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韓泰順-
dc.creator韓泰順-
dc.date.accessioned2016-08-25T01:08:55Z-
dc.date.available2016-08-25T01:08:55Z-
dc.date.issued1993-
dc.identifier.otherOAK-00000001903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280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9035-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수영활동이 시각장애학생의 체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시각장애 학생들의 체력향상과 건강증진을 위한 체육프로그램 연구에 도움을 주기 위한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고저 시도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시각장애 중학생 중에서 수영활동을 실시한 학생 7명(서울맹학교 학생), 실시하지 않은 학생 7명(한빛맹학교 학생)으로 14명과, 일반 중학생 중에서 수영활동을 실시한 학생 7명(고덕사회체육센터 수영교실), 수영활동을 실시하지 않은 학생 7명(송림중학교 학생)인 14명으로 총 28명으로 구성하였고, 수영활동을 실시한 기간은 1년간 주3회 1시간씩 계속적으로 실시한 학생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측정한 체력은 운동발현능력의 악력, 배근력, 순발력(서전트 점프)을, 운동지속능력의 폐활량과 전신지구력(작업량)을, 운동조정능력으로서는 민첩성(전신반응시간)과 유연성(체후굴)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영활동을 실시한 시각장애중학생과 수영활동을 실시하지 않은 시각장애 중학생의 체력에서 수영활동을 실시한 시각장애 중학생의 서전트 점프와 작업량에서 유의한 차이로 높게 나타났다(P<0.06, p<0.001). 둘째, 수영활동을 실시한 시각장애 중학생과 수영활동을 실시하지 않은 일반중학생의 체력에서는 시각장애학생이 일반학생 보다 좌악력, 배근력, 폐활량, 작업량에서 유의한 차이로 높게 나타났다. 세째, 수영활동을 실시한 시각장애 중학생과 일반 중학생의 체력에서는 악력(좌, 우), 배근력, 순발력, 폐활량, 작업량, 전신반응, 체후굴에서 시각장애학생의 측정치가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네째, 수영활동을 실시하지 않은 시각장애학생과 일반중학생의 체력에서 시각장애학생의 좌악력이 유의한 차이로 높게 나타났다.(P<0.007) 그러나 타 체력요소(우측박력, 배근력, 순발력, 폐활량, 작업량, 전신반응시간, 체후굴)에서는 두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하체근력과 심폐지구력이 약한 시각장애인에게 수영활동은 각근력이 이용되는 순발력(서전트 점프)을 높여주고, 심폐지구력에 속하는 작업활동을 오래 지속시켜 줄 수 있는 작업량을 높여준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 on physical fitness of swimming activity for the visual handicapped students. For the purpose, the subjects of the study is tested 28 of junior high school students including students 7 of swimming and 7 of non swimming the visual handicapped experience students. The other 14 students are included by students in normal junior high school with 7 of swimming and 7 of non swimming The subjects with swimming experience are tranined during one year with one hour per one time and 3 time per week. The physical fitness test are included grip strength, back strength, sargent jump, vitalcapacity, physical work capacity, whole respones time and flexibility. The result of the study are as follow as: 1. The study shows that the swimming group of visual handicap students are higher score then non swimming group students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in score of sargent jump and physical work capacity. 2. The swimming group of visual handicapped students showed higher score then non swimming group of normal students with significant difference in left grip strength, back strength, vitalcapacity, and physical work capacity. 3. The swimming gruop of visual handicapped students showed higher sore then swimming group of normal students in grip strength, back strength, sargent jump, vitalcapatcity, physical work capacity and flexibility, It showed not significant differnce. 4. THe non swimming group of visual handicapped students showed higher sore then swimming group in left grip of normal students, but it is not significant level.-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3 C. 연구의 제한점 = 3 D. 용어의 정의 = 4 Ⅱ. 이론적 배경 = 5 A. 시각장애의 정의 및 분류 = 5 B. 시각장애인의 일반적 특성에 관한 고찰 = 7 C. 시각장애인의 운동의 필요성과 운동능력 = 9 Ⅲ. 연구 방법 = 13 A. 연구대상 = 13 B. 측정기자재 = 14 C. 측정방법 = 15 Ⅳ. 연구결과 및 고찰 = 22 A. 시각장애학생 수영군과 비수영군의 체력상태 = 22 B. 시각장애학생 수영군과 일반중학생 비수영군의 체력상태 = 27 C. 시각장애학생 수영군과 일반학생 수영군의 체력상태 = 29 D. 시각장애학생 비수영군과 일반학생 비수영군의 체력상태 = 30 Ⅴ. 결론 = 32 참고문헌 = 34 Abstract = 3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0157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수영운동-
dc.subject시각장애-
dc.subject학생-
dc.subject체력-
dc.title수영운동이 시각장애학생의 체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기초적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study of the effect on physical fitness of swimming activity in visual disorder student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dc.date.awarded1993.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