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6 Download: 0

학습과제의 제시방법이 운동학습에 미치는 효과

Title
학습과제의 제시방법이 운동학습에 미치는 효과
Other Titles
(THE) EFFECT OF DEFFERENT WAYS OF TASK PRESENTATION ON LEARNING A SERIAL MOTOR TASK
Authors
최재민
Issue Date
198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Keywords
학습과제운동학습SERIAL MOTOR TASK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운동학습조건중 연습방법에 따른 학습효과를 실험적으로 구명함으로서 학습효과를 극대화하는 적절한 연습방법을 알아보려는데 있다. 이를 위한 방법의 하나로서 기 연구된 선행 연구결과와 관련도서 및 논문을 중심으로한 문헌연구 결과를 토대로 하여 다음의 기본가설을 설정, 이를 검증하였다. 1. 여러개의 요소로 구성된 동작과제는 분활하여 부분적으로 연습(분습법)하는 것이 전체적으로 연습(전습법)하는 방법보다 연습단계의 수행에 더 효과적일 것이다. 2. 분습법은 전습법 보다 전이단계에 있어서 수행에 보다 효과적일 것이다. 이와같이 설정한 가설은 검증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J여상 1학년학생 30명을 대상으로 학습과제의 제시방법이 다른 3개 집단에 10명씩 배정하여 12분단을 연습시키는 3×12 반복측정요인설계 (3×12 Factorial Design with Repeated-measures on Trial)를 이용하여 실험하였다. 각 집단은 실험에 들어가기전 사전 검사를 받았으며 각기 다른 연습방법으로 매 10회 연습후 1회씩의 사후검사를 하여 총 120회의 연습에 따른 120회의 과제수행기록을 근거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학습과제의 분습에 따르는 수행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구체적으로 전습법의 방법에 의한 집단이 가장 수행효과가 좋았으며 시행효과 역시 1%의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2. 전이단계에서의 수행기록은 연습방법 효과와 시행분단 효과를 각각 1%의 수준에서 유의 하였다. 이와같이 결과는 각각의 세집단이 연습을 반복할수록 과제수행에 소요된 동작시간이 체계적으로 점감하였으며 동작시간의 감소현상은 전습법 집단에서 가장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그다음 분습법 Ⅰ, 분습법 Ⅱ 집단의 순으로 나타났다. 즉 전습법에 의한 연습방법이 운동학습에 가장 효과적이었음을 나타내고 있으며 전이단계에서도 전습법에 의한 연습방법 집단이 수행에 효과적이었음을 보여주고 있다.;The relative effectiveness of two contrasting ways ( whole vs. part)of task presentation was experimentally with a serial motor task, i.e., a sequential pressing task consisting of 15 nonsense letters KMQJZGTNSRCPFYV. Thirty subjects were equally assigned to three different task ractice conditions (3-letter part method, 5-letter part method ; whole method) in a 3x12 factorial design with repeated-measures on trails, The analyses of time to complete to type the whole sequence in both practice and transfer phases disclosed that: I) there was significant main effects for conditions and trails in both practice and transfer: 2) there was no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between condition and trial.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whole method is more effective than the part method in learning a serial motor task, with an implication that the effectiveness of fractionated practice would probably be a direct function of the nature of task to be learned, i.e., the task complexity and the inter-relatedness of task componen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