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승희-
dc.contributor.author백기엽-
dc.creator백기엽-
dc.date.accessioned2016-08-25T01:08:23Z-
dc.date.available2016-08-25T01:08:23Z-
dc.date.issued2006-
dc.identifier.otherOAK-00000001293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248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2937-
dc.description.abstract특수교육 요구아동에게 교육의 기회와 교육적·법적인 혜택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이들을 특수교육대상자로 선정하는 절차가 필요하다. 학령기에는 생애 초기에 발견되는 가시적인 장애가 있는 아동들과는 달리 경도 정신지체, 학습장애, 정서장애 학생들이 전체 장애아동 중에서도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 이러한 학령기 특수교육 요구아동을 특수교육대상자로 선정하기 위해서는 학급 내에서 특수교육 요구아동을 선별한 후에 대상 학생에 대한 개별적인 진단·평가를 실시하여 그 결과로 특수교육 적격성을 심사하는 절차를 거쳐야 한다. 현재 우리나라 특수교육 분야에서는 특수교육 요구학생 선정·배치 절차의 적합성 결여 문제와 교육기회의 지역 간 불균형을 문제점으로 지적하고 있다. 특수교육대상자의 선정과 관련된 선행연구들에서는 특수교육대상자 선정 과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일반적으로 지적하였으나 지역 격차의 관점에서 이루어진 연구는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국 초등학교들을 대상으로 학교의 소재지에 따라 각 학교에서 특수교육대상자를 선정하는 과정의 실태(특수교육대상자 선정을 위한 진단·평가의 일반사항, 특수교육대상자 진단·평가 절차, 특수교육 적격성 판정, 특수교육대상자 선정 관련 기구)를 조사하고, 지역 간 실태 차이를 알아보고, 학교 소재지에 따른 특수학급 교사들의 개선요구의 차이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특수학급이 소재한 전국 초등학교의 특수학급 교사들 총 306명이었고 연구자가 여러 단계를 걸쳐 개발한 <특수교육대상자 선정 과정의 전국 실태 및 개선요구 조사 질문지>를 연구도구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질문지 응답은 학교의 소재지에 따라 서울·광역시와 시·군 2가지로 나뉘어 분석되었다. 자료의 분석을 위해 실태를 알아보는 문항은 x2검증을 실시하였고, x2검증의 전제조건에 부합하지 않는 문항에는 빈도와 백분율만 제시하였다. 특수교육대상자 선정 과정의 개선요구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에 관한 문항은 하위항목별로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여 t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육대상자 선정 과정의 실태에서 학교 소재지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항목은 특수교육대상자 선정을 위한 진단·평가 실시 시기, 특수교육대상자로 의뢰된 학생들에게 실시하는 학업성취도 평가의 종류, 학업 및 성취검사 및 적응행동·사회성 검사도구의 사용이유, 진단·평가 결과의 활용 2순위, 학교 진단·평가위원회의 설치비율 및 지역교육청의 지원이다. 서울·광역시와 시·군 간에는 그 실태가 다르게 나타났다. 반면에 그 이외의 실태 문항들에서는 두 지역에서 비슷한 반응경향을 보였다. 특수교육대상자 진단·평가시 의뢰된 학생들에게 가장 먼저 실시하는 선별 검사는 학업성취도 평가였다. 특수학급 교사들이 특수교육대상 학생의 진단·평가에 가장 자주 사용하는 개인별 검사 도구는 지능검사의 경우 K-WISC-Ⅲ를, 학업 및 성취검사는 기초학습기능검사를, 적응행동 및 사회성 검사는 사회성숙도 검사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었다. 특정 검사도구를 자주 사용하는 이유는 실시 방법에 익숙해져 있기 때문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특수교육진흥법 시행령의 특수교육대상자 진단·평가·심사 및 선정 기준으로 특수교육 적격성을 판별하는데 있어서, 시각장애와 청각장애의 기준은 유용하다고 생각하는 반면에 학습장애의 경우 가장 낮은 평균점수를 보였다. 학교 진단·평가위원회는 형식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경우가 많았으며 특수교육운영위원회에서는 특수교육대상자 최종 심사 및 선정 이외의 별다른 지원을 하고 있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특수교육대상자 선정 과정의 개선요구 사항에 있어서 서울·광역시보다 시·군의 교사들이 학생의 의뢰전 중재, 특수교사 대상의 진단평가 연수 및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진단·평가 지원 항목에서 개선이 더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들에서 꾸준하게 지적된 교육기회의 지역 격차와 특수교육대상자 선정 과정의 낙후성을 토대로 특수교육대상자 선정 과정 실태가 학교 소재지에 따라 차이를 보일 것으로 예상했다. 그러나 응답이 지역 간의 차이가 없이 전반적으로 동일한 경향성을 보여 특수교육대상자 선정의 실태가 전국적으로 낙후되어 있음을 발견하였다. 개선요구 사항에 있어서는 14개 항목 모두 필요하다고 응답하였으며 그 중 4개 항목에서 시·군 교사들이 서울·광역시보다 개선요구 사항을 더 필요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나머지 10개 항목에서는 지역 간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전국적으로 지역 간의 차이 없이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들이 특수교육대상자 선정과 관련하여 개선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반영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urrent selection process of special education candidate children by regions across the nation, to see if there were any gaps among the regions, and to identify the differences among the regions in the special class teachers' demands for improvement. The subjects were total 306 teachers that ran a special class at elementary schools around the nation and filled out a research tool which was developed by the investigator in several stag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after they were grouped into those from Seoul and metropolitan cities and those from cities and gun's. The data regarding the current selection process were put to χ² test, and those that didn't fit the preconditions for χ² were analyzed in frequency and percentage. And those items concerning the teachers' perceptions of the demands for improving the current selection process were treated for means and standard deviation by the subitems and t-tested.