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3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랑규-
dc.contributor.author조정민-
dc.creator조정민-
dc.date.accessioned2016-08-25T01:08:34Z-
dc.date.available2016-08-25T01:08:34Z-
dc.date.issued2006-
dc.identifier.otherOAK-00000001294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259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2949-
dc.description☞ 이 논문은 저자가 원문공개에 동의하지 않은 논문으로, 도서관 내에서만 열람이 가능하며, 인쇄 및 저장은 불가합니다.-
dc.description.abstractUnlike other common forms of speech disorder, such as phonological disorder or dysphonia, stuttering has not been studied within the context of music therapy. Most cases of stuttering display no difficulty in singing, and fluency within the musical structure does not translate to fluency in speech. Hence, musical approach has been generally considered to be ineffective to the treatment of stuttering. However, the fundamentals of music therapy assume its extensive application in treating variety of speech disorders, including the case of stuttering. Presented in this paper are the case studies designed to validate the efficacy of music therapy as a remedy for stuttering. The study enrolled 6 children with stuttering and conducted 20 individual sessions over a period of 10 weeks. The sessions focused on the Melodic Intonation Therapy, Reinforcement of speech rhythm, song writing and singing. Musical elements were structured to enhance the verbal expression and rhythmic senses, as well as to facilitate the initiation of verbal communication. The result of the study was investigated in two ways. First, it was intended to measure that any significant changes occurred in disfluency in before and after of the intervention of music therapy program. And then it was checked how these changes have been grasped in the aspect during the session. Secondly, The changes in communication attitude in before and after of intervention of music therapy program was measured by using Communication Attitude Test. It was also measured the frequency of avoidance behaviors in each steps of the session. The changes in music structure was described quantitively.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it was noticed that the disfluency had been decreased in before and after of the music therapy in every child although the result was somewhat different depending the child. The overall result of the investigation shows the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And categorically speaking, the significant difference was checked in the frequency of the stuttering. In the steps of the session, the increase and decrease was happened repeatedly, and then after it was decreased little by little. Secondly, the Communication Attitude was decreased in before and after of the music therapy, and also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although the avoidance behavior was decreased in before and after of the music therapy, the increase and the decrease was repeated irregularly in the steps of session. All the results described above shows that music therapy gives positive effect to decrease in disfluency of stuttering child and also to develop the Communication Attitude. And new possibility and effectiveness can be proposed in the musical approach to the stuttering.;조음장애나 음성장애 등 다른 언어장애와는 달리 말더듬은 음악 구조 안에서는 나타나지 않는다는 특징을 보인다. 대부분의 말을 더듬는 사람들은 노래를 부를 때는 어려움을 보이지 않는다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음악 구조 안에서 드러난 유창성이 음악 외적 상황으로 전이가 되지 않기 때문에, 그동안 말더듬 치료의 음악적 접근은 무의미하다는 인식이 일반적이었다. 한편, 언어 영역에서의 향상을 목적으로 하는 음악치료의 기본 원리를 고찰한 결과, 말더듬 문제에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멜로디 억양 기법은 발화의 시작을 용이하게 하고, 언어 리듬 강화는 말더듬 아동의 깨어진 언어 형태에 리듬감을 도입하는데 효과적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또한 멜로디에 즉흥적인 가사를 넣어 노래를 완성하고 대화를 주고 받는 활동을 통해 말하기에 대한 흥미와 성공적인 경험을 제공하고 자신감을 회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말더듬 아동에게 위와 같은 원리를 기본으로 하는 음악 구조를 제공하여 비유창성을 감소시키되, 음악구조를 단계적으로 소거시켜 비유창성의 감소가 음악 외적 상황에서의 언어로 전이될 수 있는지를 확인함으로서 말더듬의 음악치료적 접근의 가능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6명의 사례 아동을 대상으로 10주에 걸쳐 총 20회의 개별 세션을 실시하였다. 음악치료의 프로그램은 멜로디억양 기법과 언어 리듬 강화, 노래 완성하기 등을 기본으로 하는 활동으로 구성되었다. 구조화된 음악은 아동의 언어 산출과 언어 리듬 감각을 촉진하고, 발화의 시작을 부드럽게 함으로서 성공적인 언어 경험을 증가시키기 위해 제공되었다. 연구의 결과는 두 가지 차원에서 검토되었다. 첫째, 말더듬 평가도구를 사용하여 프로그램 개입 전ㆍ후로 비유창성에 유의미한 변화가 있는지를 측정하였고 이러한 변화가 세션 단계별로 나타난 양상을 파악하였다. 둘째, 의사소통 태도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의사소통 태도 검사를 이용하여 프로그램 개입 전ㆍ후의 의사소통 태도 변화를 측정하였고, 세션 단계별로 회피행동의 빈도를 측정하였다. 이외에도, 음악 상황 내에서의 변화를 질적으로 기술하였다. 결과는 첫째, 음악치료 개입 전ㆍ후로 모든 아동에게서 정도의 폭은 다르나 비유창성이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검사의 총점으로 볼 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영역별로는 말더듬 횟수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세션 단계별로는 증가와 감소를 반복하면서 점차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둘째, 음악치료 개입 전ㆍ후로 의사소통 태도가 감소되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음악치료 개입 전ㆍ후로 회피 행동의 감소하였으나 세션 단계별로는 증가와 감소를 반복하는 등, 불규칙적인 양상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말더듬 아동의 비유창성 감소와 의사소통 태도 향상에 음악치료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말더듬의 음악적 접근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과 효과를 제안할 수 있겠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1 B. 연구 문제 = 5 Ⅱ. 이론적 배경 = 6 A. 말더듬의 개념과 특성 = 6 1. 말더듬의 정의 = 6 2. 말더듬의 증상 = 7 3. 말더듬의 원인 = 9 4. 말더듬의 치료 = 10 B. 말더듬의 음악적 접근 = 13 1. 멜로디 억양 기법 = 14 2. 언어 리듬 강화 = 16 3. 노래부르기 = 20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 24 A. 연구 대상 = 24 B. 검사 도구 = 26 1. 대상자 특성 측정 도구 = 26 2. 대상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도구 = 27 C. 연구 방법 및 절차 = 31 1. 연구 기간 = 31 2. 연구 방법 = 31 3. 평가 = 31 D. 프로그램의 원리 및 구성 = 33 1. 프로그램의 원리 = 33 2. 프로그램의 기본 활동 = 33 3. 프로그램의 구성 = 45 Ⅳ. 결과 = 47 A. 비유창성의 변화 = 47 1. 프로그램 개입 전ㆍ후 변화 = 47 2. 개별 사례의 치료 회기별 변화 = 48 B. 의사소통 태도 변화 = 55 1. 의사소통 태도 검사 결과 = 55 2. 회피행동의 변화 = 56 C. 음악 구조 안에서의 변화 = 58 1. 비유창성 = 58 2. 발성 = 59 3. 호흡 = 59 4. 어휘와 표현 = 60 Ⅴ. 결론 = 62 A. 결론 = 62 B. 연구의 제한점 = 65 참고문헌 = 66 Abstract = 7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3960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말더듬 아동을 위한 음악치료적 접근 방법-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rapeutic approach of music for stuttering children-
dc.creator.othernameCho, Jung Min-
dc.format.pagev, 83-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치료교육전공-
dc.date.awarded2006.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