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장진희-
dc.creator장진희-
dc.date.accessioned2016-08-25T01:08:51Z-
dc.date.available2016-08-25T01:08:51Z-
dc.date.issued1990-
dc.identifier.otherOAK-00000001725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276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7257-
dc.description.abstract외국어 교육의 목표는 외국어를 사용하여 의사전달을 할 수 있는 의사소통 능력 (communicative competence)을 개발하는 데 있다. 이것은 언어의 규칙과 형태에 관한 지식 (linguistic competence) 뿐 만 아니라 실제로 개인이 언어활동에 참여하여 기능적이고 상호적으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J. Cummis는 의사소통 능력을 인지적/학술적 언어능력 (Cognitive/Academic Language Proficiency: CALP)과 기본적인 개인간의 의사소통 기능 (Basic Interpersonal Communicative Skill: BICS)으로 구분하였다. CALP란 개인들이 당면하는 문맥 밖에서 언어의 표면 구조를 반영하거나 조작하는 능력을 말하고 BICS 란 개인간에 교류를 할 수 있도록 습득하는 의사소통능력이다. Cummins는 외국어 숙달 (second-language proficiency)이 인지적·문맥적으로 어려운 과업(cognitively contextually difficult task)과 인지적 요구가 덜 한 과업 (cognitively less demanding task)으로 구분된다고 하였다. 그리하여 아동들이 L_(2)를 습득함에 있어서 인지적인 요구가 많은 상황에서 언어 수행을 잘하기 위한 능력을 습득하기 이전에 각자의 의사소통 기능 (communicative skill)을 발전시키는 단계를 거친다고 가정하였다. Josine A. Lalleman 은 네덜란드어를 모국어로 하는 학습자와 외국어로 하는 학습자들의 서술 능력 (narrative proficiency)의 분석결과 L_(2)학습자들이 의사소통 기능을 사용하여 그들의 언어 수행이 L_(1) 학습자와 비슷한 수준을 나타냈음을 밝힌 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Lalleman 의 연구를 한국인 영어 학습자들에게 적용하여 학습 성취도가 다른 두 집단사이의 서술 능력의 차이를 비교해 보는 데 있다. 이 실험의 자료 수집을 위해 고등학교 2학년생 중 「수」 집단에 속하는 학습자와 「미」 집단에 속하는 학습자 15명씩을 선정하여 총 30명을 실험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에게 네 장으로 된 일련의 그림을 제시하여 이야기를 하게 하였다. 피실험자들의 이야기들은 녹음이 되었고, 그것을 문자로 기록하여 서술 분석 (narrative analysis)을 하였다. 대상자들의 서술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두 집단 중 「수」 집단이 그림으로 부터 끌어 낼 수 있는 정보를 좀 더 많이 제공 하였다. 2. 두 집단 모두 '이야기의 발단'을 표현 하늘 데 같은 전략을 사용하였다. 3. 두 집단이 '사건의 순서'를 표현하는 데 거의 비슷한 방법으로 시간적 순서를 나타내었다. 4. 모델이되는 표준적인 이야기와 비교해 볼 때, 이 표준적인 이야기에 포함된 정보를 표현하는 데 있어서 「미」집단이 「수」집단 보다 정보를 적게 제공했지만, 그 의미적 역할 (semantic load)을 적절히 표현하는 데 있어서는 「수」 집단의 학습자들과 거의 같았다. 이 실험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의사소통 능력은 언어적 기능과 의사 소통 기능을 수반하는 능력으로 문맥이 주어진, 인지적으로 쉬운 과업에서는 「수」 집단과 「미」집단 모두 의사소통 기능을 사용하여 언어 수행을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외국어 교육의 목표인 의사소증 능력 개발을 위해서, 실제 언어활동에서 의사소통 기능을 통해 언어적 기능을 익히는 것에 촛점이 맞추어 져야 할 것임을 제언한다.;The goal of English Language Education is to develop communicative competence in English. The concept of communicative competence includes not only the knowledge of linguistic rules but also the ability to communicate functionally and interactionally in socio-linguistic situations.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investigate English narrative proficiency of Korean students on the basis of Josine A. Lalleman's precedent study of narrative proficiency of L_(1) and L_(2) learner of Dutch. A test was administered to thirty Korean students in the second grade of high school. The half of the students belong to the high level group and another half belong to the average group. The four pictures were presented to the students and the stories were elicited from them and taped. This study has reached the following conclusions: 1. The high level group provided more amount of information, which was derived from the pictures than the average group. 2. Both groups used the same strategies to introduce 1st and 2nd character with respect to the expression of the setting. 3. Both groups followed the temporal order of events by using coordination and sequential enumeration. 4. The superior group offered somewhat more information that can be viewed as essential to the story, but the semantic load of the information they did offer was more or less identical to that of the average group. In short, the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were small, and they were shown to be caused by difference in grammatical rather than pragmatic proficiency. The linguistic skills of the average group were lower but their communicative skills at lowed them to perform almost as well as the high level group. This study was limited to the small test of English narrative 'efficiency, so the further study regarding the developmental ?t of narrative proficiency will be necessar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Ⅱ. 이론적 배경 = 3 A. 의사소통 능력과 서술 능력 = 3 B. Lalleman 의 연구 = 16 Ⅲ. 한국인 영어 학습자들의 영어 서술 능력의 실제 = 20 A. 실험대상 및 자료의 수집 = 20 B. 실험 결과 및 논의 = 23 Ⅳ. 결론 = 38 참고문헌 = 40 부록 = 42 ABSTRACT = 5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56066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영어학습자-
dc.subject영어-
dc.subject서술능력-
dc.subject한국인-
dc.title한국인 영어 학습자의 영어 서술 능력에 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Study on English NArrative Proficiency of Korean Student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어학교육전공영어교육분야-
dc.date.awarded1991.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