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7 Download: 0

자폐성 아동의 노래만들기를 통한 자발적 언어표현 증진 사례연구

Title
자폐성 아동의 노래만들기를 통한 자발적 언어표현 증진 사례연구
Other Titles
A cas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xpressive language of children with autism through song writing
Authors
송성민
Issue Date
200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현주
Abstract
Language and communication disorders are common to almost every autistic child and raise problems across many different scopes. The children with such disorders lack in expressive language compared to receptive language and have much difficult in expressing voluntarily according to situations. Thus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autistic children with certain speaking abilities and lacking skills of voluntary expression and to apply the method of making songs to help improve their voluntary verbal expressions. The verbal expressions taught in a situation of music therapy would be extended to a nonmusical situation to see the changes to their verbal expressions. The subjects were chosen from the children on the waiting list to receive music therapy at S Welfare Center for the Disabled in Seoul. The selection criteria included certain speaking abilities and basic learning skills needed to read and write to make songs. Using the Childhood Autism Rating Scale(CARS), the autistic children with mild symptoms whose scores ranged from 30 to 36 were first selected. Then the Preschool Receptive-Expressive Language Scale(PRES) was used to pick those who could command expressive language at the level of three to six year olds. A session was given twice a week. Total 22 sessions were given and each session lasted 30 minutes. There were two stages; Stage 1 concerned knowing and expressing myself, while Stage 2 was comprised of activities of perceiving and expressing the surrounding environment. Consisting of total 12 sessions, Stage 1 contained six songs and encouraged the children to fill the missing lyrics with their own ideas and opinions. Consisting of ten sessions, Stage 2 employed creative children's songs to teach them total five songs and induce them to replace certain lyrics with their own ideas and opinions to the melodies. The PRES was used to measure the children's overall improvement in language skills before and after music therapy. At each session the investigator checked the observation log for verbal responses to measure the performance rates of voluntary verbal expressions. Each activity was designed to repeat twice, and the performance rates of the latter one were measured. Employed to measure the voluntary performance rates of the children in a nonmusical environment was the inventory of voluntary verbal expressions developed by the investigator. With the help from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at the children's institution, the inventory was used once a week for ten weeks. After an interval of a couple of weeks since the completion of musical therapy, another round of measurement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tention of their voluntary verbal expressions.