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숙영-
dc.contributor.author신지연-
dc.creator신지연-
dc.date.accessioned2016-08-25T01:08:57Z-
dc.date.available2016-08-25T01:08:57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072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282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0727-
dc.description.abstract미술과에서의 통합교육은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 간의 사회적 소통을 자연스럽게 유도할 수 있으며, 다른 과목에 비하여 동기 유발이 잘 되어 통합교육에서 중요한 교육활동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실제로 미술과 통합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학교현장에서는 장애학생에 대한 적절한 지도가 이루어지고 있지 못한 실정이며 현재까지 미술과 통합교육의 질적인 문제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진 적이 거의 없었다. 이에 본 연구는 통합교육이 실시되고 있는 일반 중학교의 미술 교사를 대상으로 미술시간에 장애학생들이 나타내는 특수성과 이에 대한 미술교사들의 교수적합화의 실행 여부 및 관련 지식에 관한 실태를 조사하여, 미술과 통합교육을 위한 교사연수 및 지원제공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설문지는 연구자가 구아이(Guay, D. M. 1993)의 ‘미술교육 교수-학습 환경을 위한 교사 자기 점검 항목’과 이은미(2002)의 석사학위 논문 ‘장애아동 미술통합수업 담당교사의 지원요구’에서 사용된 설문지와 미술교사들과의 인터뷰, 그리고 특수교육 및 교수적합화에 관한 여러 문헌을 바탕으로 하여 작성 하였다. 설문지의 내용으로는 교사의 개인적 배경과 지도학급 및 학생 정보에 관한 문항 7개, 미술과 통합교육에서의 장애학생의 특수성과 이에 대한 미술교사의 교수적합화 실행 여부에 관한 문항 8개, 미술과 교수적합화 실행을 위한 지원실태와 교사의 지원요구에 관한 문항 4개, 미술교사들의 교수적합화에 대한 지식의 정도를 묻는 문항7개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각 문항에서 좀 더 구체적인 내용 파악이 필요한 경우는 주관식 문항을 추가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시내 11개 교육청내의 통합교육을 실시하는 중학교 미술교사144명 이었다. 설문지는 우편과 직접 방문을 통하여 전달하였고, 회수율은 56.2%였다. 결과 분석은 연구문제에 따라 빈도와 백분율, t 검증 또는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 중학교에서 통합교육을 받는 장애학생들은 미술수업에서 다양한 특수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료 사용 및 표현 기술의 부족, 미술 수업 내용에 대한 이해부족, 또래와의 원활하지 못한 상호작용. 주의집중력 결핍, 낮은 흥미, 문제행동 등에 대하여 미술교사의 50% 이상이 통합된 장애학생들에게서 이러한 특수성이 발견된다고 답하였다. 반면에 신체적 어려움에 대한 문항에서는 14.3%의 미술교사들만이 비장애학생 위주의 교실환경이 장애학생의 수업참여에 어려움을 준다고 답하였다. 둘째, 미술교사의 교수적합화 실행 여부를 보면 문제행동 수정을 위한 지도, 흥미유발을 위한 지도, 장애학생의 능력을 고려한 평가, 주의집중을 돕기 위한 지도 등의 영역에서 미술교사의 50%이상이 교수적합화를 실행한다고 답하였다. 그러나 재료사용 및 표현 기술을 위한 지도, 또래와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돕기 위한 지도, 그리고 신체적 어려움을 돕기 위한 지도 등에서는 50%이하의 미술교사들이 교수적합화를 실행하였다. 교수적합화의 방법으로는 대부분의 영역에서 교수내용을 수정하는 방법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교수평가의 수정에서는 통합교육을 실시하는 다른 과목들에 비하여 장애학생을 배려한 평가를 더 많이 실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수정방법에 있어서는 많은 교사들이 장애학생의 작품완성에 관계없이 기본점수, 또는 평균점수를 준다고 답하였다. 셋째, 미술과 교수적합화 실행을 위한 지원 실태와 교사의 지원 요구에서는 학생들의 개별적 지도를 위한 지원, 장애학생을 위한 미술학습교재의 지원, 자문을 통한 특수학급교사의 지원, 장애학생의 편의를 위한 시설의 지원 등 모든 문항에서 지원이 충분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이 가장 많이 지원 요구를 나타낸 부분은 학생들을 개별적인 필요에 따라 지도하기 위한 여건의 조성이었고, 다음은 자문을 통한 특수학급교사의 지원, 장애학생을 위한 미술학습자료의 지원, 장애학생을 위한 편의시설의 제공 순이었다. 넷째, 미술교사의 교수적합화에 대한 지식의 정도를 보면 미술교사들은 전체적으로 자신의 교수적합화에 대한 지식을 낮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 변인에 따른 지식 차이에서는 성별, 교직 경력, 통합교육 경력, 특수교육 관련 연수 경험 등에 대하여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위의 결과들을 살펴볼 때 우리나라의 일반 중학교에서 통합교육을 받고 있는 장애학생들은 미술수업에서 다양한 특수성을 보이고 있으며 이에 대한 미술과에서의 교수적합화를 필요로 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미술교사들의 대부분은 이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의 결여와 열악한 교육 여건으로 인하여 적절한 교수적합화를 실행하지 못하고 있다. 