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5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최경희-
dc.contributor.author유현경-
dc.creator유현경-
dc.date.accessioned2016-08-25T01:08:28Z-
dc.date.available2016-08-25T01:08:28Z-
dc.date.issued2006-
dc.identifier.otherOAK-00000001290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253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2906-
dc.description.abstractFavorable class in science class is the thing which students should be satisfied intellectually and emotionally, also they can play important roles to the class as well as there should be interacts between their teacher and students. However, the science class which has been doing on the spot are attached important to amount of information delivered, and which are made up the cramming informational education without having respect to the students' preceding information. Constructivism which has emphasized students' initiative meaning organization and learning processing has thought that learners can build up the knowledges positively through conative interactions with their environment, social Constructivism takes a serious about a teacher's language to make up knowledges especially. In this study, as a teacher asks divergent questions and convergent questions of students in science class, what differences happened was researched when a teacher asks divergent questions and convergent questions among scientific learning achievement , scientific attitude teachers and students' interactions. An object of study is 76 students of two class in first grade students of Kochon middle school in Ui-Wang city. The class called experimental class which a teacher asks divergent questions, and the other class was called controlled-class that a teacher asks convergent questions with same contents. "Ⅹ. Various Power" is pertinent unit, and it was carried out for 5 weeks(16 time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re aren't meaningful differences in learning achievement as styles of questions. Also, as compared with the students who were received convergent questions, the other students haven't shown in scientific learning achievement, through it is not meaningful statistically, the grade of controlled-class improved more. The students who were asked divergent questions could have more pleasant than the students who were asked convergent questions(p<.50), the participation about class such as debates or questions was risen in class.(p=.00) However, the difference of two classes isn't significant, the controlled class showed more improvement in post-test than a divergent class. As divergent questions might have many chances to between a teacher and students with interviews, a divergent questions can be effective to raise the teacher-students' interactions. Thus, though how a teacher asks question doesn't have much impact, the class which was asked divergent questions could have more pleasant, it is not significant stastically but scientific attitudes went to positive ways. Also, as divergent questions are more effective to raise interact between a teacher and students, systematic and lasting study is needed of teachers' questions to raise interactions between a teacher and students.;과학 수업에서 좋은 수업이란 학생들이 지적 · 정서적으로 만족하며 학생들이 주도적으로 참여하고 교사와 학생사이의 상호작용이 있는 수업이다. 그러나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과학수업은 많은 양의 정보전달에 치중하고 있으며 학생들의 선행지식이 고려되지 않은 상태에서 주입식의 정보전달이 이루어지고 있다. 학습자의 능동적인 의미구성과 학습의 과정을 중시하는 구성주의적 관점에서는 학습자가 환경과의 능동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지식을 적극적으로 형성해 나간다고 보는데 특히 사회적 구성주의에서는 지식의 형성에서 교사의 언어를 매우 중시한다. 본 연구에서는 과학수업 중 교사가 발산적인 질문과 수렴적인 질문을 했을 때 두 집단의 과학학업 성취와 과학 태도 및 교사와 학생 간 상호작용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그 결과를 조사하였다. 연구 대상은 의왕시에 위치한 고천중학교 1학년 학급 2개반 76명이며 과학 수업 중 교사가 발산적인 질문을 실시한 집단을 실험반으로, 실험반과 같은 내용의 수업을 하되 수렴적인 질문을 실시한 반을 통제반으로 하였다. 해당 단원은 ‘Ⅹ. 여러가지 힘’이며 5주 (16차시)에 걸쳐 수업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질문의 유형에 따른 과학 학업 성취도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태도면에 있어서 발산적인 질문을 실시한 학생들은 수렴적인 질문을 실시한 반에 비해 과학과목을 더 즐겁게 생각하였으며(p<.05), 수업 중 토론과 질문을 하는 등 수업시간에 대한 참여도가 증가하였다(p<.05). 과학적인 태도에 대해서는 두 반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실험반이 통제반에 비해 사후 검사에서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학생들과의 인터뷰를 실시한 결과 발산적 질문을 통해 교사와 학생의 대화의 기회가 많아지므로 교사-학생 간의 상호작용을 높이는데 효과가 있었다. 이와 같이 과학 수업에서 교사의 질문방식 차이가 과학 학업성취에 큰 영향을 주지는 않았으나 발산적 질문을 실시한 반의 학생들이 과학 수업에 더 즐겁게 참여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으나 과학에 대한 태도도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을 높이는데도 발산적인 질문이 효과적이므로 교사의 질문에 대한 보다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2 C. 연구의 제한점 = 3 Ⅱ. 이론적 배경 = 4 A. 구성주의와 과학교육 = 4 B. 교실수업의 담론 = 5 C. 질문법 = 7 D. 선행 연구 = 15 Ⅲ. 연구방법 및 절차 = 18 A. 연구대상 = 18 B. 연구방법 = 18 C. 검사도구 = 19 D. 연구절차 = 21 Ⅳ. 연구결과 및 논의 = 27 A. 과학 학습에 대한 성취도 결과 = 27 B. 과학 수업 및 과학적 태도 검사 결과 = 28 C. 교사의 질문 및 교사-학생 상호작용에 대한 인터뷰 내용 분석 = 46 Ⅴ. 결론 및 제언 = 62 참고문헌 = 65 부록 = 68 ABSTRACT = 8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60623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과학수업에서 교사의 질문방식이 학생들의 학업성취와 태도 및 교사-학생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Influence of Teacher's Questions Form for Students' Learning Achievement, Attitude and Teacher-Student's Interaction-
dc.creator.othernameYoo, Hyun Kyung-
dc.format.pageⅷ, 83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물리교육전공-
dc.date.awarded2006.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물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