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music therapy using the method of making songs resulted in significant development and improvement in the children's expressive and receptive language. All of the three children were short of expressive language compared to receptive language, but there were apparent advancements after the music therapy. Subject A improved by seven months from 58-month level to 65-month level, Subject B by nine months, which was the biggest improvement, from 54-month level to 63-month level, and Subject C by eight months from 44-month level to 52-month level. Subject B, who had much interest in others and singing, accomplished the greatest improvement. And Subject C, who had much autistic tendency, improved in verbal expressions by as many as eight months, which was very significant. Second, the results on the observation log for verbal responses in a situation of music therapy revealed that their voluntary performance rates in such a situation were higher than those in a general situation with no musical interventions. The voluntary performance rates increased by more than 20% in all of the three children including even Subject C whose autistic tendency was greater than the others. Third, the verbal expressions taught in a situation of music therapy led to increase to the number of voluntary performance in a nonmusical environment, which was significant. That proves the voluntary verbal expressions encouraged and learned in a situation of music therapy can be generalized. Given those results, it's apparent that the music therapy program using the method of making songs had treating effects on the children's improvement in voluntary verbal expressions. It's also implied that music therapy can serve as a useful treating means in improving, generalizing, and retaining the voluntary verbal expressions of autistic children.;언어 및 의사소통의 장애는 거의 모든 자폐성 아동에게 나타나는 현상이며 다양한 범위에 걸쳐 문제를 보이고 있다. 특히 수용언어에 비해 표현언어가 부족하고, 상황에 맞게 자발적으로 표현하는 데에 많은 어려움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일정한 구어능력은 있으나 자발적으로 표현하는 기술이 부족한 대상자들을 중심으로 노래만들기를 통한 자발적 언어표현 증진에 목적을 두어 연구하였다. 특히 음악치료 상황안에서 학습한 언어표현을 비음악적 상황으로까지 일반화시킴으로써 아동의 언어표현에 변화를 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들은 서울시 S장애인 복지관에 음악치료를 받고자 대기한 아동중에서 일정한 구어능력이 있으며, 노래만들기를 위해 글을 읽고 쓰는 기본적인 학습기술을 가진 아동을 선정하였다. 선정도구로는 자폐증 평정척도(CARS)를 사용하여 30~36점 사이에 있는 경증 자폐 아동을 선정하였으며, 취학전 아동 수용언어와 표현언어 발달 척도(PRES)를 사용하여 3~6세 사이의 표현언어를 구사하는 아동을 선정하였다. 세션별 음악치료 프로그램은 주 2회 30분씩 개별적으로 총 22회 이루어졌으며, 단계를 2단계로 나누어 1단계에서는 나를 알고 표현하기, 2단계에서는 나를 둘러싼 환경을 인식하고 표현하기로 구성하였다. 1단계는 12회기로 이루어져 총 6곡의 노래를 사용하여 노래 가사의 일부분을 대상자가 자신의 생각이나 의견으로 자발적으로 채워 넣게 유도하였으며, 2단계는 10회기로 이루어져 창작동요를 사용하여 총 5곡의 노래를 배우고 가사의 일부분을 자신의 생각이나 의견으로 바꾸어 멜로디에 맞게 표현하도록 유도하였다. 음악치료 전·후 아동의 전반적인 언어발달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취학전 아동 수용언어와 표현언어 발달 척도(PRES)를 사용하였으며, 세션의 진행에 따라 각 회기별로 대상자의 언어적 반응 관찰기록지를 체크하여 자발적 언어표현 수행율을 측정하였고, 각 활동을 2회기에 걸쳐 반복하여 수행하도록 계획해 짝수회기의 수행율을 측정하여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비음악적 환경에서 대상자의 자발적 수행율을 측정하고자 치료사가 만든 자발적 언어표현 수행수 측정도구를 대상자가 속한 교육기관 특수교사의 도움으로 주 1회씩 총 10회 측정하여 결과를 나타내었고, 음악치료 종결후 자발적 언어표현의 유지를 알아보고자 1~2주 휴지후 다시 한번 결과를 측정하도록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래 만들기를 사용한 음악치료가 대상자의 표현언어와 수용언어에 유의미한 발달과 향상을 가져왔다. 세 명의 대상자 모두 수용언어에 비해 표현언어가 부족했지만 음악치료후 표현언어에 있어 대상자 A는 58개월에서 65개월로 7개월의 향상을 가져왔고, 대상자 B는 54개월에서 63개월로 가장 많은 9개월의 향상을 가져왔고, 대상자 C는 44개월에서 52개월로 8개월의 향상을 가져왔다. 그 중 타인에 대한 관심과 노래 부르기를 좋아하는 아동 B는 가장 높은 향상을 가져왔고, 자폐적 성향이 많이 나타난 대상자 C도 8개월의 표현언어 향상을 나타내어 언어 능력 발달에 의미있는 변화를 나타내었다. 둘째, 음악치료 상황내에서 아동의 언어적 반응 관찰기록지를 기록한 결과 음악 적 개입이 없는 일반적인 상황안에서의 자발적인 언어표현 수행율보다 노래 만들기 상황안에서의 자발적 언어표현 수행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 이것은 자폐적 성향이 비교적 높은 대상자 C를 비롯해 세 명의 대상자 모두 자발적 수행율이 20%이상 향상되는 결과를 통해 입증되었다. 셋째, 음악치료 상황에서 익힌 언어적 표현이 비음악적 환경에서의 자발적 수행수의 증가로 이어지는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음악치료 상황에서 유도하고 학습한 자발적 언어표현에 일반화가 이루어졌음을 나타내는 중요한 결과이다. 이러한 결과를 비추어 볼 때 노래만들기를 활용한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대상자들의 자발적 언어표현 증진에 치료적 효과를 나타내었고, 이것은 자폐성 아동의 자발적 언어표현의 증진과 더불어 비음악적 환경에서 일반화, 유지하는데 있어 음악치료가 유용한 치료적 수단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