pagex, 10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03.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