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12 Download: 0

우리나라 대학생들의 과학적 소양에 관한 연구

Title
우리나라 대학생들의 과학적 소양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scientific literacy of Korean college students
Authors
주현진
Issue Date
199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과학교육전공물리교육분야
Keywords
우리나라대학생과학적 소양scientific literacy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논문은 대학생들이 수강하는 교양교육 과목 중 과학 과목의 수강 실태와 그에 따른 과학적 소양을 연구한 것이다. 과학적 소양은 Jon D, Miller와 David G.ladevaia가 고안한 검사 도구에 의해 지식 영역과 태도 영역에서의 반응으로 나누어 검사하였다. 대학생 집단을 과학 과목 수강 정도에 따라 고등학교 수준집단(대학에 들어온 후 과학 과목을 전혀 수강하지 않은 학생들의 집단)과 교양 수준집단(한과목 또는 두과목을 수강한 학생들의 집단), 그리고 대학 수준집단(세과목 이상을 수강한 학생들의 집단)으로 나누었다. 태도 영역에서는 우리나라 대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태도와 과학적 태도에 대한 반응을 미국 대학생들의 반응과 동의 백분율로 비교하여 차이점을 조사하였고, 지적 영역에서는 각 문항에 대한 오답률을 비교하였다. 지식 영역의 점수를 보면 우리나라 대학생들의 고등학교 수준집단이 평점 7.68을 얻은 반면 같은 수준으로 분류된 Pima 대학의 고등학교 수준집단은 평점 7.07을 얻었고, 우리나라 대학생들의 교양 수준집단과 대학 수준집단이 각각 평점 8.01과 9.81을 얻은 반면 이 두 집단을 구분하지 않은 Pima 대학의 대학 수준집단은 평점 7.88을 얻었다. 이 결과로부터 Pima 대학의 학생들보다 우리나라 대학생들의 지식영역에서의 성취가 높은것을 알 수 있었다. 우리나라 대학생들 각 집단 간의 점수를 비교해 보면 고등학교 수준 집단과 교양 수준집단간의 지식영역에서의 평점차이가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는 아니었고, 교양 수준집단과 대학 수준집단간의 평점차이는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었다. 결과적으로 우리나라 대학생들의 과학적 소양은 고등학교 과정에서 이과계열이었는가, 혹은 문과계열이었는가에 의해 이미 결정될 뿐, 대학에 들어온 후에 과학 교양과목을 수강하여도 크게 개선되는 것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This study deals with the scientific literacy of college students using the tool designed by David G. Iadevaia of Pima College in America. The scientific literacy of this paper is divided into 3 pars : the part of attitude, the part of general knowledge and the part of modern physics. The questions of the attitude part were prepared by Jon D. Miller, those of the general knowledge part were designed by David G. Iadevaia, and those of part of modern physics have been suggested in this thesis for the first time. The college students questioned are composed of 3 groups. They are the high school level students who have not studied physical science at all after entering college, the literacy level students who have taken one or two physical science cources, and the college level students who have taken more than three physical science cources at a college. In the part of attitude, the reactions of Korean college students are compared with those of Pima College students by the percentage of agreement. In the part of general knowledge and modern physics, the ratio of the wrong answer to each question by Korean students is compared with that of Pima College students. The high school level students of Korean college got 7.68 out of 12 scores, the literacy level students, 8.01, and the college level students, 9.81. On the other hand, the high school level students of Pima College got 7.07 out of 12 scores and the college level students, 7.88. From these results, we can find that Korean college students got better scores than Pima College students. The score of each group of Korean college students is analyzed and compared using Minitap software. The scores of the high school level students and the literacy level students do not make any difference by the level of significance, 0.05 (α =0.05). But, the scores of the literacy level students and the college level students make a meaningful difference by the level of significance, 0.25 (α =0.25). Therefore we can say that the scientific literacy of Korean college students has not made any improvement though Korean college students have taken science cources after entering colleg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물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