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4 Download: 0

서술형 수행 평가 문항을 활용한 심화·보충형 수준별 교수 전략의 효과

Title
서술형 수행 평가 문항을 활용한 심화·보충형 수준별 교수 전략의 효과
Other Titles
The effect of Instructional Strategy for differentiated curricular through Descriptive Performance Assessment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Matter and Structures and Function of Plant in Middle School Science2
Authors
김윤정
Issue Date
200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화학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강순희
Abstract
학습자의 다양한 개성을 존중하고 인성 및 창의성을 최대한 신장시키는 방향으로 개정된 제7차 교육과정의 큰 특징은 수준별 교육 과정의 도입이다. 과학 교과에서는 학생들의 성취 수준에 따른 기본 과정의 이수 여부에 따라 심화 과정과 보충 과정으로 구분하는 심화․보충형 수준별 교육과정을 도입하고, 동일 학급 내 교과 수준별 분단을 구분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과학2의 ‘물질의 특성’과 ‘식물의 구조와 기능’ 단원에 대하여 서술형 수행평가 문항을 진단 평가로 활용한 학급 내 심화․보충형 수준별 수업 전략에 사용할 수 있는 보충학습 자료를 개발하고, 현장에 적용한 후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 및 과학에 관련된 태도의 변화에 대해 조사함으로써 수준별 수업 전략이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먼저 중학교 과학 ‘물질의 특성’, ‘식물의 구조와 기능’ 단원에서 꼭 필요한 개념인 필수 학습 요소를 추출하고 이를 토대로 구체적인 성취 수준을 지식, 탐구 과정 기능, 태도의 하위 범주로 개발하였다. 둘째, 앞서 개발한 성취 수준의 도달 정도를 판별할 평가 기준을 개발하고 이를 토대로 수준별 그룹을 분류할 때 사용할 진단 평가 문항을 개발하였다. 셋째, 진단 평가 문항을 이용하여 심화 과정과 보충 과정으로 분류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넷째, 수준별 소집단에서 사용할 수 있는 보충 활동지를 개발하였다. 다섯째, 이질적으로 구성된 소집단에 개발한 보충 활동지를 사용하도록 하는 연구도 하였고, 또한 개별적으로 개발한 보충 활동지를 사용하도록 하는 연구도 진행한 후에 어떤 집단에서 보다 나은 수준별 학습 효과가 나타나는 지를 알아보았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 소재의 중학교 2학년 남녀 공학 중학교 2학년 3개 반 104명이었다. 통제반에서는 심화 과정과 보충 과정이 없이 진행된 전통적 수업으로 진행하였고, 첫 번째 실험반에서는 개발된 보충 활동지를 개별로 활용하도록 하였고, 두 번째 실험반에서는 개발된 보충 활동지를 이질적으로 구성된 소집단에서 활용하도록 하였고, 수준별 수업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과학 학업 성취도, 과학 관련 태도에 대해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SPSS 10.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공변량 분석(ANCOVA)을 하였으며, 유의미한 효과에 대한 사후 검정은 SAS 9.0으로 통계처리 하였다. 얻어진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심화 과정과 보충 과정이 없이 진행된 전통적 수업(TLC), 개별 활동으로 심화 과정과 보충 과정이 진행된 수준별 수업(PDC), 소집단 활동으로 심화 과정과 보충 과정이 진행된 수준별 수업(GDC)을 진행한 세 집단 전체 학생들 사이에 수업 처치에 의한 과학 학업 성취도 변화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p >.05). 그러나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가 평균 점수 이상의 상위 수준의 학생들의 경우 세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p <.05), 사후 분석 결과로 분석해 보면 TLC와 GDC 두 집단 사이에서 유의미한 차이가(p <.05) 반영된 것이었다. 학업 성취도가 평균 점수 이하의 하위 집단인 학생들에게서는 세 집단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 >.05). 둘째, 과학과 관련된 태도를 분석한 결과 수업 처치에 따라 과학 관련 태도 점수가 전체 학생들 사이에서 향상되었고 세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p <.05). 사후 검정 결과로 분석해 보면 이 차이는 TLC 집단과 GDC 집단 간의 차이(p <.05)가 반영된 것이었다. 그러나 학생들의 과학 관련 태도가 학업 성취도가 평균 점수 이상의 상위 수준의 학생들과 평균 점수 이하의 하위 수준 학생들에 따른 세집단간 효과를 비교해 봤을 때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 >.05). 결론적으로 중학교 과학2의 물질의 특성과 식물의 구조와 기능 단원에 대하여 서술형 수행평가 문항을 진단 평가로 활용한 수준별 보충활동에 있어서, 학업 성취도가 평균 점수 이상의 상위 수준 학생들은 소집단 활동에 의한 보충활동에 보다 더 적극적이었고 효과적인 과학 성취도를 보여주고 있으나, 평균 점수 이하의 하위 수준 학생들한테는 소집단 보충 학습 활동에 대하여 긍정적이긴 하나 학업 성취도까지 영향이 미치지 못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그리고 전체 학생들 모두 수준별 보충 수업 전략에 대해 개별 활동보다는 소집단 활동일 때 더 긍정적으로 여기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The 7th National curriculum has introduced level-oriented approach to respect various individualities of students and to increase human nature. Science curriculum has adopted differentiated curriculum of advanced supplementary classes according to one's elementary course completion based on individual student's achievement and recommended organizing differentiated groups in a clas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instructional strategy for differentiated curriculum of advanced supplementary classes and learning materials in a class by using descriptive performance assessment as diagnostic evaluation and to examine its effect of the achievement, science-related attitude, and to identify what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and what problems