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28 Download: 0

음운단기기억 능력과 학습자 성향 및 구두반복 학습이 한국 중학교 학생들의 영어 어휘 학습에 미치는 영향

Title
음운단기기억 능력과 학습자 성향 및 구두반복 학습이 한국 중학교 학생들의 영어 어휘 학습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Effects of Phonological Short-Term Memory, Learning Styles and Oral Repetition on English Vocabulary Learning
Authors
김서종
Issue Date
200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연희
Abstract
Vocabulary is the basic building block of language, and vocabulary learning is one of the fundamental tasks for learners of native, second, or foreign languages. So vocabulary plays an important role in foreign language learning. Although there is now a substantial body of research on L2 vocabulary acquisition, it seems that some important factors have not been fully investigated so far in SLA. For example, due attention has not been paid to the individual differences in cognitive skills involved in L2 vocabulary acquisition. L2 learners are very different from one another in cognitive aspects and these differences determine the L2 proficiency achieved by each learner. This study focuses on the role of one of the L2 learners' cognitive skills, the phonological short-term memory(PSTM) capacity, in L2 vocabulary learning. It may be able to offer a clue to the understanding of individual differences concerned with L2 vocabulary learning. The main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ole of the PSTM in L2 acquisition and also the effects of PSTM, the learning styles, and oral repetition on English vocabulary learning. For this study seventy-nine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PSTM capacity, English vocabulary knowledge, grades for an English course in the previous year and the students' learning styles were collected. On the basis of the result of an English vocabulary knowledge test, twenty target words were chosen. Through the two vocabulary learning sessions, the students conducted two types of learning tasks: one was composed of semantic learning and oral repetition of target words, whereas the other contained only semantic learning. The stud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visual and auditory, on the basis of their learning styles. Also the students were divided into two levels on the basis of their PSTM capacity: higher PSTM and lower PSTM. Vocabulary learning was assessed immediately after learning sessions and two weeks thereafter. Both of the posttests measured the retention of the target words, forms and meanings separately. The data were analyzed by a correlational analysis, three-way MANOVA and one-way ANOVA.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PSTM capacity and their English vocabulary knowledge. Second, there was a minor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PSTM capacity and their learning styles. This means that the learners who are close to the auditory type have a higher PSTM capacity. Third, the statistics related to the effects of PSTM, the learning styles, and oral repetition on English vocabulary learning was significant only to the PSTM capacity. This result indicates that students with a higher PSTM capacity learned significantly more words than those with a lower one. Therefore, an individual's PSTM capacity might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on him or her at least in terms of L2 vocabulary learning. For example, it might be used as a subcomponent in a measure of his or her aptitude for L2 learning. It may also be useful in diagnosing the problems of the individuals who have extraordinary difficulty learning L2 vocabulary.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inter-effects between each independent variables. So each of six dependent variables--spelling, L2-L1 and L1-L2 of the immediate and delayed posttest--were analyzed. The result was that students who performed both oral repetition and semantic learning learned significantly more words than those who did only semantic learning. Therefore, to use oral repetition in teaching new vocabulary is in some degree necessary and would be useful. Fourth, except for the learning styles, the result of the effects of PSTM, oral repetition on English vocabulary learning were that the students with a lower PSTM capacity learned more words and remembered target words for a longer time than those with a higher PSTM capacity. Therefore, it would be advantageous to take into account the foreign language learner's PSTM capacity in developing suitable vocabulary learning activities. For example, simple oral repetition of new words would be able to significantly contribute to word learning by the learners with a lower PSTM capacity. Fifth, the result of in-depth interviewing abou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that most of students had a positive opinion about vocabulary oral repetition. Particularly, the auditory type students who had a higher PSTM capacity reported that oral repetition was helpful. Whereas, the visual type students liked to write it down repeatedly to memorize new words. Therefore, the various types of tests should be administered taking into account students' learning styles.