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items tha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school locations in the selection process of special education candidate children are as follows: the time of diagnosis and evaluation to select special education candidate children, kinds of academic achievement evaluations administered to the candidate students, reasons for using the study and achievement test and adaptive behavior or sociality test, the second most popular reason for using the diagnosis and evaluation results, and ratio of school-based diagnosis and evaluation committees and support from the regional educational agencies. The current selection process differed between Seoul and metropolitan cities and cities and gun's in certain items, but there were similar reactions between them in other items. The first test administered to the students referred for diagnosis and evaluation for special education was academic achievement assessment. The most popular inventories used in diagnosing and evaluating candidate children by the special class teachers include K-WISC-III for intelligence, study and achievement inventory for basic learning abilities, and adaptive behavior and sociality inventory for social maturity. The biggest number of the teachers said they used certain inventories most because they were accustomed to their administration. They believed the criteria of visual and acoustic disturbance were useful in deciding the candidate children's qualification for special education to diagnose, evaluate, examine, and select those who would receive special education in the enforcement ordinance of Special Education Promotion Act. The learning disorder had the lowest mean scores. It's a common case that the school-based diagnosis and evaluation committees were in formal operations and that they didn't offer supports other than final review and selection of special education candidate children. Second, as for the demands for improving the selection process, the teachers from cities and gun's were more aware of the need to improve the intervention before referral, in-service training of diagnosis and evaluation for special class teachers, and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support in diagnosis and evaluation than the teachers from Seoul and metropolitan cities. It's assumed in the initial stage of this study that there would be differences in the selection process of special education candidate children among the regions due to the gaps in educational opportunities among the regions and the poor out-of-date selection process, which had been discussed in the previous studies. But the analysis results reveale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among the regions but the same tendencies overall, which demonstrates that the selection process of special education candidate children are poor and out-of-date across the nation. The special class teachers that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swered that all the 14 items needed improvement. Four of them were deemed to need more improvement by the teachers in cities and gun's than those in Seoul and metropolitan cities. The rest ten items resulted in no gaps among the regions. It's thus argued that the special class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 felt the need to improve the selection process of special education candidate children regardless of the region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ⅸ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5 C. 용어 정의 = 6 Ⅱ. 이론적 배경 = 7 A. 학령기 특수교육 요구 아동 = 7 B. 특수교육대상자 진단·평가의 단계 = 10 1. 특수교육 대상 학생의 선별 = 13 2. 개별 학생의 진단·평가 실시 = 15 3. 특수교육 적격성 여부 결정 = 17 C. 현행 특수교육대상자 선정 관련 사항 = 17 1. 특수교육대상자 선정의 법적 근거 = 18 2. 특수교육대상자 선정 기준 및 선정 절차 = 18 3. 특수교육대상자 심사·선정·배치 관련 기구 = 22 D. 지역에 따른 특수교육 기회의 제한성 = 26 E. 특수교육대상자 선정 관련 국내 선행연구의 동향 = 29 Ⅲ. 연구방법 = 34 A. 연구 대상 = 34 B. 연구 도구 = 36 C. 연구 절차 = 43 D. 자료 처리 = 43 Ⅳ. 연구결과 = 45 A. 학교 소재지에 따른 초등 특수교육대상자 선정 과정의 실태 = 45 B. 학교 소재지에 따른 특수교육대상자 선정 과정의 개선요구 사항에 대한 특수학급 교사들의 인식 = 75 Ⅴ. 논의 및 제언 = 79 A. 논의 = 79 B. 제한점 = 89 C. 제언 = 90 참고문헌 = 91 부록 = 96 Abstract = 10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2359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초등학교 특수교육대상자 선정 과정 실태 및 개선요구에 관한 특수학급 교사들의 인식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n Analysis of Special Class Teachers' Perceptions of the Selection Process and Demands for Improvement for Special Education Candidate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
dc.creator.othernameBaek, Ki Yeop-
dc.format.pageⅹ, 111-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dc.date.awarded2006.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