there are, and ultimately to contribute to more efficient level-class instruction. First, the essential learning elements were analyzed and the concrete achievement standards based on them were developed for knowledge, process skills, and attitude in sections such as 'The Characteristics of Matter ', 'Structure and Function of Plant' in middle school science. Second, the assessment standards were developed to judge the achievement level and the diagnostic evaluation was developed based on them for using classification of each level group. Third, the methods of classification about the advanced and supplementary groups are used by the diagnostic evaluation. Fourth, supplementary activity papers were used in the same level subgroups and were put into the process. Fifth, another research has been carried out where developed supplementary materials were applied for heterogeneous small groups. Also, after individually developed supplementary materials were used, it has been found out which group attained more effective leveled learning.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04 male and female students in their second year in three classes from a middle school in Seoul. They were divided into two experimental and one control group. While the control group received traditional lecture class without advanced supplementary classes, the two experimental groups were subdivided into small group and private activity group, adopting differentiated level-oriented curriculum. To add, small group in the experimental groups was a heterogeneous. To find out the effect of the level-class instruction, pretest and posttest were implemented to measure the science studies achievement and science-related attitude of the studen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10.0 SPSS program, and the ANCOVA was utilized. SAS 9.0 was used for post test over its effect.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below. First, there were not statistical differences in science achievement among all students in the three groups (traditional lecture class without advanced supplementary classes (TLC), personally differentiated class used advanced․supplementary classes (PDC), and group differentiated class used advanced․supplementary classes (GDC)) (p >.05). However, upper level students whose learning attainments were over averag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ffect on each group in terms of learning ability (p <.05). The result of post test reflects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LC and the GDC two group (p <.05). There appear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lower level students whose attainments were below average among the three groups (p >.05). Second, there were the marks of progress generally and the level-clas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on the results of the science-related attitude analysis (p <.05). According to the post test result, these differences reflect differences between the TLC and GDC groups (p< .05). However, there appeared no difference among the three groups compared to the effect on each group in terms of learning ability (p >.05). In conclusion, when it comes to leveled supplementary activities using descriptive performance assessment items as a diagnosis evaluation about the chapter of 'The Characteristics of Matter' and 'Structure and Function of Plant' of middle school science 2, upper level students whose learning attainments were over average were more positive about supplementary activities through small group works and they showed effective science achievements. However, for lower level students whose attainments were below average, small group supplementary activities were positive, but didn't affect them to the extent of learning achievements. Moreover, all the students consider small group works more positively rather than individual works in case of leveled supplementary classes strateg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화학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