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at PSTM is a meaningful factor in understanding of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English vocabulary learning. Also oral repetition and the PSTM capacity, except for learning styles, affected the English learning significantly. Therefore, it would be advantageous to take into account the foreign language learners' PSTM capacity in developing suitable vocabulary learning activities. Oral repetition in learning new vocabulary would be required to some extent as well.;어휘는 언어학습의 기초가 되고 어휘 학습은 모든 언어에서 이루어지는 기본적인 과제로 외국어 교육에서 어휘의 역할은 중요하다. 비록 제 2언어의 어휘습득에 관한 연구가 지금까지 많이 진행되어 왔지만, L2 어휘습득에 있어서 인지적인 능력의 차이를 다루는 연구에 대한 관심은 많이 소홀해 온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최근에 제 2언어의 어휘 학습에 있어서 인지적인 능력과 관계된 음운기억에 대한 관심이 언어분야로 확대되면서 음운기억과 특정 언어 영역간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다. 학습자들은 개인마다 인지적인 능력과 학습 성향이 다르고 언어학습 성취도가 다르다. 따라서 제 2언어의 어휘 학습에 있어서 인지적인 능력과 관계된 음운단기기억(phonological short-term memory)의 역할과 관련지어 연구해 보는 것은 L2 어휘학습에 있어서 개인적인 차이에 대한 이해를 돕는 데 중요한 실마리를 제공할 수 있으리라 여겨진다.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3학년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L2 어휘 학습에 있어서 음운단기기억의 역할을 살펴보고, 음운단기기억 능력과 학습자 성향, 새로운 영어 어휘 구두반복 학습에 따라 영어 어휘 학습의 효과가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79명의 한국 중학교 학생들의 음운단기기억 능력, 어휘지식 수준, 전년도 영어 과목 성적, 학습자 성향 검사 결과 자료가 수집되었고, 20개의 영어 목표 어휘가 선정되었다. 구두반복이 영어 어휘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2회에 걸쳐 실험 집단의 학습자들에게는 새로운 어휘에 대한 의미적 학습과 구두 반복이 모두 포함된 학습과업을 제시하고, 통제 집단의 학습자들에게는 어휘에 대한 의미적 학습으로만 구성된 학습과업을 제시하였다. 또 학습자 성향과 음운단기기억 능력이 어휘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학습자 성향에 따라 시각 집단과 청각 집단으로 분류하였고, 음운단기기억 능력에 따라 상위 집단과 하위 집단으로 나누었다. 어휘 학습에 대한 평가는 학습 활동 직후와 2주 후에 2회 실시되었으며, 실험집단의 일부 학생들을 대상으로 어휘 학습 습관과 새로운 어휘의 구두반복 학습 활동에 대한 다양한 반응을 보다 면밀히 알아보기 위해 심화 설문 면담도 실시하였다. 평가요소는 어휘 형태의 학습을 측정하는 문항과 어휘 의미 학습을 측정하는 문항을 포함하여 철자, 영한(L2→L1), 한영(L1→L2)으로 구성하였다. 본 실험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중학교 학습자들의 음운단기기억 능력과 기존의 영어 어휘 지식수준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음운단기기억 능력과 학습자 성향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여 청각적 학습 성향과 음운단기기억 능력이 밀접한 관계에 있음을 보여 주었다. 셋째, 음운단기기억 능력, 학습자 성향, 어휘의 구두반복 학습 유무에 따른 영어 어휘 학습의 효과는 음운단기기억 능력만 유의수준 5% 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여, 음운단기기억 능력이 뛰어난 학습자들이 그렇지 않은 학습자들에 비해 영어 어휘 학습의 효과가 더 높음을 보여주었다. 넷째, 어휘 구두반복 학습과 의미적 학습을 모두 수행한 실험집단 학생들이 의미적 학습만 수행한 통제 집단 학생들보다 더 많은 어휘를 학습하여 어휘의 구두반복 학습을 활용한 수업이 영어 어휘 능력 향상에 효과적임을 보여 주었다. 다섯째, 음운단기기억 능력이 낮은 집단은 사후 장ㆍ단기 평가 모두에서 어휘의 구두반복 학습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음운단기기억 능력이 높은 학생들은 사후 단기 평가에서만 어휘의 구두 반복 학습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음운단기기억 능력이 낮은 집단의 경우, 영어 어휘 지식이 부족하고 학습 능력이 부진한 학습자들이 많았는데 어휘의 구두반복 학습이 어휘 학습의 효과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되었던 것으로 해석된다. 반면 음운단기기억 능력이 높은 집단의 경우, 여러 가지 어휘 학습 전략을 사용하는 우수한 학생들이 많아 상대적으로 구두반복 학습의 효과가 덜했던 것으로 해석된다. 여섯째, 심화면담을 실시한 결과에서는 대부분의 학생들이 영어 어휘 구두반복 학습 활동은 단어의 발음을 익힐 수 있게 되고, 단어를 더 오래 기억하는 데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고 답했다. 특히 사후 면담에 응한 높은 음운단기기억 능력을 지닌 청각적 학습 성향의 학습자들은 모두가 구두반복 학습 활동이 아주 많은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한 반면, 시각적 성향이 두드러지는 학생은 구두반복 학습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이었는데 이들 학습자는 단어를 쓰면서 외우는 방법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L2 어휘 학습에서 음운단기기억 능력의 역할은 중요하며, 통계적으로는 학습 성향을 제외한 나머지 음운단기기억 능력과 구두반복 학습은 영어 어휘 학습 효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사후 심화면담에서는 높은 음운단기기억 능력을 지닌 청각적 학습 성향의 학습자들이 모두 구두반복 학습 활동이 아주 많은 도움이 된다고 응답하였고, 어휘 학습 습관과 어휘 시험 방식에서 학습자 성향이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해 보자면 음운단기기억 능력과 학습자 성향은 한국 중학교 학생들의 영어 어휘 학습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요인이며 구두반복의 효과가 음운단기기억 능력에 달려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따라서 외국어 학습자들의 음운단기기억 능력과 학습자 성향을 고려하여 적절한 어휘 학습활동을 개발할 필요가 있으며, 어휘를 학습할 때 어느 정도의 구두반복 학습은 어휘 학습의 효율을 높이는 데 공헌할 것이라 여겨진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