미술교사들이 통합된 장애학생들에게 적절한 교육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교육여건의 개선과 함께 교사양성기관에서부터 교수적합화에 관한 교과목이 필수로 지정되고, 현직 미술교사들에게는 통합교육현장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교사 연수가 계속적으로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학문적으로도 미술과에서의 교수적합화의 방법론에 관한 연구와 관심이 요구된다.;The inclusion education in Art can induce social experience between the disabled students and the usual students. But the appropriate instruction on the disabled students was not performed in the real school environment, and little discussion on the qualified matters in the art inclusion education was don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fundamental resources in the teacher training about art inclusion education by investigating special needs of the disabled students and instructional adaptation of teachers on these needs. This study was carried out with interview and the questionnaire which was made on the basis of 'the teachers self-check lists for the art instruction-learning environment' of Guay(1993) and 'the application needs of teachers in charge of the art inclusion class of the disabled student' of 이은미(2002).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114 art teachers of the middle school in Seoul where inclusion education was performed. The response rate of the questionnaire was 56.2%,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t-test and one-way disper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needs of the disabled students in the art inclusion education are proved to be the lack of material use and expressing skills, understanding art lesson contents, interactions with other students, concentration, low interest, and problem acts. Most of art teachers are using revised methods of instruction contents for the disabled students. Teachers seem to choose the easiest way due to the deficiency of the professional knowledge about the instructional adaptation. There i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the gender, career, training experience in relation with special education in the knowledge of the instructional adaptation.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is study proposes the following: First, re-education of teachers must be constructed in relation with the instructional application. Second, adjustment of students in each class and cooperation of special class teachers must be applied to instruct the students who have various needs. Third, teacher training must be offered so that teachers can understand real needs in art education. Most of all, art teachers performing inclusion education must have the same affection and responsibility for the disabled students to get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e inclusion educ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 목적 = 1 B. 연구 내용 및 방법 = 2 C. 연구의 제한점 = 3 Ⅱ. 이론적 배경 = 4 A. 장애학생 통합교육 = 4 1. 통합교육의 개념 = 4 2. 통합교육이 학생에게 미치는 효과 = 6 B. 미술과 통합교육환경에서의 교수적합화 = 7 1. 미술과 통합교육환경 = 7 2. 미술과 통합교육환경에서의 교수적합화(Instructional adaptation) = 8 Ⅲ. 미술과 교수적합화에 관한 현황 조사 연구 = 17 A. 연구대상 및 절차 = 17 1. 미술교사의 배경 및 학생 정보 = 17 2. 예비 조사와 본 조사 = 19 B. 연구도구 = 19 1. 문항의 구성 = 19 C. 자료 처리 = 21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 22 A. 결과 = 22 1. 미술수업에서 나타나는 장애학생의 특수성 = 22 2. 장애학생의 특수성에 따른 미술교사의 교수적합화 = 28 3. 교수적합화 실행에 필요한 지원 제공의 실태 = 31 4. 미술교사의 교수적합화에 대한 지식 = 33 B. 논의 = 37 Ⅴ. 결론 및 제언 = 43 참고문헌 = 45 부록 = 48 Abstract = 5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0883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중학교 통합교육환경에서의 미술과 교수적합화에 관한 조사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Art Instructional Adaptation in the Inclusion Education Environment-
dc.creator.othernameShin, Ji Yeon-
dc.format.pageⅶ, 5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dc.date.awarded2005.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